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472)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731)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65)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7)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1)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66) N
      • 인천 (18)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72)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18)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3)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8)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6)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1)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62)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52)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56)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53)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2)
    • 맛집, 별미, 후식 (17)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추천공원 (159)
19세기 말, 인천의 남쪽 바다를 지켰던 논현포대 (논현포대근린공원)

1. 논현포대의 앞모습논현포대근린공원의 주인공이지만 거의 뒷전으로 밀려난 모양새인 논현포대는 1882년에 조성되었다. 19세기 말에 서해바다에 빈번히 찝적거리며 시비를 거는 외세 잡것들을 잡고자 만든 포대로 지금은 사방이 육지로 되어 있지만 원래 포대 남쪽은 바다와 갯벌이었다.이곳은 인천도호부와 부평도호부의 남쪽 해안을 지키고 포대 옆으로 흘러가는 갯골수로를 수비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는데, 인근을 호구포라 불러서 '호구포대'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묘도포대와 제물포포대 등과 함께 화도진에 속했으며, 1894년 화도진이 철폐되면서 이들 포대 역시 제대로 활용되지도 못한 채, 완전하게 버려지게 된다. 이후 고약한 왜정과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을 통해 완전히 헝클어진 것을 현재 모습으로 다시 일으켜 세웠..

수도권 사진 답사기/인천 2025. 6. 4. 14:30
초안산의 남쪽 끝을 잡고 있는 상큼한 공원, 월계동 비석골근린공원 (비석골근린공원 무덤 석물전시장)

1. 늦가을에 잠긴 월계동 비석골근린공원초안산 남쪽 끝에는 비석골근린공원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곳은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와 월계고등학교 사이로 비석이 많다고 해서 비석골이라 불렸는데, 그 비석은 다름 아닌 초안산에 널린 묘표(묘비)들이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공동묘지였던 초안산 자락에 걸맞게 초안산과 노원구 곳곳에서 수습된 문인석과 동자석, 망주석, 묘표를 많이 머금고 있다. (단 초안산 도봉구 구역에서 가져온 무덤 석물은 없음) 그들을 한곳에 모아서 석물전시장으로 삼았는데, 그들로 인해 이곳은 자연히 문화유산을 겯드린 상큼한 시민공원이 되었다. 또한 예전(2019년 이전)에는 4월마다 '임금님과 충신의 만남이 시작된다'는 주제로 '태강릉 초안산 궁중문화제'가 열리기도 했으나 지금은 하지 않는다. 2..

서울 사진 답사기 2025. 5. 12. 05:00
송파구의 푸른 꿀단지, 올림픽공원 나들이 <몽촌토성, 충헌공 김구묘역, 송파둘레길 성내천길>

' 송파구의 푸른 꿀단지, 올림픽공원(몽촌토성) ' ▲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한복판에 송파구(松坡區)의 푸른 허파이자 꿀단지로 추앙을 받는 올림픽공원을 찾았다. 올림픽공원은 내 즐겨찾기의 일원으로 매년 2~3번 이상 발걸음을 하고 있는데, 강동구청 역(8호선)에서 친한 후배를 만나 점심을 배불리 섭취하고 올림픽공원 북1문을 통해 공원 속으로 들어섰다. ♠  올림픽공원 입문 ▲  덥수룩한 모습의 푸른 성내천 (북1문 무지개다리 주변) 북1문을 지나면 성내천(城..

서울 사진 답사기 2025. 4. 4. 19:40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충헌공 김구 묘역, 성내천

1.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2. 성내천 (북1문 무지개다리 주변)  3. 성내천 (무지개다리 주변) 4. 몽촌토성 외성 5. 몽촌토성 동벽과 외성이 만나는 야트막한 고갯길 (북문터 방향) 6. 몽촌토성 동벽 목책  7. 동벽 앞 산책로 (북문터 직전) 8. 몽촌토성 북문터 9. 북문터 남쪽 가족놀이동산 10. 몽촌토성 동벽 토성길  11. 몽촌토성 동문터  12. 몽촌토성 동벽에서 바라본 올림픽공원 경기장들  13. 동문터 북쪽 동벽  14. 88호수와 88호수수변무대  15. 88호수  16. 남문터 주변에 있는 야생화학습장 향기원  17. 몽촌토성 남문터 주변  18. 몽촌토성 남벽  19. 몽촌토성 남벽에서 바라본 야외조형전시장 주변  20. 몽촌토성 남벽에서 바라본 소마미술관과 지구촌공원, 송파구 ..

