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남산예장공원 (조선총독부 관사터)남산제1호터널 북쪽 입구이자 퇴계로2가 교차로 남쪽에는 남산예장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남산의 북쪽 끝을 잡고 있는 이 공원은 원래 도로와 작은 녹지가 있던 곳으로 2021년 공원으로 손질되었다.지금은 도심 속의 작은 오아시스 같은 평화로운 풍경으로 있지만 대한제국 끝 무렵에는 왜정이 설치한 한국통감관저가 있었으며, 왜정 때는 조선총독부 관사가 있었다. 그리고 1961년 5.16 이후에는 이곳 일대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섰다. 박정희와 전두환 정권 시절 '남산'은 '중정(중앙정보부)'를 뜻했으며, 1995년 중정이 안기부로 이름을 바꾸고 한강 건너 서초구 내곡동으로 둥지를 옮겼다. 공원에는 조선총독부 관사터와 기억6전시관이 있는데, 이곳을 거쳐간 통감부와 조선총독부 관사,..

1. 늦가을에 잠긴 인왕산둘레길 2. 인왕산둘레길 가온다리 3. 백운동천 바위글씨 4. 택견수련터로 인도하는 숲길 (인왕산둘레길) 5. 인왕산 택견수련터 6. 택견수련터 바위(감투바위 암릉)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과 남산 7. 택견수련터 바위 (감투바위 암릉) 8. 택견수련터 옆 감투바위 암릉 9. 인왕산 감투바위 10. 인왕산둘레길 택견수련터 동북쪽 갈림길 (누상동) 11. 인왕산자락길 누상동 구간 12. 누상동계곡 (계곡의 정확한 이름은 모르겠음) 13. 수성동으로 내려가는 인왕산둘레길 14. 수성동계곡 상류 15. 수성동 북쪽 인왕산둘레길 16. 해맞이동산 서쪽 배드민턴장 17. 산들수목원 약수터 18. 산들수목원약수터 옆 해맞이동산 표석 19. 해맞이동산에서 청운공원으로 이어지..

1. 봉산 봉산전망대 남쪽 산길무성한 숲 너머로 숭실중고등학교와 신사동, 응암동, 역촌동, 녹번동, 불광동, 구산동 등 은평구 일대와 북한산(삼각산) 서쪽 자락, 노고산 등이 흔쾌히 시야에 들어온다. 2. 봉산전망대 남쪽 나무데크길 3.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 안내문봉산 신사동 구역에는 서울에서 가장 큰 팥배나무 군락지가 있다. 군락지 면적은 5000평방미터 정도로 그들을 포함한 봉산 신사동 구역의 73,478평방미터가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4. 무성한 숲터널을 지나는 봉산 남쪽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 5. 잘 닦여진 봉산 남쪽 능선길 (은평터널 윗쪽, 서울둘레길16코스) 6. 반홍산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반홍산은 봉산 남쪽에 자리한 작은 뫼로 수색동과 증산동 사이에 누워..

1. 봉산전망대(편백숲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봉산 편백나무치유의숲 윗쪽에 봉산전망대(편백숲전망대)가 넓게 닦여져 있다. 여기서는 봉산 편백나무치유의숲을 비롯해 뫼들 사이에 포근히 뉘어진 은평구 지역, 북한산(삼각산) 서쪽 자락, 백련산, 앵봉산, 안산, 노고산, 서대문구 북부 지역이 훤히 시야에 들어온다. 2. 세상을 향해 크게 고개를 내민 봉산전망대(편백숲전망대)나무데크로 넓게 닦여진 봉산전망대 너머로 은평구 남부 지역과 서대문구 북부 지역, 백련산, 북한산 서쪽 자락, 안산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봉산전망대(편백숲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은평구 일대와 앵봉산, 노고산, 북한산 서쪽 자락 등 4. 푸르게 우거진 봉산 편백나무치유의숲봉산 남쪽 자락 신사동 지역에 넓게 자리한 봉산 편백나무치유의숲은..

