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419)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397)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63)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7)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1)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62)
      • 인천 (17)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72)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18)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3)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2)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6)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1)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55)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49)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52) N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53)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2)
    • 맛집, 별미, 후식 (15)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추천계곡 (105)
운악산 동쪽 자락에 깃든 상큼한 계곡, 가평 현등사계곡 (삼충단, 현등사골 백년폭포, 민영환바위, 민영환바위글씨)

1. 현등사계곡 삼충단 운학리 현등사입구에서 현등사로 인도하는 현등사계곡길을 들어서면 일주문 직전에 삼충단이 마중을 나온다. 이곳은 구한 말 왜국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다가 자결한 조병세와 민영환, 대마도에서 사망한 최익현을 기리고자 내시부지사 나세환, 첨 지 김두환, 현등사 주지 정금명 등 가평 지역 유지들이 1910년에 세운 제단이다. 1905년 을사조약(늑약)에 크게 분개하여 조병세와 민영환은 자결을 했고, 최익현은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우리의 옛 땅인 대마도로 유배를 가 그곳에서 밥을 끊고 굶어죽었다. 1931년 왜정에 의해 사라졌으며, 1988년 유지 39인이 삼충단 복원 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추모비를 복원하고 기념비를 세웠 다. 그리고 2005년 현 자리로 이전해 매년 그들을 추모하고 있다...

수도권 사진 답사기 2020. 9. 18. 02:26
서울 도심 속에 두멧골을 거닐다 ~~ 북악산 북쪽 자락에 깃든 백사실계곡, 부암동 능금마을, 평창동 소나무 (백사실약수터)

' 서울 도심 속의 두메산골을 거닐다 ' (부암동 능금마을, 백사실계곡, 북악산 북쪽 자락) ▲ 부암동 능금마을(뒷골마을) ▲ 은덕사에서 바라본 부암동 ▲ 평창동 소나무 여름 제국의 무더위 갑질이 극성이던 8월의 첫 무렵, 일행들과 북악산(백악산) 북쪽 자락 을 찾았다. 북악산 북쪽 자락(부암동, 평창동 지역)에는 나의 오랜 즐겨찾기 명소인 백석동천(白石洞 天, 백사실계곡)을 비롯해 능금마을(뒷골마을), 평창동(平倉洞) 소나무 등의 명소가 깃들 여져 있는데 여름 제국의 핍박도 피할 겸, 간만에 그들을 복습할 생각으로 북악산의 품을 찾은 것이다. 세검정초교 정류장에서 홍제천(弘濟川)을 건너 백석동천의 북쪽 관문인 현통사(玄通寺)와 백사폭포로 접근했다. 그곳을 지나면 백사골(백사실)의 속살로 들어서게 되는데..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0. 8. 31. 12:00
조망이 일품인 용마산 남쪽 능선과 용마산1보루 (긴고랑에서 용마산1보루까지)

1. 아차산 긴고랑 이번 아차, 용마산 나들이는 아차산과 용마산 사이에 자리한 긴고랑에서 시작했다. 긴고랑은 아차산과 용마산이 빚은 아차 산의 대표급 자연산 계곡으로 하류에는 인공이 좀 가해지긴 했으나 수량이 많고 자연산 부분도 적지 않아 여름에는 피서의 성지로 격하게 추앙을 받는다. 아랫 사진의 장소는 긴고랑계곡 직전으로 여기서 용마산1보루와 2보루를 잡으러 용마산으로 올라갔다. 2. 긴고랑에서 용마산1보루, 용마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산길 용마산 남쪽 능선으로 이어지는 이 구간은 경사가 좀 각박하다. 하여 흥분한 경사를 조금 순화시키고자 일부 구간에 계단길 을 닦았다. 3. 용마산 남쪽 능선에서 바라본 아차산 산줄기 지금은 용마산과 아차산을 따로 보고 있지만 용마산도 원래 아차산의 일원이다. 4. 용마..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8. 22. 19:37
서울의 북쪽 지붕, 도봉산 계곡 나들이 ~~ 무수골에서 우이암(관음봉), 문사동계곡, 용어천계곡, 도봉계곡, 도봉동문까지

