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삼척 영은사 대웅보전 2. 겨울에 잠긴 추천 3. 영은사 일주문 4. 영은사 경내로 인도하는 다리 5. 영은사 금련루 6. 영은사 설선당 7. 영은사5층석탑 8. 영은사 대웅보전 9. 대웅보전 석가삼존상과 후불탱 10. 대웅보전 감로도 11. 대웅보전 지장탱과 지장시왕상 12. 대웅보전 천정 13. 포대화상 14. 영은사 팔상전 15. 팔상전 현판 16. 팔상전 팔상도의 일부 17. 영은사 삼성각 18. 삼성각 칠성탱 19. 영은사 심검당 20. 심검당에 걸린 '태백산 영은사' 현판의 위엄 21. 심검당 현판

1. 삼천사 마애여래입상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2. 삼천사 가는 길(연서로54길) 3. 삼천리골사지1 (절터) 4. 삼천사계곡 5. 미타교 직전 고갯길 6. 미타교 7. 미타교 주변 삼천사계곡 8. 삼천사 경내 직전의 각박한 오르막길 9. 각박한 오르막에 자리한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 비석과 석등 1쌍 10. 삼천사 종형사리탑과 마애여래입상 11. 나한사리를 머금은 5층석탑 12. 세존진신사리 불탑 13. 지장보살입상 14. 태극마크가 새겨진 법고와 평화대범종 15. 삼천사 일주문 16. 삼천사 대웅보전 17. 대웅보전 석가여래삼존상과 후불목각탱 18. 대웅보전 신중탱 19.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과 눈썹바위 20.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21.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의 아랫부분 22. 마..

1. 영월 김삿갓묘 2. 김삿갓유적지 입구를 지나는 마포천 (단양 의풍리 방향) 3. 김삿갓유적지 입구 4. 돌이 입혀진 김삿갓유적지 탐방로 5. 바위에 심어진 커다란 돌탑 6. 김삿갓 묘를 찾아낸 정암 박영국 선생 공적비 7. 산책로 서쪽에 주렁주렁 달린 돌탑들 8. 김삿갓이 개성 지역 인심의 야박함을 꼬집으며 지은 시 邑名開城何閉門 - 고을 이름은 개성인데 어찌 문을 닫아 걸며山名松岳豈無薪 - 산 이름은 송악(松嶽)인데 어찌 땔감이 없다 하는가黃昏逐客非人事 - 석양의 나그네를 쫓는 것은 사람의 인사가 아니거늘禮義東方子獨秦 - 예의 동방의 나라에는 그대만이 진나라 진시황이던가 9. 김삿갓이 샘물을 떠 마시면서 물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며 지은 시 (또는 어느 주막에서 술에..

1. 건계정으로 인도하는 건계정계곡 북쪽 숲길건계정계곡(거창 위천) 북쪽 벼랑 소나무숲에 닦여진 숲길이다. 건계정약수터에서 건계정으로 인도하는 숲길로 난간 너머는 70~80도 이상의 각박한 벼랑이니 난간 안쪽 길로 고분고분 발을 움직여야 된다. 2. 잔잔한 모습의 건계정계곡 (동쪽 방향) 3. 건계정계곡의 중심, 건계정 앞 계곡 (거창 위천)건계정 앞을 흐르는 거창 위천을 건계정계곡이라 부른다. 청정한 위천의 수분과 건흥산의 푸른 소나무숲, 주름진 벼랑과 온갖 바위, 반석이 어우러진 경승지로 나들이와 피서 수요가 많다. 4. 건계정계곡을 굽어보는 건계정 5. 건계정계곡과 계곡에 걸린 다리 (건계정 동쪽) 6. 건계정 다리에서 바라본 건계정계곡과 물레방아 주변 (동쪽 방향) 7. 건계정다리 ..

