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 엉또폭포, 고근산 (제주올레길7-1코스) ' ▲ 말라버린 엉또폭포 ▲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 ▲ 고근산 차디찬 겨울 제국이 조금씩 빈틈을 보이던 2월의 한복판에 따사로운 남쪽 땅, 제주도(濟州島)를찾았다.이번 제주도 나들이는 당일치기로 아주 짧고 굵게 진행을 했는데, 제주도는 당일로 가기에는 너무 아쉬운 곳이라 보통 2~3일 이상은 잡고 갔었다. 하지만 비행기의장점을 살려아침 일찍 넘어가 저녁에 돌아오는 방식으로 당일치기가 가능하다. 하여 종종평일을 틈타 여러 번 당일치기로 그곳을 오갔다. (그만큼 ..
1. 서귀포 엉또폭포 2.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 3. 고근산 4. 말라버린 악근내(악근천) 5. 엉또폭포로 인도하는 월산로(제주올레길7-1코스) 6. 월산로에서 만난 귤나무 농장 7. 귤농장에 한가득 쌓인 귤 8. 악근천 9. 엉또폭포입구 (제주올레길7-1코스) 10. 엉또폭포 나무데크 숲길 (제주올레길7-1코스) 11. 엉또폭포 전망대 12. 엉또폭포 13. 엉또폭포 밑에 모인 푸른빛 물 14. 자신의 정체를 숨기며 조용히 웅크린 엉또폭포 15. 엉또농원 16.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 17. 엉또로에서 바라본 엉또폭포 주변 18.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신월동로 사이 구간 19. 올레길에서 만난 현무암 돌담 (엉또로~신월동로 사이 구간) 20. 누런 억새밭을 지나는 올레길 ..
1. 관음사 경내와 나한전 구역을 이어주는 돌길관음사 경내에서 미륵대불을 지나면 나한전 구역으로 인도하는 현무암 돌길(돌계단길)이 나온다. 나한전 구역은 경내에서 남쪽으로 200여m 떨어져 있는데, 너무 구석에 위치해 있어서 이곳까지 들어오는 관광객/답사객들은 거의 없다. 나처럼 호기심이 늘 가득하고 구석구석 살피는 사람들만 발걸음을 한다. 2. 나한전 구역으로 인도하는 현무암 돌길(돌계단길) 3. 동쪽에서 바라본 미륵대불과 그를 우러러 보는 조그만 존재들의 장대한 물결 4. 꽃을 든 관세음보살과 동자, 그리고 연꽃이 새겨진 마애상 5.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들어앉은 현무암 돌탑검은 피부의 현무암으로 3중 기단의 탑을 쌓고 그 위에 각각 석조문수보살과 석조보현보살을 두었다. 6. 관음사 5층석탑미륵대..
1. 관음사 미륵대불관음사 경내 동쪽 구석에는 금동 피부를 지닌 미륵대불이 크게 자리해 있다. 그는 2006년에 제주도 사람들의 풍요와 안락을 기원하고 모든 이들이 자비심을 닦아서 미륵불의 국토를 이루자는 거창한 취지로 조성된 것으로 대좌부터 보관까지 머리칼을 제외하고 모두 금색으로 이루어져 있다.미륵대불 남쪽에는 운동장이나 공연장의 관람석 같은 너른 공간이 둘러져 있는데, 그곳에는 제주도 현무암으로 조성한 조그만 불상과 보살살, 승려상 수천 기가 늘어서 있어 장관을 이룬다. 마치 미륵대불의 강연이나 공연을 보거나 단합대회를 벌이고자 모여든 모습 같다. 2. 정면에서 바라본 미륵대불의 위엄 3. 옆에서 바라본 미륵대불미륵불 특유의 제스쳐를 보이며 제주해협과 제주 시내가 있는 북쪽을 굽어본다. 미륵불 뒤..