' 도봉산 봄나들이 (우이암, 문사동계곡, 도봉계곡)' ▲ 도봉산 우이암(관음봉) ▲ 문사동 바위글씨 ▲ 도봉산 (주능선, 자운봉) 봄이 막바지 절정에 이르던 5월의 어느 평화로운 주말, 일행들과 서울의 북쪽 지붕, 도 봉산(道峯山)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가운데서 방긋거리던 13시, 집에서 가까운 도봉역(1호선)에서 그들을 만나 분식점과 마트에서 김밥과 간식 등을 넉넉히 사들고 무수골을 통해 도봉산의 포근한 품 으로 들어섰다. 서울의 별천지이자 아늑한 산골 마을로 논까지 갖추고 있는 무수골을 지나 원통사계곡( 보문사계곡, 무수골 상류)을 오른다. 계곡은 작지만 바위와 암반이 즐비하고 수심이 얕 아 조촐한 피서의 성지로 추앙을 받고 있으며, 그 계곡을 30분(무수골공원지킴터 기준) 정도 오르면 우이암(관..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8. 20. 03:38
관악산 북쪽 자락에 자리한 고즈넉한 산사, 남현동 관음사 (일주문, 명부전, 삼성각, 관음사 석조보살좌상)

1. 관악산 관음사 일주문 관음사는 관악산 북쪽 자락 남현동에 자리한 산사로 절 이름 그대로 관음도량을 칭하고 있다. '남태령 관음사', '승방골 관 음사'라 불리기도 하며, 절을 끼고 흐르는 계곡을 절골이라 부른다. 895년에 도선국사가 관악산의 화기를 누르고자 비보사찰로 세웠다고 전하나 관련 유물과 사료는 전혀 없는 실정이며, 다 만 고려 때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창건 이후 18세기까지 긴 시간 동안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초기 인물인 변계량(1369~1430)이 쓴 '관음사 절경'이란 시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하고 있어 조선 초에도 법등을 유지했음을 알려준다. 또한 18세기에 제작된 범우고와 가람고, 여지도서 등에도 관음사가 짧게 소개되어 있고, 1977년에 극락전을 해체했을 때 나온 상량문..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8. 5. 11:41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북한산 숨은벽능선 뒷통수에 숨겨진 상큼한 폭포, 밤골계곡 숨은폭포 (북한산둘레길 효자길, 효자비)

'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북한산 숨은폭포(밤골계곡) ' ▲ 숨은폭포 (윗폭포와 아랫폭포) 여름 제국의 무더위 갑질이 극성이던 8월의 한복판에 일행들과 북한산(삼각산) 뒷통수에 숨 겨진 숨은폭포를 찾았다. 날도 징그럽게 더워서 도심에서 가까운 계곡에서 밤을 담구며 잠시 여름의 핍박을 피하기로 했는데, 처음에는 구파발(舊把撥)에서 가까운 진관사계곡이나 사기막골(효자동계곡)을 염두 에 두었으나 밤골계곡에 숨겨진 숨은폭포가 격하게 땡겨 그곳으로 출동했다. 여름의 기운이 제법 강했던 14시에 연신내(3,6호선)에서 그들을 만나 폭포에서 섭취할 간단 한 먹거리와 막걸리를 구입했다. 그런 다음 서울시내버스 704번(부곡리,송추↔서울역)을 타 고 박석고개와 구파발역, 북한산성입구, 효자비를 지나 효자2통 정류장에..

수도권 사진 답사기 2020. 7. 29. 07:43
화양계곡(화양구곡)의 제7곡 와룡암, 제8곡 학소대, 해발고도를 표시하는 수준점 (와룡암 바위글씨)

1. 화양계곡 와룡암 와룡암은 화양9곡의 제7곡으로 계곡가에 길게 누운 바위인데, 그 모습이 용이 꿈틀거리며 누워있는 것처럼 보여 와룡암이 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바위 피부에 '와룡암' 바위글씨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으니 이곳에 왔다면 한번 찾아보기 바란다. (한문만 알면 의외로 찾기는 쉬움) 2. 계곡가에 길게 누운 주름진 와룡암 3. 와룡암 한복판에 깃든 와룡암 바위글씨 4. 와룡암에서 바라본 화양계곡 상류 쪽 (학소대 방향) 5. 학소대 학소대는 화양구곡의 제8곡으로 청학이 집을 짓고 새끼를 길렀다고 전한다. 청학이 과연 이곳에 살았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계곡가에 우뚝 솟은 기암절벽에 노송이 우거져 있어 청학도 흔쾌히 찾을 정도로 빼어난 풍경을 자랑한다. (옛 사람들은 아름다운 경승지에 보통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5. 05:16
화양계곡(화양구곡)의 제4곡 금사담, 제5곡 첨성대, 제6곡 능운대 (능운대 바위글씨)

