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봉래산둘레길 (고신대 뒷쪽 구간)영도의 대표 지붕인 봉래산(396m) 허리에 봉래산둘레길이 둘러져 있다. 봉래산 허리를 1바퀴 도는 6.5km의 상큼한 숲길로 봉래산 정상(조봉)과 자봉, 손봉 등 봉래산의 지붕을 차례로 찍고 동삼동으로 내려왔는데, 햇님의 퇴근시간까지 시간이 넉넉하여 봉래산둘레길을 따라 조내기고구마역사공원까지 더 걷기로 했다.조내기고구마역사공원까지 산길이 완만하게 이어져 있으며, 숲이 무성하여 숲내음과 산내음이 정말 그윽하다. 2. 작은 산길로 변신한 봉래산둘레길 (고신대 뒷쪽 구간) 3. 봉래산둘레길에서 바라본 동삼동 지역과 한국해양대, 조도, 그리고 대한해협 4. 삼삼한 숲속을 누비는 봉래산둘레길 5. 철책을 넘어가는 봉래산둘레길 6. 늘씬한 나무들로 빽빽한 해련사 밑 ..

1. 봉래산 자봉~손봉 능선길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봉래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조봉(396m), 그 다음이 자봉(387m)이다. 자봉~손봉 능선길은 동/서가 확트여 있어 일품 조망을 자랑하는데, 동쪽으로 청학동과 동삼동 지역, 한국해양대, 조도, 부산북항, 신선대, 오륙도, 남구 지역이 흔쾌히 시야에 들어온다. 2. 봉래산 자봉~손봉 능선길에서 바라본 천하 (서쪽 방향)부산남항 남쪽 바다와 서구, 사하구, 암남공원, 다대포, 낙동강 하류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봉래산 손봉손봉(손자 봉우리)은 봉래산의 3번째 봉우리로 키는 361m이다. 정상부에 바위가 많고 특히 돌로 넓게 닦여진 부분이 있어 오래된 제단이나 성곽 유적 같은 고즈넉한 분위기를 안겨준다. 4. 나무 그늘에 있는 손봉 표..

1. 봉래산 정상(조봉) 주변에서 확대해서 바라본 오륙도5~6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오륙도, 그 서쪽 해상에 길쭉하게 둘러진 것은 바다로부터 부산항(부산북항)을 지키는 오륙도방파제이다. 2. 봉래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청학동과 동삼동 지역, 한국해양대와 조도, 신선대, 용호동, 오륙도 등이 앞다투어 시야에 들어온다. 3. 봉래산 정상(396m) 남쪽에 있는 주름진 바위들 4. 봉래산 정상과 봉래산불로초공원을 느긋하게 이어지는 나무데크길 (봉래산 정상 남쪽 구간) 5. 나무들로 수해를 이루는 봉래산 서쪽 자락과 온갖 배들로 가득한 영도~송도 사이 바다영도 서쪽 바다에는 부산항 입항을 기다리는 화물선과 무역선들이 가득해 천하 제일의 항구공업도시인 부산의 위엄을 느끼게 한다. 6. 봉래산 정상 남쪽..

1. 봉래산 북항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영도 동부 지역(청학동, 동삼동)과 부산북항(부산항), 한국해양대와 조도, 바다 너머로 남구 지역과 감만부두, 신선대, 이기대, 오륙도 등이 두 망막에 가득 들어온다. 2. 봉래산 북항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영도 동부 지역(청학동, 동삼동)과 부산북항, 신선대, 감만부두, 오륙도, 한국해양대와 조도 등 3. 봉래산 북항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북쪽 방향)영도 청학동과 봉래동 지역, 부산항(부산북항), 부산항대교, 동구, 부산진구, 남구, 감만부두, 수영구 지역 등 4. 봉래산 정상부에 닦여진 나무데크길봉래산 정상에서 봉래산불로초공원으로 지그재그 이어지는 나무데크 길이다. 뱀처럼 구불구불의 극치를 보이지만 경사가 완만해 오르기는 쉽다. ..

