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569)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772)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75) N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77)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3)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82)
      • 인천 (25)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87)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30)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6)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8)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7)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3)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64)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53) N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56)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66)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3)
    • 맛집, 별미, 후식 (19)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2025/03 (30)
호산천과 동해바다가 만나는 곳에 자리한 작은 뒷동산, 삼척 해망산 (호산항)

1. 삼척 호산 해망산 (호산천 건너에서 바라본 모습)호산천과 동해바다가 만나는 곳에 해망산이란 작은 뫼가 있다. 해망산은 바다를 바라보는 뫼란 뜻으로 옛날에 선녀 부용이 놀러왔다고 해서 부용산이란 이름도 지니고 있는데, 1394년 기록에는 '옥원(호산리) 동쪽에는 부신당이 있고, 연못 앞에는 해망산이 있으며, 남쪽에는 죽현이 있다' 되어 있어 이곳의 오랜 이름을 알려준다. 원래는 작은 섬이었으나 호산천에서 내려온 토사로 육지가 되었으며,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산 삼형제가 양양에서 바다를 타고 내려오다가 하나는 근덕면에 정착해 덕봉산이 되고, 다른 하나는 호산 해망산이 되었으며, 나머지 하나는 울진 비래봉이 되었다고 한다.  비록 해안의 작은 뫼이지만 호산 지역 경승지로 달달한 풍경을 자랑했으나 ..

강원도 사진 답사기/강원도 영동(동해바다) 2025. 3. 31. 13:00
부안 변산마실길3코스 마포리~진여~회화나무 고목~적벽강(격포리) 북쪽 구간 (서해랑길47코스)

1. 변산마실길3코스(적벽강노을길) 마포리 구간변산마실길3코스는 성천항에서 격포항으로 이어지는 7km의 도보길이다. 서해랑길47코스(격포항~변산해변 정류장, 14.3km)와 길을 공유하는데, 하섬전망대와 마포리 구간은 해안 언덕길과 벼랑길, 그리고 변산해변로를 고루고루 거쳐서 간다.   2. 대나무 숲길을 지나는 변산마실길3코스  3. 한겨울 속을 지나는 변산마실길3코스  4. 서해바다 너머로 보이는 하섬 (진여 입구)하섬과 이곳 사이에는 '진여'라는 곳이 있다. 진여는 썰물 때만 잠깐씩 모습을 드러내는 갯벌로 멋모르고 들어갔다가 고립 또는 바다에 꼬르륵 잠겨 사망한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부안군과 부안해경은 진여를 통제구역으로 삼아 사람들의 접근을 막는다. 만약 통제 지시를 어기고 들어갈 경우 100..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2025. 3. 31. 03:00
여수 금오도 늦겨울 나들이 <돌산도, 함구미마을, 금오도비렁길1코스, 미역널방, 송광사터, 초분>

' 여수 금오도 늦겨울 나들이 (비렁길1코스) ' ▲  금오도 비렁길1코스 미역널방 ▲  여수 화태대교 ▲  금오도 대부산   차디찬 겨울 제국이 서서히 내리막을 보이던 2월의 끝 무렵, 비렁길로 유명한 여수 금오도를 찾았다.금오도 비렁길의 풍문은 익히 듣고는 있었으나 멀다는 이유로 딱히 인연을 잡지 않은 채, 오랜 세월 그곳을 목말라했다. 그러다가 어느 해 2월에 이르러 비로소 그곳을 찾게 되었는데, 서울에서 당일로 오가기에는 좀 무리가 있어 다른 곳도 추가로 둘러볼겸, 넉넉히 1박2일 일정으로 길을 나섰다.아침 일찍 영등포역에서 전라선(全..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2025. 3. 29. 02:17
여수 금오도 비렁길1코스 (신기항, 여천항, 함구미마을, 미역널방, 수달피비렁전망대, 송광사터, 초분)

1. 금오도 미역널방 2. 화태대교 3. 금오도 대부산 4. 돌산도 신기항과 금오도 여천항을 잇는 여객선(한림페리9호)  5. 여수 화태대교 6. 신기항에서 바라본 화태도  7. 금오도로 가는 배에서 바라본 뒤쪽 (북쪽 방향) 두라도와 대횡간도, 화태도, 돌산도 등 8. 금오도 여천항에 몸을 기댄 여객선(한림페리9호)  9. 금오도 함구미마을  10. 서쪽에서 바라본 함구미마을과 남해바다  11. 비렁길1코스로 들어서다 (함구미 기점 서쪽)  12. 금오도 비렁길1코스 (함구미~미역널방 구간) 13. 바다 너머로 보이는 개도(여수 화정면)  14. 대나무숲길을 지나는 비렁길1코스 (함구미~미역널방 구간)  15. 남해바다와 희미하게 보이는 개도  16. 미역널방 17. 해발 90m의 차이, 보기만 해도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2025. 3. 28. 12:55
변산마실길3코스 산발이봉, 하섬전망대 구간 (서해랑길47코스, 하섬전망대에서 바라본 하섬과 서해바다)

