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동래읍성 북문으로 인도하는 숲길 (동래사적공원) 동래읍성은 옛 동래부의 중심부이다. 지금이야 동래가 부산의 그늘에 있지만 조선 후기까지는 그 반대로 부산의 천하(기장군, 강서구 제외)가 동래부 그늘에 있었다. 동래읍성은 마안산과 충렬산 뒷산인 망월산에 걸쳐져 있는데, 산지와 평탄지에 조성된 평산성 스 타일로 조성되었다. 산성과 평지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읍성으로 언제 처음 조성되었는지는 마안 산 산신도 모르는 실정이나 삼국시대부터 성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삼한시대에 있었다는 독로국 을 동래 지역으로 보고 있으나 이는 왜열도 쓰레기 학자들과 식민사관 쓰레기들이 지들 멋대로 비 정한 것이라 100% 정답이 아님) 고려 현종 시절인 1021년에 동래군 성을 수리했다고 하는데, 그 동래군 성을 동래읍성..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금강공원 소나무숲 2. 동래온천 온정개건비 3. 용각의 정문인 온정용문 4. 용각 5. 금강공원 정문 6. 지석영 선생 공덕비 7. 거북바위 8. 금강공원 소나무숲길 9. 독진대아문터 10. 동래금강원 표석 11. 금강공원 연못 12. 금강공원 둘레길 13. 소나무로 가득한 금강공원둘레길 14. 금강공원 북쪽 연못 15. 임진동래의총 외삼문 16. 임진동래의총 외삼문 안쪽에 줄지어 있는 비석들 (동래부사 선정비, 불망비 등) 17. 임진동래의총으로 인도하는 길 (왼쪽 기와집은 금정사) 18. 임진동래의총 내삼문 19. 임진동래의총 충혼각 20. 임진동래의총 21. 임진전망유해지총 비석 22. 금정사 보제루 23. 금정사 경내 (대웅전 주변) 24. 금정사5층석탑 25. 금정사 칠성각 26. 금정사 ..

1. 대마도 와타즈미신사 도리이들 2. 에보시다케전망대에서 바라본 아소만 3. 만관교 동쪽 미우라만과 여호도(메고시마) 4. 대마도 만관교(만제키바시) 5. 만관교 서쪽 아소만 6. 만관교 서쪽 만관협곡 7. 만관교 동쪽 미우라만과 메고시마 포구(왼쪽 마을), 구스보(오른쪽 산지) 8. 만관운하 개삭비 9. 만관교 주변(구스보, 메고시마) 지도 10. 에보시다케전망대 11. 에보시다케전망대에서 바라본 아소만과 사가 포구 12. 에보시다케전망대에서 바라본 아소만 13. 에보시다케전망대 남쪽 봉우리 14. 주차장에서 바라본 에보시다케 15. 에보시다케 주차장에서 바라본 아소만과 사가 주변 16. 와타즈미신사 남쪽 삼나무숲길 입구 17. 와타즈미신사 남쪽 삼나무숲길 18. 금줄이 쳐진 삼나무숲 도리이 19. ..

1. 선암사 용왕당과 폭포 2. 백양산 선암사로 이어지는 언덕길 (백양산로) 3. 선암사 주차장 주변 선암사계곡 4. 선암사 선방 5. 선암사 관음전 6. 선암사 대웅전 7. 선암사 명부전 8. 용왕당과 극락전 구역으로 이어지는 계단 9. 대웅전과 명부전 사이에 뿌리를 내린 소나무 10. 선암사 용왕당 11. 선암사 용왕 불사공덕비 12. 용왕당 용왕상과 벼랑 밑에 자리한 폭포 13. 용왕당에서 칠성각으로 이어지는 각박한 계단길 14. 선암사3층석탑 15. 선암사 칠성각 16. 칠성각과 산신각 사이를 흘러가는 선암사계곡 17. 선암사 산신각 18. 선암사 극락전 19. 극락전 목조아미타3존상(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20. 선암사 조사전 21. 조사전에 봉안된 승려의 진영 22. 선암사에서 바라본 백양..
' 부산 대마도 나들이 ' (장송사 백제은행나무, 미우다해수욕장, 한국전망대) ▲ 대마도 미우다해수욕장 ▲ 한국전망대 ▲ 장송사 백제은행나무 (킨의 장수 은행나무) * 대마도의 본토는 대한민국(우리나라)이다. * 2020년 이후 부산과 대마도를 잇는 뱃편은 1도 없으며 찾는 이도 없다. * 본글은 2019년 이전에 간 것임을 밝힌다.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끝 무렵, 대한해협에 길쭉하게 떠있는 대마도를 찾 았다. 대마도(對馬島)는 2004년부터 계속 인연을 노렸으나 그때마다 태풍이 초를 치면서 가지 를 못했다. 그러다가 어느 5월에 이르러 1박2일로 갈 기회가 생겼는데 이번에는 날씨가 보우하사 100% 상륙 확정이다. 부산과 구주(규슈, 九州) 사이에 자리한 대마도 는 708㎢의 덩치로 유인..