1. 세모 모양의 관음사 방사탑방사탑은 제주도 스타일의 돌탑으로 마을의 안녕과 영 좋지 못한 기운을 경계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바닷가와 마을 주변, 경작지에 많이 세우는데, 오래된 방사탑들은 대부분 제주도 지방문화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관음사 방사탑은 원래부터 있던 것이 아닌 경내 수식용으로 근래 장만한 것으로 범종각 옆구리에 자리잡고 있다. 2. 중생들의 소원탑으로 살아가고 있는 또 다른 방사탑 3. 관음사 삼성각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칠성(치성광여래)과 산신, 독성(나반존자) 등 삼성의 공간이다. 비록 삼성각을 내세우고 있지만 가운데 칸은 칠성각, 좌우 칸은 독성각, 산신각 현판을 별도로 내밀고 있다. 4. 대웅전에 봉안된 석가여래삼존상관음사의 법당인 대웅전에는 금동 피부를 ..
1. 관음사 천왕문천왕문은 관음사의 2번째 문(1번째 문은 삼문 형태로 이루어진 일주문)으로 석가여래의 경호원인 사천왕의 공간이다. 왜정 때 세워졌으나 1948년 4.3사건 때 파괴되었으며, 1973년에 김해정이 돈을 지원하고 이재은이 화주가 되어 중건했다. 2 천왕문에서 관음사 경내로 인도하는 길길 좌우로 현무암으로 다진 탑들이 길게 늘어서 있는데, 탑 위에는 석불이 앉아 지나가는 중생들 구경에 여념들이 없다. 3. 겨울 제국에게 모든 것이 털린 관음사 왕벚나무들 4. 해월당 봉려관 스님 행적비현재 한라산 관음사를 개산한 해월당 봉려관(안봉려관)은 1865년 제주시 화북동 안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1899년 한 노인에게서 우연히 받은 관세음보살상에 크게 감동을 먹고 34살이란 늦은 나이에 출가를..
1. 관음사 일주문한라산 북쪽 자락 650m 고지에 둥지를 튼 관음사는 제주도에서 가장 큰 절이자 그곳의 대표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3교구 본사로 제주도 30여 사찰을 관리하고 있는데, 이렇게까지 보면 꽤 오래된 절로 여겨져 호기심이 커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현재 관음사는 1909년에 탄생했다.물론 관음사 자리에는 옛날부터 정체가 그리 알려지지 않은 절이 있었다고 전한다. 옛날 민담과 구전에서 괴남절, 개남절, 동괴남절, 은중절이라 불리는 사찰이 있었으며, 고려 전성기인 문종(재위 1046~1083) 시절에 창건되었다는 구전도 있다. 조선 초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관음사의 존재가 나와서 조선 중기까지그런데로 절을 꾸렸음을 알려주나 1702년 제주목사로 부임한 이형상이 제주도에 있는 절과 ..
1. 서우봉(서모봉) 일제 동굴진지함덕해변(함덕해수욕장)의 상큼한 뒷동산인 서우봉(서모봉), 그 작고 아름다운 봉우리에 왜정의 지독한 흔적들이 옥의 티처럼 서려있으니 바로 서우봉 일제 동굴진지이다.서우봉(서모봉) 북쪽 해안에 숨겨진 이들 동굴진지는 1945년 무렵에 왜군이 판 것이다. 분에 넘치는 무리한 전쟁으로 동/서/남/북으로 신나게 털리기 바뻤던 왜국은 제주도 해안 곳곳에 군사용 굴을 마구잡이로 팠는데, 서우봉 동굴진지도 그중에 하나이다.왜는 특수 병기란 무기를 만들어서 동굴 진지에 숨겨두었는데, 이 무기는 다름이 아닌 비행기와 어뢰정, 선박 등에 폭탄을 싣고 연합군을 향해 무식하게 돌진하는 자살공격용 무기이다. 제주도에서 이 특수 무기를 지닌기지는 서우봉 외에 수월봉, 송악산, 삼매봉, 일출봉 등..