서울 사진 답사기 2025. 4. 4. 16:59
남산 북쪽 끝에 자리한 남산예장공원 (기억6전시관, 조선총독부 관사터, 남산위의 저 소나무)

1. 남산예장공원 (조선총독부 관사터)남산제1호터널 북쪽 입구이자 퇴계로2가 교차로 남쪽에는 남산예장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남산의 북쪽 끝을 잡고 있는 이 공원은 원래 도로와 작은 녹지가 있던 곳으로 2021년 공원으로 손질되었다.지금은 도심 속의 작은 오아시스 같은 평화로운 풍경으로 있지만 대한제국 끝 무렵에는 왜정이 설치한 한국통감관저가 있었으며, 왜정 때는 조선총독부 관사가 있었다. 그리고 1961년 5.16 이후에는 이곳 일대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섰다. 박정희와 전두환 정권 시절 '남산'은 '중정(중앙정보부)'를 뜻했으며, 1995년 중정이 안기부로 이름을 바꾸고 한강 건너 서초구 내곡동으로 둥지를 옮겼다. 공원에는 조선총독부 관사터와 기억6전시관이 있는데, 이곳을 거쳐간 통감부와 조선총독부 관사,..

서울 사진 답사기/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2025. 3. 19. 02:30
신림동 관악산맨발공원~돌산 정상(돌산국기봉) 구간

1. 신림동 관악산맨발공원금천구의 오랜 진산이자 상큼한 뒷동산인 호암산(393m)은 내 즐겨찾기 뫼의 일원이다. 그를 찾을 때 호압사입구나 벽산5단지, 삼성산성지에서 주로 접근을 했는데, 이번에는 간만에 돌산과 칼바위능선을 복습하고자 시야를 동쪽으로 조금 돌려 관악산역(신림역)에서 접근했다.관악산역을 나와서 180도 뒤로 돌아서 신림로3길 골목길을 들어서면 관악산맨발공원이 마중을 나오는데, 그곳에 호암산과 돌산, 칼바위능선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있다. 관악산맨발공원은 암석원과 벚나무길, 잔디마당, 운동공간, 모래놀이터, 쉼터, 산책로, 지압로를 지닌 근린공원으로 지압로는 맨발로 거닐어야 된다. 그래서 맨발공원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2. 관악산맨발공원에서 돌산, 칼바위능선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산길은 돌..

서울 사진 답사기 2025. 1. 18. 06:30
울산 태화루, 태화강 십리대숲, 태화강국가정원 겨울 나들이 <대나무테마공원, 오산 만회정, 관어대>

' 울산 태화강 나들이 '(태화루, 태화강 십리대숲, 태화강 국가정원) ▲  울산의 젖줄, 태화강 (태화루 주변) ▲  태화강 십리대숲 ▲  태화강 국가정원   묵은 해가 저물고 새해가 열리던 1월의 첫 무렵, 남동임해지역의 중심 공업도시인 울산 (蔚山)을 찾았다. 전날 부산 해운대(海雲臺)에서 1박을 머물다가 요즘 크게 뜨고 있는 태화강 십리대숲이 무척이나 궁금하여 다음날 아침 울산 땅으로 출동했는데, 그 십리대숲을 중심으로 태화 강 국가정원이 ..

울산 사진 답사기 2025. 1. 10. 03:20
울산 태화강 십리대숲, 태화강국가정원, 오산 만회정

1. 십리대숲 은하수길  2. 대나무숲길에서 고개를 들어 바라본 푸른 겨울 하늘 3. 대나무 울타리와 대나무 줄기를 쌓아놓은 곳  4. 어두운 대숲 너머로 살짝 보이는 바깥 세상  5. 태화강 십리대숲 은하수길의 서쪽 종점  6. 오산 만회정으로 이어지는 대숲길 7. 오산못 분수대와 길게도 펼쳐진 십리대숲 8. 만회정 (오산 만회정) 9. 만회정 주변 태화강 산책로  10. 만회정에서 바라본 태화강 (삼호교 방향)  11. 자라 암각화 12. 학 암각화 13. 관어대 바위글씨 14. 관어대에서 바라본 태화강 (삼호교 방향)  15. 오산못, 수생침상원 주변 산책로  16. 십리대숲을 따라 살짝 구부러진 수생침상원 주변 산책로  17. 십리대숲 은하수길 북쪽에 닦여진 수생침상원 (수생습지)  18. 십리대..

울산 사진 답사기 2025. 1. 9. 22:36
울산 태화루, 용연, 태화강십리대숲 (태화강국가정원)

1. 울산의 젖줄, 태화강 (태화루 주변) 2. 태화강 십리대숲 3. 태화강국가정원 4. 울산 태화루 5. 태화루 대문(대문채) 6. 태화루 현판 7. 태화루 내부 8. 태화루에서 바라본 태화강과 태화교, 신정동 지역 9. 태화루에서 바라본 태화강과 십리대숲(태화강 국가정원)  10. 태화루와 돌담이 둘러진 남쪽 산책로  11. 강변 벼랑에 깃든 모감주나무 군락  12. 태화루 서쪽 산책로  13. 태화강 강변 산책로에서 바라본 태화루와 용연 14. 태화강 강변 산책로에서 바라본 태화루 주변과 태화강, 신정동 지역 15. 태화강 십리대숲 16. 태화강 십리대숲 동쪽 구간 (대숲 북쪽 길)  17. 태화강변 습지와 징검다리  18. 갈대들이 펼쳐진 십리대숲 수변 습지  19. 태화강의 남과 북을 이어주는 ..