1. 거창 위천 송정교 동쪽 구간 (거창 읍내 방향)위천은 거창 읍내의 대표 젖줄이다. 거창군 북상면 농산리에 있는 성천(월성천)과 소정천 합류 지점에서 거창읍을 거쳐 황강까지 흐르는 내를 위천이라 부르는데, 원래 윗내라 부르던 것을 세월을 타면서 위천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위천이란 이름을 가진 내가 경북에 많아서 이를 구분하고자 '거창 위천'이라 부르고 있는데, 건흥산 남쪽 밑이자 건계정 옆구리를 흐르는 위천을 건계정계곡이라 부르며, 지역 피서지와 경승지로 나름 바쁘게 살아간다. 2. 거창 위천 송정교 밑 (건계정 방향) 3. 건흥산 등산로 안내도건흥산(573m)은 거창 읍내의 대표 지붕으로 거열산성이라 잘못 전하는 늙은 산성 유적을 품고 있다. 건계정에서 올라가는 산길은 그런데로 완만하나 건계정계..

1. 북한산 정릉계곡서울의 오랜 진산이자 대표 지붕인 북한산(삼각산), 그는 나의 즐겨찾기 뫼의 일원으로 매년 적지 않게 그의 품을 찾고 있다. 이번에는 정릉동에서 시작하여 영취사, 북한산성, 문수사 등 북한산의 주요 명소를 복습하고 왔는데, 정릉 코스(정릉동)는 110(A,B), 143, 162, 1020, 1113번 시내버스를 타고 정릉 종점에서 내리면 된다.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4호선 길음역 3번 출구에서 110, 143번 / 4호선과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162번, 1번 출구 밖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143번 /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1번 출구에서110,143, 162, 1113번 이용) 2. 경쾌하게 흘러가는 정릉계곡정릉계곡은 북한산(삼각산) 남쪽 자락에 있는 계곡이다. ..

1. 성수산 상이암으로 인도하는 숲길(성수산길)상이암은 성수산왕의숲자연휴양림(성수산휴양림) 중심부를 지나서 30분 이상을 올라가야 된다. 그만큼 첩첩한 산주름에 완전히 푹 묻힌 산중 산사로 대중교통(택시 제외)으로 가려면 무지하게 힘든 곳이다. 하여 인생에 딱 1번 밖에 갈 수 없는 특별한 곳이라 생각하고 그 벽지로 뛰어들었다. 2. 늦겨울에 잠긴 성수산 상이암계곡각이 진 주름진 벼랑과 바위들 사이로 성수산이 빚은 청정한 수분이 졸졸 흘러간다. 계곡 안쪽에는 작은 폭포가 있으나 접근하는 길이 영 좋지 못하여 이렇게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했다. 3. 층층이 주름진 상이암계곡의 키 작은 폭포들 4. 적막에 잠긴 상이암 가는 길(성수산길) 5. 상이암 안내도상이암 경내는 대략 저런 구조이다. 상이암 안내도가 ..

1. 경쾌하게 쏟아지는 홍류폭포홍류폭포는 신불산과 간월산이 빚은 높이 35m의 잘생긴 폭포이다. 폭포수가 바위 벼랑을 타고 내려와 물보라를 시원스럽게 뿌리는데, 폭포 밑에는 수심이 얕은 못이 있어서 피서 및 물맞이 하기에 아주 좋다. 2. 폭포수가 거세게 내려앉는 홍류폭포 못 3. 물보라를 점점이 뿌리는 홍류폭포 4.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 홍류폭포의 위엄이곳에서 20분 정도 머물면서 폭포를 정말 지겹게 바라보았다. 여벌의 옷이 있었다면 여기서 물맞이도 하고 싶었지만 그냥 이렇게 폭포를 바라보는 것과 손으로 폭포수를 만지는 것으로 만족했다.