1. 변산마실길3코스 산발이봉 구간 (서해랑길47코스)변산마실길3코스(적벽강노을길)는 성천항에서 격포항까지 이어지는 7km의 해안 도보길이다. 서해바다 해변을 따라 쭉 이어지는 상큼한 길로 서해랑길47코스(격포항~변산해변정류장, 14.3km)도 이 길의 신세를 진다. 2. 바다 너머로 보이는 하섬하섬(하도)은 뭍에서 1km 떨어진 작은 섬이다. 사람이 살고 있는 유인도로 저곳은 배를 빌려서 가거나 썰물 때를 이용해서 접근해야 되는데, 내가 갔을 때는 바다가 크게 배가 부른 밀물 때라 바다에 갇힌 외로운 섬 모습이었다. 3. 그림의 떡처럼 다가오는 하섬하섬 너머로 희미하게 보이는 섬은 사당도(남쪽, 사진상으로 왼쪽)와 비안도(북쪽, 사진상으로 오른쪽)이다. 4. 옛 군초소 건물을 활용한 하섬전망대하섬전망대..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2025. 3. 27. 20:00
부안 고사포해수욕장 (고사포 남쪽 해변, 고사포야영장, 변산마실길2코스, 서해랑길47코스)

1. 부안 고사포해변(고사포해수욕장, 고사포 남쪽 해변)부안 변산면에 자리한 고사포해변은 길이가 2km에 이르는 긴 해변이다. 송림과 하얀 모래를 지닌 잘생긴 해변으로 해변 중간에 낮은 뫼가 있어서 해변이 남/북으로 갈라져 있는데, 북쪽 해변은 길이가 0.5~0.6km 정도 된다. (남쪽 해변은 1.3~1.4km 정도)고사포는 풍수지리적으로 '옥녀탄금혈'의 자리라고 하는데, 이는 옥녀가 장고를 치며 거문고를 탄다는 뜻이다. 하여 고사포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으며, 거문고의 중심을 상징하는 곳은 노루목(노래목)이다. 부안 지역의 대표 도보길로 추앙을 받는 변산마실길2코스(송포~성천, 6km)와 서해바다를 따라 길게 닦여진 서해랑길47코스(격포항~변산해변버스정류장, 14.3km)가 이 해변을 지나는데, 이들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2025. 3. 27. 03:00
부안 고사포해수욕장, 성천항, 산발이봉 숲길 (변산마실길2코스, 변산마실길3코스, 서해랑길47코스, 고사포 남쪽 해변)

1. 고사포해수욕장 송림 (고사포 남쪽 해변)부안 변산면에 자리한 고사포해변은 길이가 2km에 이르는 긴 해변이다. 송림과 하얀 모래를 지닌 해변으로 해변 중간에 낮은 뫼가 있어서 해변이 남/북으로 갈라져 있는데, 북쪽 해변은 길이가 0.5~0.6km 정도 된다. (남쪽 해변은 1.3~1.4km 정도)고사포는 풍수지리적으로 '옥녀탄금혈'의 자리라고 하는데, 이는 옥녀가 장고를 치며 거문고를 탄다는 뜻이다. 하여 고사포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으며, 거문고의 중심을 상징하는 곳이 노루목(노래목)이다. 부안 지역의 대표 도보길인 변산마실길2코스(송포~성천, 6km)와 서해바다에 길게 닦여진 서해랑길47코스(격포항~변산해변버스정류장, 14.3km)가 이 해변을 지나며, 이들 도보길은 서로 겹친다.  2. 솔내음으..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2025. 3. 26. 01:00
태백산맥 산주름에 숨겨진 고즈넉한 산사, 삼척 영은사 <영은사 대웅보전, 팔상전>

' 한겨울 산사 나들이, 삼척 영은사 '▲  영은사 대웅보전  묵은 해가 저물고 새해가 막 열리던 겨울의 차디찬 한복판에 강원도 삼척(三陟)을 찾았다. 삼척 남쪽인 울진에서 밥벌이를 하고 있는 후배를 보고자 오래간만에 그곳으로 출동한 것 인데, 아직은 어두운 이른 아침에 도봉동(道峰洞) 집을 나서 동서울터미널로 이동하여 삼 척으로 가는 고속버스에 나를 실었다. 나를 담은 고속버스는 영동고속도로를 따라 대관령을 넘고 동해고속도로를 지나 3시간 40 분 ..