1. 봉래산을 오르다 (복천사에서 올라가는 산길)봉래산은 영도(영도구)의 대표 지붕으로 키는 396m이다. 영도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큰 뫼로 봉황이 날아들 정도로 잘생긴 뫼라 해서 봉래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중원대륙 전설에 나오는 삼신산의 하나로 불로초가 유명하다는 봉래산을 이곳이라 내세우는 의견도 있다. 그 봉래산은 동쪽 바다 가운데에 있는데, 신선이 살며,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곳 영도 봉래산은 바다 가운데에 전혀 있지도 않으며 불로초, 불사약도 전혀 없다. 하여 봉황이 찾아오는 뫼 봉래산과 불로초로 유명한 봉래산이 한자만 다를 뿐, 이름이 같으니 슬쩍 불로초 봉래산으로 이름을 바꾼듯 싶다. 봉래산 정상을 조봉(할아버지 봉우리), 그 다음 봉우리를 자봉(아들 봉우리), 그..

1. 복천사 3층석탑대웅전 뜨락에 날씬한 몸매의 3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그는 근래 마련된 것으로 기단부, 탑신, 머리장식을 지니고 있는데, 탑은 보통 법당 앞에 세운다. 2. 복천사 산령각복천사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산령각은 1칸짜리 맞배지붕 집이다. 산령각은 산신각의 별칭으로 산신탱과 독성탱을 머금고 있어 독성각의 역할도 겸한다. 3. 산령각에서 바라본 복천사 경내 (바로 앞에 있는 팔작지붕 집은 명부전) 4. 산령각 산신탱(왼쪽)과 독성탱(오른쪽)복천사에는 이곳 독성탱과 별개로 1892년에 조성된 늙은 독성도(부산 지방문화재)가 있으나 아쉽게도 공개를 하지 않는다. 5. 명부전 지장보살상과 무독귀왕상, 도명존자상, 지장탱명부전은 푸른 승려 머리의 금동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무독귀왕, ..

1. 봉래산 복천사 입구부산 영도(영도구)의 대표 지붕인 봉래산(396m) 서쪽 자락 190m 고지에 복천사란 고찰이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절이 들어앉은 곳은 가파른 경사지로 신선중교 정류장(부산 6, 9, 82, 85번 시내버스 경유)에서 각박한 경사의 골목길을 15분 이상 올라가야 되며, 아랫 사진의 복천사 입구(영도구 마을버스 2번 경유)에서도 6~8분을 올라가야 된다. 2. 복천사로 인도하는 가파른 경사의 숲길숲길을 둘러싼 나무들이 시원한 그늘과 숲내음을 무한으로 베풀며 복천사와 봉래산을 찾은 나그네를 격려한다. 3. 월공당 도해대선사 복천사 중초사적비1970년에 도해대선사(박도해)가 복천사를 크게 중창한 것을 기리고자 세운 비석으로 귀부와 비신, 이수를 갖춘 당..

1. 부산 복천동고분군 모형도 (복천박물관 내) 동래읍성이 있는 마안산 서남쪽 자락에 부산에 대표적인 고분 유적으로 추앙을 받는 복천동고분군 이 누워있다. 6.25 이후 복천동고분군이 숨겨져 있던 언덕까지 판자집이 가득 들어찼는데, 1969년 주택 개량공사 를 벌이던 중 우연히 늙은 무덤이 발견되어 확인에 들어갔다. 이후 여러 번의 시굴 조사와 8차에 걸 친 발굴조사를 통해 1~2세기에서 7세기 초에 해당되는 200여 기의 무덤을 확인했으며, 언덕 정상부 에는 4~5세기 것으로 보이는 딸린덧널을 갖춘 커다란 덧널무덤과 구덩식 돌덧널무덤이 자리해 있다. 여기서 나온 유물은 토기류, 철기류, 장신구류 등 10,000여 점에 이르며, 특히 철제 유물이 많다. 특 히 이 땅에서 단일 유적으로는 가장 많은 철제 ..