' 기장 동해바다 나들이 (죽성리 월전에서 대변을 거쳐 해동용궁사까지) ' ▲ 연화리 앞바다 (멀리 보이는 곳은 대변항) ♠ 월전에서 대변까지 ▲ 남쪽에서 바라본 월전포구 기장읍 동쪽 죽성리(竹城里)에서 시작된 우리의 기장 동해바다 봄나들이는 죽성리 일대의 명소 를 두루 둘러보고 월전을 거 쳐 대변으로 향했다. 월전에서 대변까지는 3km 정도 된다. 이 구간을 운행하는 대중교통은 하나도 없으며, 1.5~2차 선 정도의 길(기장해안로)이 바다와 적당히 거리를 두며 펼쳐진다. 월전 남쪽에는 식당을 비롯 해 분위기를 내세운 카페들이 여럿 뿌리를 내렸고, 그 이후 대변 동쪽까지는 드문드문 별장처 럼 생긴 집들이 보일 뿐이다. 휴일이라 그런지 대변이나 월전으로 외식을 하러 가거나 드라이 브를 나온 차량들이 수시로..
' 부산 기장 동해바다 나들이 (기장 죽성리 일대) ' ▲ 죽성리왜성에서 바라본 죽성리와 동해바다 (정면에 큰 나무가 죽성리해송) ▲ 죽성리왜성 ▲ 죽성리 월전포구 지루했던 겨울이 저물고 봄이 완전히 천하를 접수했던 4월의 한복판에 겨울로부터 해방된 기분도 만끽할 겸, 그리운 얼굴도 보고자 간만에 부산을 찾았다. 부산(釜山)은 이 땅의 2번째 대도시이자 천하 제일의 항구 도시로 북쪽은 울산 울주군(蔚 州郡), 서쪽은 경남 창원과 김해와 경계를 이루고 있고, 동쪽은 너른 동해바다를 품고 있 으며, 남쪽은 바다 건너 대마도(對馬島)에 이르는 큰 지역이다. 부산으로 내려가던 중, 잠시 대구에서 발길을 멈추고 팔공산(八公山)에 안긴 파계사(把溪 寺)와 성전암(聖殿庵)을 둘러보며 산사(山寺)의 봄 풍경을 즐겼다...
' 부산 도심 속에 숨겨진 상큼한 뒷동산, 배산 ' 천하 제일의 항구 도시이자 우리나라 2번째 대도시로 콧대로 높은 부산(釜山) 도심 한복 판에 배산(盃山, 254m)이란 조그만 산이 솟아있다. 이 산은 연제구 연산동과 수영구 망미동(望美洞) 사이에 자리해 있는데 남쪽으로 금련산 (金蓮山)과 바짝 이어져 있다. 허나 그 사이로 연산로와 주택가가 비집고 들어오면서 그 들의 각별한 사이를 끊어버려 졸지에 시가지에 포위된 외로운 신세가 되었다. 하긴 배산 뿐이겠는가?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에는 개발의 칼질로 강제로 섬이 되어버린 가련한 작 은 산들이 적지 않다. 산의 모양이 마치 술잔을 엎어놓은 듯한 모양이라 하여 배산이라 불리며, 254m의 높이로 대도시 도심 속에 박힌 뫼치고는 제법 높아 보인다. 허나 부..
' 부산 해운대~송정 바다 산책 ' (동백섬, 달맞이고개, 문텐로드, 청사포, 구덕포) ▲ 해운대해수욕장 ▲ 문텐로드 오솔길 ▲ 송정해수욕장 반년 가까이나 천하의 절반을 지배하던 겨울 제국(帝國)이 완전 저물고 봄이 하늘 아래 세 상을 말끔히 해방시킨 4월 첫 무렵 주말에 따뜻한 남쪽, 부산을 찾았다. 부산(釜山)의 오랜 단골집인 광안동(廣安洞) 선배 집에 여장을 풀고 인근 고깃집에서 삼겹 살에 곡차(穀茶, 술)를 들이키며 간만에 회포를 풀었다. 그렇게 코가 비뚤어지도록 곡차를 마시고 자정 넘어서 잠자리에 들었다. 이튿날 오전, 찬란한 여명과 선배의 재촉에 졸린 눈을 비비며 깨어났다. 해는 이미 중천에 올라 천하를 비춘다. 아직까지는 초봄이지만 따스한 남쪽이라 한낮에는 다소 더울 듯 싶어 반팔 옷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