
1. 숭례사 내삼문숭례사는 돈암서원 존재의 가장 큰 이유를 주는 곳으로 이곳의 사당이다. 서원이나 향교의 중심 건물 앞에는 내삼문을 두기 마련인데, 보통 내삼문은 가운데 문은 높게, 좌우 문은 키를 낮게 한다. 그리고 이들 문은 기둥 하나를 두고 붙어있다. 그런데 이곳은 문 사이에 벽을 둬서 완전 남남 같은 특이함을 주었다. 돈암서원이 아무리 속세에 열린 공간이라고 해도 숭례사는 제향일 등 극히 일부날에만 문이 열린다. 하여 그 외에는 이렇게 굳게 닫힌 문 앞에서 발길을 돌려야 된다. 2. 꽃담장 밖에서 까치발로 바라본 숭례사(유경사)숭례사는 돈암서원의 중심 건물이자 사당으로 사계 김장생과 김집, 송시열, 송준길이 봉안되어 있다. 숭례사란 이름은 예를 숭상한다는 의미로 군자가 열심히 덕을 닦고 학문을 이..

1. 논산 돈암서원을 찾아서 (돈암서원 입구)논산시 연산면 임리 1번 국도 남쪽에 자리한 돈암서원은 충남에 대표급 서원이다. 서원은 이름 있는 명사의 사당 및 유생과 후학들의 교육 공간으로 일종의 지역 고급 사립학교로 보면 될 것이다. (교육은 거의 유학과 성리학만 취급했음) 돈암서원은 1634년에 연산 출신인 사계 김장생을 봉안하고 그의 학문을 계승하고자 지역 유생들이 세운 것으로 1658년에 신독재 김집, 1688년에 동춘당 송준길, 그리고 1695년에 우암 송시열을 차례로 봉안했다.1660년 조정으로부터 사액을 받아 나라의 공인 서원이 되었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슬 시퍼런 서원 정리 사업 때도 살아남았다. 그때 살아남은 서원은 전국에 47곳인데, 이들이 진정한 조선 서원의 끝판왕 같은 존재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