1.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에서 복천동고분군으로 내려가는 숲길 (복천동고분군 방향) 2.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에서 복천동고분군으로 내려가는 숲길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 방향) 3. 영보단비 비리비리한 조선의 끝자락인 1909년, 왜국의 농간으로 조선 조정은 전국의 호적대장을 모두 거두어 들이려고 했다. 조선은 초기에도 전국 명가에 전하고 있던 무수한 역사서를 강제로 압수하는 만행을 저질렀는데, 호적대장 압수에 대해 주민들은 조상의 이름이 적힌 호적대장이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것을 크게 우려했다. 하여 동래 지역 13개면 주민들은 마안산 자락인 이곳(복천박물관 동남쪽)에 호적대장을 모아 불태 우고 그 자리에 단을 쌓아 영모단이라 했다. 1915년 영보단비를 세웠으며, 지역 사람들은 매년 음력 4월 23일..

1. 동래읍성 북장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 동래구 동부 지역과 장산, 해운대구 서부 지역, 수영구 지역, 금련산, 황령산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북장대는 동래읍성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으로 일품 조망을 자랑한다. 2. 북장대에서 바라본 남쪽 방향 (충렬사 뒷산인 망월산과 금련산, 황령산 등) 3. 북장대에서 바라본 서남쪽 방향 (동래구, 연제구, 부산진구, 백양산, 엄광산 등) 4. 동래읍성 북장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동래읍성에 설치된 3개 장대의 일원으 로 고약했던 왜정 때 사라진 것을 근래 서장대, 남장대와 함께 복원, 재현했다. 5. 북장대에서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으로 인도하는 숲길 6. 하늘을 가리며 늘씬하게 솟은 숲길 사이로 (부산3..

1. 동래사적공원 소나무 숲길 늘씬한 소나무들이 무성하게 숲을 이루며 아낌없이 솔내음을 베푼다. 이곳은 동래읍성 북문 서북쪽 으로 숲 사이로 숲길이 상큼하고 펼쳐져 있다. 2. 솔내음이 가득한 소나무 숲길 (동래사적공원) 3. 소나무 숲길의 동쪽 끝 (동래읍성 북문 밖) 4. 옹성을 지닌 동래읍성 북문 (서쪽 방향) 5. 깃발이 마중을 하는 동래읍성 북문 동쪽 성곽길 (북장대 방향) 6. 동래읍성 북문~북장대 구간 성곽 북문~북장대 구간 성곽은 중간에 뚝 끊어져 있다. 성곽은 여기서부터 자연에 묻힌 모습으로 한없이 낮아지며, 이곳까지는 아직 복원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7. 북장대로 인도하는 가파른 계단길 8. 동래읍성 북장대 옛 동래고을(동래부)의 중심지였던 동래읍성에는 북장대와 서장대, 동장대 등 ..

1. 동래읍성 서장대 (동래사적공원) 동래읍성 북문에서 서쪽으로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서장대가 있다. 팔작지붕을 지닌 2층 건물로 근래 복원된 것인데, 1층은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면 되며, 안에서 수다, 약간의 휴식 정도는 취해도 됨, 단 음식을 먹거나 길게 머무는 행위는 삼가할 것) 2. 서장대 서쪽 성곽길 (동래읍성) 서장대 서쪽 성곽은 근래 복원되어 여장과 성돌 상당수가 엄청난 하얀 피부를 자랑한다. 이 땅의 읍성 가운데 단연 큰 규모를 자랑했으며, 속령인 대마도와 왜열도까지 통제, 단속했던 위엄 돋는 동래부의 중심지였지만 고약한 왜정 시절 읍성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고 마안산과 망월산(충렬사 뒷산) 산지에 있는 성곽만 겨우 남았다. 허나 산지(마안산, 망월산) 성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