강원도 사진 답사기/강원도 영동(동해바다) 2025. 3. 24. 10:59
삼척 영은사 <영은사 대웅보전, 팔상전>

1. 삼척 영은사 대웅보전 2. 겨울에 잠긴 추천  3. 영은사 일주문 4. 영은사 경내로 인도하는 다리  5. 영은사 금련루 6. 영은사 설선당 7. 영은사5층석탑 8. 영은사 대웅보전 9. 대웅보전 석가삼존상과 후불탱  10. 대웅보전 감로도 11. 대웅보전 지장탱과 지장시왕상 12. 대웅보전 천정 13. 포대화상 14. 영은사 팔상전 15. 팔상전 현판 16. 팔상전 팔상도의 일부 17. 영은사 삼성각 18. 삼성각 칠성탱 19. 영은사 심검당 20. 심검당에 걸린 '태백산 영은사' 현판의 위엄  21. 심검당 현판

강원도 사진 답사기/강원도 영동(동해바다) 2025. 3. 23. 19:14
부안 고사포해수욕장 (고사포 북쪽 해변, 변산마실길2코스, 서해랑길47코스)

1. 부안 고사포 북쪽 해변부안 변산면에 자리한 고사포해변은 길이가 2km에 이르는 긴 해변이다. 송림과 하얀 모래를 지닌 잘생긴 해변으로 해변 중간에 낮은 뫼가 있어서 해변이 남/북으로 갈라져 있는데, 북쪽 해변은 길이가 0.5~0.6km 정도 된다. (남쪽 해변은 1.3~1.4km 정도)고사포는 풍수지리적으로 '옥녀탄금혈'의 자리라고 하는데, 이는 옥녀가 장고를 치며 거문고를 탄다는 뜻이다. 하여 고사포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으며, 거문고의 중심을 상징하는 곳은 노루목(노래목)이다. 부안 지역의 대표 도보길인 변산마실길2코스(송포~성천, 6km)와 서해바다를 따라 길게 닦여진 서해랑길47코스(격포항~변산해변버스정류장, 14.3km)가 이 해변을 지나며, 이들 도보길은 서로 겹친다. 오래간만에 부안 땅을..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2025. 3. 21. 03:00
수구문, 시구문이란 별칭을 지닌 한양도성의 동남쪽 소문, 광희문

1. 한양도성 광희문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2,4,5호선) 동남쪽 광희동에 자리한 광희문은 한양도성 성문의 일원이다. 1396년에 세워진 것으로 문의 이름인 '광희'는 '빛이 멀리까지 사방을 밝힌다'는 좋은 뜻이다.청계천과도 가깝고 남산에서 내려온 물을 배출하는 곳이라 오랫동안 수구문이라 했으며, 서소문(소의문)과 함께 한양도성 내에서 죽은 이의 시신을 성밖으로 배출하는 문으로도 쓰여 시구문이란 우울한 이름도 지니고 있다. 17세기에는 이 성문을 남소문이라 부르기도 했으나 남소문은 남산 국립극장 남쪽에 따로 있었다. (그곳에 남소문터를 알리는 표석이 있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문이 크게 파괴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도망왕으로 악명이 높은 인조는 이괄의난(1624년)과 병자호란(1636~1637년) 시절에..

서울 사진 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2025. 3. 20. 06:00
남산 북쪽 끝에 자리한 남산예장공원 (기억6전시관, 조선총독부 관사터, 남산위의 저 소나무)

1. 남산예장공원 (조선총독부 관사터)남산제1호터널 북쪽 입구이자 퇴계로2가 교차로 남쪽에는 남산예장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남산의 북쪽 끝을 잡고 있는 이 공원은 원래 도로와 작은 녹지가 있던 곳으로 2021년 공원으로 손질되었다.지금은 도심 속의 작은 오아시스 같은 평화로운 풍경으로 있지만 대한제국 끝 무렵에는 왜정이 설치한 한국통감관저가 있었으며, 왜정 때는 조선총독부 관사가 있었다. 그리고 1961년 5.16 이후에는 이곳 일대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섰다. 박정희와 전두환 정권 시절 '남산'은 '중정(중앙정보부)'를 뜻했으며, 1995년 중정이 안기부로 이름을 바꾸고 한강 건너 서초구 내곡동으로 둥지를 옮겼다. 공원에는 조선총독부 관사터와 기억6전시관이 있는데, 이곳을 거쳐간 통감부와 조선총독부 관사,..

서울 사진 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2025. 3. 19. 02:30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여름추천명소
  • 서울추천명소
  • 겨울추천명소
  • 봄추천명소
  • 추천조망
  • 경북추천명소
  • 경남추천명소
  • 수도권추천명소
  • 추천계곡
  • 추천숲길
  • 전남추천명소
  • 추천산
  • 전북추천명소
  • 추천한옥
  • 충남추천명소
  • 강원도추천명소
  • 북악산
  • 추천산사
  • 추천바다
  • 추천피서지
  • 추천바위
  • 가을추천명소
  • 추천나무
  • 추천공원
  • 충북추천명소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사찰
  • 제주도추천명소
  • 대웅전
  • 추천섬
more
«   2025/03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