1. 신불산 홍류폭포를 찾아서등억온천단지에 있는 간월사터와 간월사 석조여래좌상을 둘러보고 햇님의 퇴근시간까지 아직 여유가 있어서 홍류폭포까지 더 챙겨보기로 했다. 홍류폭포는 신불산과 간월산 자락 400m 고지에 숨겨진 잘생긴 폭포로 등억온천단지 서쪽에 있는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신불산 주차장에서 20분 이상 올라가야 된다. 그에게로 가는 길은 그렇게 각박하지는 않으나 그날까지 소나기가 내려서 산길과 돌길 모두 수분기를 적지 않게 품고 있었다. 하여 길이 은근히 미끄러웠으며, 폭포로 향하는 계곡길은 크고 견고한 바위와 돌들이 첩첩히 둘러져 있어 통행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어둠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 홍류폭포신불산과 간월산의 명품 폭포로 크게 추앙을 받는 홍류폭포는 높이 35m의 잘생긴 폭포이..

1. 백석동천 별서터 2. 백사실계곡 현통사 밑 백사폭포 3. 백석동천 별서터 4. 혜문사입구 골목길에서 바라본 인왕산의 위엄 5. 혜문사입구에서 백사실계곡(백석동천)으로 넘어가는 산길 6. 현통사 밑 백사폭포 7. 윗쪽에서 바라본 백사폭포와 너른 반석 8. 여름 녹음이 진하게 깃든 백사실계곡 숲길 9. 별서터 돌다리에서 바라본 백사실계곡 10. 별서터 옆을 지나는 백사실계곡 (별서터 징검다리 주변) 11. 별서터에서 바라본 월암 바위글씨 12. 백석동천 별서터 (연못터, 정자터) 13. 사랑채에서 바라본 연못 14. 백석동천 바위글씨 15. 사랑채터와 안채터가 있는 언덕 16. 연못에서 사랑채터로 바로 이어주는 돌계단 17. 사랑채터 18. 석축 위에 닦여진 사랑채터 누마루 주춧돌 19..

1. 작괘천 상류 (등억교 서쪽 구간)작괘천은 간월산과 신불산에서 발원하여 태화강으로 흘러가는 하천이다. 등억교를 지나서 작천정다목적광장까지 그 유명한 작천정계곡을 품고 있는데, 작천정계곡 윗쪽인 작괘천 상류(등억교 서쪽)도 비록 작천정계곡만큼은 아니어도 상큼한 경치가 꽤 많다. 2. 등억알프스야영장 옆구리를 지나는 작괘천 오른쪽(남쪽)에 인공 조미료가 많이 들어간 곳이 신불산군립공원에서 운영하는 등억알프스야영장이다. 3. 직각 벼랑에 작게 펼쳐진 이름 없는 폭포키 작은 폭포가 청정한 수분을 빵빵 터트리고 있다. 4. 등억온천단지 북쪽을 지나는 작괘천 5. 중간중간에 달달한 풍경을 내놓는 작괘천 상류 (등억온천단지 북쪽) 6. 등억천 옆구리에 닦여진 붉은 피부의 산책로 (서쪽 방향) 7. 울퉁불퉁 ..

1. 작천정울산 및 울주 지역의 제일 경승지로 격하게 찬양을 받는 작천정계곡에서 가장 풍경이 일품인 너럭바위에 작천정이 둥지를 틀고 있다.작천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누각으로 고려 후기에 언양으로 유배를 온 포은 정몽주가 글을 읽은 곳이라고 전하는데, 조선 세종 때 지역 선비들이 제왕의 덕을 기리고자 작천정을 세웠다고 하나 그 정자는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졌다. 이후 한참의 시간이 흐른 1895년 봄, 언양현감인 정긍조가 현 작천정 자리에서 시회를 열었는데, 이때 누각을 지을 것을 조정에 주청했다. 그래서 5년 뒤인 1900년 가을 울산군수 최시명이 짓기 시작해 1902년 여름에 완성을 보았으며, 누각 이름을 작천정이라 했다. (작천정 현판은 서예가 김성근이 썼음)1944년 작천정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