1. 봉산 남쪽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은평구의 서쪽 지붕인 봉산은 해발 207.8m의 잘생긴 뫼이다. 동/서 폭은 좁으나 대신 남북으로 길쭉한 산줄기로 앵봉산과 함께 은평구 및 서울 서북부의 거대한 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능선을 따라 서울둘레길16코스(증산역~구파발역 9.1km)가 흘러간다. 2. 무성한 숲속을 지나는 봉산 남쪽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봉산 정상에서 봉산 편백나무치유의숲으로 이어지는 봉산 남쪽 능선길은 오르락 내리락이 여러 번 도돌이표처럼 이어지는 완만한 수준의 산길이다. 숲이 삼삼하여 숲내음이 진하며 산길도 넓게 닦여져 있다. 3. 나무계단길이 닦여진 봉산 남쪽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 4. 숲그늘을 따라 달달하고 차분하게 이어진 봉산 남쪽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 ..

1. 수국사에서 봉산으로 올라가는 산길 동양 최대의 황금법당이라 찬양을 받는 구산동 수국사를 둘러보고 절 뒤쪽 산길을 통해 봉산의 품으로 들어섰다. 수국사에서 완만하게 이어진 산길을 10여 분 오르면 봉산 능선길에 이르는데, 여기서 북쪽으로 가면 벌고개와 앵봉산으로 이어지고, 남쪽은 봉산 정상으로 이어진다. 2. 수국사 서남쪽 산자락에 닦여진 체육시설과 쉼터 (수국사~봉산 능선길 구간) 3. 녹음이 익어가는 봉산 능선길 (서울둘레길16코스)봉산 능선은 수색에서 벌고개까지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있다. 북쪽으로 바로 이어진 앵봉산과 더불어 은평구의 거대한 서쪽 벽으로 천하 제일의 둘레길로 콧대가 높은 서울둘레길이 그들의 신세를 지며 남북으로 흘러가는데, 봉산 능선을 거쳐가는 서울둘레길16코스 덕분에 그 ..

1. 울산의 젖줄, 태화강 (태화루 주변) 2. 태화강 십리대숲 3. 태화강국가정원 4. 울산 태화루 5. 태화루 대문(대문채) 6. 태화루 현판 7. 태화루 내부 8. 태화루에서 바라본 태화강과 태화교, 신정동 지역 9. 태화루에서 바라본 태화강과 십리대숲(태화강 국가정원) 10. 태화루와 돌담이 둘러진 남쪽 산책로 11. 강변 벼랑에 깃든 모감주나무 군락 12. 태화루 서쪽 산책로 13. 태화강 강변 산책로에서 바라본 태화루와 용연 14. 태화강 강변 산책로에서 바라본 태화루 주변과 태화강, 신정동 지역 15. 태화강 십리대숲 16. 태화강 십리대숲 동쪽 구간 (대숲 북쪽 길) 17. 태화강변 습지와 징검다리 18. 갈대들이 펼쳐진 십리대숲 수변 습지 19. 태화강의 남과 북을 이어주는 ..

1. 사가정공원에서 망우산, 깔딱고개로 올라가는 소나무숲길이번 망우산~아차산 나들이는 사가정공원(7호선 사가정역 4번출구에서 도보 10분 거리)에서 시작했다. 깔딱고개를 통해 망우산으로 들어서 망우산1보루를 복습하고 다시 깔딱고개로 내려와 용마산, 아차산 보루를 최대한 복습하기로 했는데, 사가정공원에서 깔딱고개로 올라가는 산길 중, 북쪽 산길을 택하면 이렇게 솔내음이 파도를 치는 소나무숲길을 누릴 수 있다. 2. 솔내음이 가득한 소나무숲길소나무들이 얼마나 무성한지 한낮임에도 거의 어두울 정도이다. 그만큼 소나무를 겯드린 산림욕 장소로 무지하게 좋다. 3. 사가정공원 소나무숲에서 망우산, 깔딱고개로 올라가는 산길 4. 망우산1보루사가정공원에서 깔딱고개까지는 깔딱고개란 이름 그대로 경사가 좀 각박하다. ..