1. 서우봉(서모봉) 망오름함덕해변(함덕해수욕장) 동쪽에 봉긋 솟은 서우봉(서모봉)은 남서모와 망오름 등 2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남서모가 서우봉의 대표 봉우리로 높이는 109m 정도이며, 그 다음이 그 북쪽에 자리한 망오름으로 이곳에는 서산봉수라는 봉수대가 있어서 망오름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망오름 정상부는 푸른 초원의 정상 같은 달달한 풍경으로 특히 동쪽으로 확 트여있어 해돋이 조망에 최적화되어 있다. 하여 매년 1월 1일 함덕 주민들이 해돋이 행사를 연다. 그리고 자리가 좋아서 정상부 구석에는 마을 사람들의 무덤 여러 기가 자리해 이곳의 명당 기운을 두고두고 누린다. 2. 망오름에서 북쪽으로 내려가는 산길 (제주올레길19코스) 3. 서우봉(서모봉) 북쪽 자락에서 바라본 함덕리와 조천읍 ..
1. 서우봉(서모봉) 정상인 남서모남서모는 서우봉(서모봉)의 남쪽 봉우리이자 서우봉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봉우리로 높이는 109.5m(또는 111m)이다. 비록 정상부이긴 하지만 수목에 감싸여 있어 조망은 크게 별로이며, 삼각점과 쉼터용 의자가 닦여져 있다. 2. 남서모 정상에 박힌 삼각점2005년에 건교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심은 삼각점이다. 산 정상부에는 이런 삼각점이 꼭 깃들여져 있는데, 나라에서 심은 시설인만큼 그에 대한 해코지 행위는 법적으로 처벌을 받는다. 3. 남쪽에서 바라본 남서모 정상부 4. 서우봉 북쪽 봉우리인 망오름 정상부망오름은 서우봉(서모봉)의 북쪽 봉우리이자 서우봉의 2번째 봉우리로 옛날 이곳에 '서산봉수'라 불리는 봉수대가 있어서 망오름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봉수대는 비록..
1. 함덕해변 서우봉(서모봉)입구 구역에메랄드 푸른 빛깔을 자랑하는 함덕해변(함덕해수욕장)을 둘러보고 서우봉입구를 통해 서우봉(서모봉)의 품으로 들어섰다. 함덕해변 동쪽에 병풍처럼 솟은 뫼가 바로 서우봉(서모봉)으로 제주올레길19코스(김녕서포구~조천읍 제주올레공식안내소, 19.4km)가 함덕해변과 서우봉을 가로질러 동/서로 흐른다. 2. 서우봉(서모봉) 안내도함덕해변 동쪽에 솟은 서우봉은 해발 111m(또는 109m)의 낮은 뫼이다. 용암을 내뿜던 화산 출신의 오름으로 둘레는 3,493m, 면적 835,758평방미터의 덩치를 지녔는데, 북쪽과 남쪽에 봉우리가 있는 원추형 화산체이다.용암 바위가 있는 남쪽 봉우리가 이곳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남서모'라 불리며, 송이로 된 분석구 출신의 북쪽 봉우리에는 '..
1. 함덕해변(함덕해수욕장)과 바다 너머로 바라보이는 서우봉(서모봉)함덕해변은 제주 조천읍 함덕리에 있는 아름다운 해변이다. 제주도에서 명성이 높은 해변의 일원으로 수질이 청정하여 그야말로 에메랄드빛 바다를 자랑한다. 해변 서쪽에 북쪽으로 튀어나온 바위섬이 있는데, 그곳까지 구름다리가 이어져 있으며, 그 섬에서 동쪽 바다 너머로 서우봉(서모봉)이 바라보인다. 바위섬과 서모봉 사이에 움푹 들어간 해변이 함덕해변의 중심이며, 바위섬 서쪽 해안도 엄연히 함덕해변에 들어간다. 그리고 제주올레길19코스(김녕서포구~조천읍 제주올레공식안내소,19.4km)가 이곳 해변과 서우봉을 지나간다. 2. 함덕해변 바위섬과 그곳으로 인도하는 구름다리함덕해변 바위섬의 이름은 따로 없다. 해변에서 그 섬까지는 구름다리가 이어져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