울산 사진 답사기 2025. 1. 9. 18:15
병인박해의 현장, 화성 남양성모성지 ③ 남양성모성지대성당, 성모성지 동쪽 숲길

1. 남양성모성지대성당(남양성모마리아대성당)남양성모성지 남쪽 언덕에 장대하게 자리한 대성당은 2017년에 짓기 시작해 2023년에 완성을 본 이곳의 야심작이자 상징 같은 건물이다. 마리아보타가 설계한 것을 바탕으로 조성된 것으로 건물 상당수가 주황색 피부를 지니고 있는데, 미사와 예배, 여러 행사들이 여기서 열린다.  2. 동쪽에서 바라본 남양성모성지대성당의 위엄  3. 산듯한 모습의 남양성모성지대성당 앞 산책로 (북쪽 방향)  4. 바로 앞에서 바라본 남양성모성지대성당  5. 남양성모성지 동쪽 숲에서 바라본 대성당과 자연에 묻힌 남양성모성지 6. 남양성모성지 동쪽 숲길남양성모성지는 숲이 매우 삼삼하고 숲길이 매우 고와서 남양읍 지역의 소중한 공원 역할을 한다. 게다가 누구에게나 활짝 열려있어 천주교 신..

수도권 사진 답사기 2024. 12. 25. 00:30
병인박해의 현장, 화성 남양성모성지 ①

1. 화성 남양성모성지로 들어서다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내 서쪽 부분에 남양성모성지가 넓게 둥지를 틀고 있다. 남양읍은 화성시 서부 지역의 중심지로 조선 후기까지 수원 고을을 능가하는 남양부(남양도호부)의 중심지로 바쁘게 살았는데, 세상이 여러 번 엎어지면서 이제는 화성시 그늘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래도 화성시청을 지니고 있는 읍치고는 규모가 큰 읍으로 화성시 승격 초기에는 '동'을 썼지만(화성시 남양동)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화성시 남양읍 ~~리'로 바뀌었다. 남양은 19세기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던 곳으로 특히 1866년 병인박해 때 많이 처단되었다. 보통 그때 잡힌 신자 중 양반들은 서울이나 공주로 넘겨 거기서 처리했지만 평민층은 주로 남양으로 보내 남양부사의 재량에 맡겼다. 남양부사는 모진 매질..

수도권 사진 답사기 2024. 12. 24. 00:30
구미 선산읍 죽림사지3층석탑과 근래 복원된 선산읍성 낙남루

1. 구미 선산읍 죽림사지3층석탑구미 선산읍내의 동남쪽 끝으머리인 1호광장회전교차로 서북쪽 공원에 죽림사지3층석탑이 있다. 그는 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원래 선산향교에서 북쪽으로 1km 떨어진 비봉산 중턱 죽림사터에 있었다. 허나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절은 사라지고 탑 또한 붕괴되어 거의 아작난 것을 1979년 11월 현재 자리로 가져와 산뜻하게 복원했다. 바닥돌과 2중 기단, 3층 탑신, 머리장식을 지닌 잘생긴 탑으로 복원된 것이라 그런지 아직 지정문화재의 지위는 얻지 못했다. 석탑 주변으로 작게 공원이 닦여져 있으며, 동쪽 길 건너로는 선산읍성의 남문인 낙남루가 자리해 남쪽을 바라본다. 탑을 정면과 여러 각도에서 담아야 되겠지만 공교롭게도 석탑 기단부 북쪽에 노인 1명이 계속 앉아있었고, 탑 서..

카테고리 없음 2024. 12. 20. 13:30
이전 1 2 3 4 ··· 14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추천공원
  • 대웅전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사찰
  • 추천한옥
  • 추천피서지
  • 추천바다
  • 추천숲길
  • 추천조망
  • 서울추천명소
  • 북악산
  • 경북추천명소
  • 제주도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강원도추천명소
  • 경남추천명소
  • 추천나무
  • 충남추천명소
  • 인왕산
  • 충북추천명소
  • 추천계곡
  • 가을추천명소
  • 추천섬
  • 추천바위
  • 추천산
  • 봄추천명소
  • 전남추천명소
  • 수도권추천명소
  • 추천산사
  • 겨울추천명소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