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초안산 정상 주변초안산은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에 걸쳐있는 115.5m의 낮은 뫼이다. 도봉구의 남쪽 지붕이자 노원구의 서쪽 지붕으로 지금은 창동과 월계동 지역의 상큼한 뒷동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조선 때는 무려 공동묘지였다.조선 때는 성저십리(한양도성밖 10리) 내에는 무덤을 쓸 수 없어서 무조건 그 너머에 써야 했는데, 초안산은 성저십리를 넘는 곳이다. 게다가 산 주변으로 우이천(초안산 서쪽)과 중랑천(초안산 남쪽)이 흐르고 있고 북한산(삼각산) 산줄기가 여기까지 손을 뻗치고 있어서 배산임수에 딱 맞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양반사대부에서 중인, 내시, 궁녀, 서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이 이곳을 사후 안식처로 삼았다. 산의 이름인 '초안'은 죽은 이들의 안식처를 정한다는 뜻이니 그야말로 이..

1. 동명리 개명물명월성 북쪽 끝부분에 있는 개명물은 제주도에 아주 흔한 용천수이다. 화산들의 놀이터였던 제주도는 수분 흡수에 최적화된 현무암 피부의 섬이라 물의 상당수를 먹어치우는 단점이 있다. 하여 제주도에 있는 하천과 계곡들은 거의 메마른 모습을 보인다. 그렇게 땅속으로 들어간 수분은 바다와 가까운 곳에서 뿜어져 나오니 그것이 바로 용천수이다.이곳 개명물은 명월성의 식수를 책임졌던 존재로 수분이 늘 풍부하여 물 걱정은 하지 않았다. 하여 주변 마을 사람들은 이곳 물에 의지해 삶을 꾸렸다. 허나 지금은 상하수도 때문에 거의 뒷전으로 밀려난 그야말로 뒷방 노인네 같은 한가로운 존재가 되었는데, 그럼에도 물은 여전히 풍부하게 쏟아져 대자연의 넉넉한 마음을 비춘다. 근래 개명물 주위로 벽을 쌓고 지붕을 얹..

1. 초안산을 찾아서 (창동역에서 녹천역, 창동주공4단지 방향 노해로66길)초안산은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에 걸쳐있는 해발 115.5m의 낮은 뫼이다. 창동과 월계동 지역의 오랜 뒷동산인 초안산은 도봉구의 남쪽 지붕이자 노원구의 서쪽 지붕으로 지금은 도시의 달달한 뒷동산으로 있지만 조선 때는 구파발 이말산과 더불어 서울 사람들의 큰 공동묘지였다.초안산에서 발견된 무덤은 무려 1,100여 기로 산 전체가 거대한 무덤밭이나 다름이 없는데, 양반사대부와 내시, 상궁, 중인, 서민 등 다양한 계층이 묻혀있다. 조선 때는 한양도성에서 무조건 10리 밖에 무덤을 쓰게 되어 있는데, 초안산이 10리 밖에 자리한다. 게다가 산 주변으로 우이천과 중랑천이 흘러 명당 자리로 크게 찬양을 받는 배산임수의 모양새까지 보..

' 봄맞이 산사 나들이, 달성 우록리 남지장사 ' ▲ 우록리 남지장사 봄이 힘겹게 겨울 제국을 몰아내고 오랜 추위로 놀란 천하를 한참 안정시키던 4월의 첫 무 렵, 대구(大邱) 동남쪽 끝에 자리한 달성군 우록리(友鹿里)를 찾았다. 우록리는 서쪽으로 우미산(736m), 남쪽으로 삼성산(668m), 북쪽과 동북쪽으로 최정산(905m )과 삼정산(566m)에 꽁꽁 감싸인 산골로 신천(新川)이 흐르는 동쪽만 가늘게 길이 있어 그 곳으로 사람과 차량이 오간다. 이곳에는 임진왜란 시절 항왜(降倭)로 유명한 김충선의 유적(김충선 묘, 녹동서원)이 전하 고 있는데, 사슴과 벗한다는 뜻의 우록리란 마을 이름도 그가 지었다고 전한다. 그 김충선 ..

1. 우록리 남지장사 2. 남지장사로 오르면서 바라본 우록리의 남쪽 지붕, 삼성산~봉화산 산줄기 3. 남지장사로 인도하는 숲길 (남지장사 직전) 4.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남지장사 5. 남지장사 연꽃 석조 6. 남지장사 경내로 인도하는 연등 계단길 7. 광명루 8. 안쪽에서 바라본 광명루 9. 오색연등이 새로운 허공을 이루는 대웅전 뜨락 10. 남지장사 삼성각 11. 삼성각 산신탱, 칠성탱, 독성탱 12. 남지장사 극락보전 13. 남지장사 대웅전 14. 남지장사 석가여래삼존좌상 15. 남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16. 대웅전 신중탱 17. 남지장사 승탑(부도탑) 18. 청련암 19. 청련암 법당의 서쪽 공간 20. 청련암 정문 21. 청련암에서 우록리로 내려가는 숲길 (우록마을 등산로1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