1. 호암산 2. 약수사 대웅전 3. 서울둘레길12코스 (삼성산성지 주변) 4. 약수사 앞 유채꽃밭 5. 밑에서 바라본 약수사 경내 6. 약수사 7층석탑 7. 약수사 중심부로 인도하는 돌계단길 8. 약수사 극락전 9. 약수사 극락전 내부 10. 약수사 의향각 11. 약수사 대웅전 12. 대웅전 석가여래삼존상과 석가모니후불도 13. 약수사 지장시왕도 14. 경내 뒤쪽 벼랑과 조그만 폭포 15. 약수사 산신각 16. 삼성각에서 바라본 작은 천하 (신림동과 관악구 지역) 17. 약수사에서 섭취한 부처님오신날 공양밥의 위엄 18. 호암산으로 인도하는 약수사 서쪽 담장길 19. 약수사 서쪽 숲길 (관악구 제2구민운동장 방향) 20. 관악구 제2구민운동장 옆 계곡(약수사계곡)과 그 너머로 바라보이는..

1. 남양성모성지대성당(남양성모마리아대성당)남양성모성지 남쪽 언덕에 장대하게 자리한 대성당은 2017년에 짓기 시작해 2023년에 완성을 본 이곳의 야심작이자 상징 같은 건물이다. 마리아보타가 설계한 것을 바탕으로 조성된 것으로 건물 상당수가 주황색 피부를 지니고 있는데, 미사와 예배, 여러 행사들이 여기서 열린다. 2. 동쪽에서 바라본 남양성모성지대성당의 위엄 3. 산듯한 모습의 남양성모성지대성당 앞 산책로 (북쪽 방향) 4. 바로 앞에서 바라본 남양성모성지대성당 5. 남양성모성지 동쪽 숲에서 바라본 대성당과 자연에 묻힌 남양성모성지 6. 남양성모성지 동쪽 숲길남양성모성지는 숲이 매우 삼삼하고 숲길이 매우 고와서 남양읍 지역의 소중한 공원 역할을 한다. 게다가 누구에게나 활짝 열려있어 천주교 신..

1. 2006년에 세워진 자비로운 예수상왼손으로 주름진 무언가를 잡고 오른손으로 무슨 표시를 보이고 있는데,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다. 2. 자비로운 예수상 주변 3. 자비로운 예수상 주변 숲길남양성모성지는 숲이 무성하고 숲길 또한 달달하여 굳이 천주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한번쯤은 거닐만한 곳이다. 이곳은 숲길이 거의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 4. 성모마리아상 주변 5. 하얀 피부의 성모마리아상 6. 강제 낙태된 태아들의 묘탑과 그들을 기리는 공간 7. 저 멀리 바라보이는 남양성모성지 대성당 8. 성모마리아상과 그의 밑도리를 껴앉은 애기상 9. 십자가에 못박혀 처형된 예수상 예수가 못박힌 십자가가 반듯하게 서있지 않고 넘어져 있다. 무슨 의미가 있는 것 같은데 모르겠음. 10. 남양성모성지대성당(남..

1. 서귀포 엉또폭포 2.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 3. 고근산 4. 말라버린 악근내(악근천) 5. 엉또폭포로 인도하는 월산로(제주올레길7-1코스) 6. 월산로에서 만난 귤나무 농장 7. 귤농장에 한가득 쌓인 귤 8. 악근천 9. 엉또폭포입구 (제주올레길7-1코스) 10. 엉또폭포 나무데크 숲길 (제주올레길7-1코스) 11. 엉또폭포 전망대 12. 엉또폭포 13. 엉또폭포 밑에 모인 푸른빛 물 14. 자신의 정체를 숨기며 조용히 웅크린 엉또폭포 15. 엉또농원 16.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 17. 엉또로에서 바라본 엉또폭포 주변 18. 제주올레길7-1코스 엉또로~신월동로 사이 구간 19. 올레길에서 만난 현무암 돌담 (엉또로~신월동로 사이 구간) 20. 누런 억새밭을 지나는 올레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