1. 금사담 금사담은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4곡으로 화양9곡 식구 중 가장 빼어난 곳으로 찬양을 받고 있다. 금사담이란 이름은 수정 처럼 맑고 깨끗한 물 속에 잠긴 모래가 마치 금가루 같다고 해서 붙여진 것으로 계곡에는 암반과 바위들이 즐비하며 물놀이 에 좋게 모래밭까지 갖추고 있어 천연 풀장을 이룬다. 계곡 건너 벼랑에는 암서재란 정자가 있는데 그곳은 송시열이 화양동에 은거할 때 지은 별장이다. 2. 금사담과 늘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암서재 암서재는 노송이 울창한 층암벼랑 위에 닦여진 팔작지붕 정자이다. 송시열이 별장으로 지어 팔자좋게 머물던 곳으로 그는 여기서 '시냇가에 바위 벽이 열리어 / 그 사이에 집 1간을 지었네 / 고요히 앉아 성인의 교훈 받들어 / 한치라도 더위잡고 올라 보 려네' 시..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4. 03:08
화양서원 만동묘,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4곡인 금사담와 암서재

1. 만동묘 성공문에서 바라본 화양서원 경내 가파른 계단 밑으로 보이는 맞배지붕 문은 만동묘의 외삼문인 추양문이다. (왼쪽은 존사청과 풍천재, 오른쪽은 증반청) 2. 만동묘 내부 만동묘는 화양서원의 일원으로 서원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송시열의 유언으로 1704년에 세운 명나 나 신종, 의종의 사당으로 황색 단 위에 그것들의 위패를 봉안했다. 보통 서원에서 가장 높은 곳에는 그 서원에서 중심적으 로 띄워주는 존재의 사당이 있기 마련인데, 여기는 엉뚱하게도 명 신종, 의종의 사당을 두어 망해버린 명에 대한 꼴사나운 꼴통 사대주의를 징그럽게 보였다. 3. 만동묘 앞 석주 지역 유생과 조선 조정이 얼마나 만동묘를 애지중지했는지 키가 큰 석주까지 닦아놓아 이곳의 분위기를 더욱 엄숙하게 돋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3. 03:31
괴산 화양계곡에 깃든 오랜 옥의 티, 화양서원 만동묘 (만동묘정비)

1. 화양계곡 만동묘 화양계곡(화양구곡) 제4곡인 금사담 주변에 만동묘와 화양서원 묘정비가 있다. 17세기 문인이자 성리학의 대표급 인물로 쓸데없이 큰 이름을 지닌 우암 송시열(1607~1689)이 화양계곡 경치에 퐁당퐁당 반해 이곳에 별서를 짓고 팔자좋게 머문 인연이 있는데, 그는 조정에 출사를 했다가 그만두고 이곳에 오기를 여러 번 반복했다고 전한다. 그는 왕세자 책봉 문제로 숙종에게 상소를 했다가 제주도로 귀양을 갔고, 심문을 받고자 상경하는 중에 정읍에서 숙종이 내린 사약을 먹고 82세의 나이로 강제 사망했다. 그는 골로 가기 전, 자신의 열성제자였던 수암 권상하에게 이미 망해버린 명나라 신종과 의종의 사당을 지을 것을 요구했다. 하여 권상하와 그 떨거지들은 아름다운 화양계곡에 명에 대한 꼴통 사..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2. 03:01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2곡인 운영담과 제3곡인 읍궁암, 화양서원 묘정비

1. 운영담 운영담은 화양9곡의 제2곡으로 계곡과 소(못), 직각으로 솟은 벼랑이 어우러진 경승지이다. 운영담이란 이름은 소(못)에 뜬구름의 그림자가 맑게 비쳐서 유래된 것으로 한여름에는 피서의 성지로 바쁘게 살고 있으며, 벼랑 밑도리에는 '운영담' 바위글씨가 새겨져 있으니 잘 찾아보기 바란다. 2. 운영담 동쪽 벼랑 운영담은 피서의 성지로 물놀이에 좋은 곳이나 벼랑 쪽은 수심이 깊으니 금줄 안쪽은 가급적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 화양계곡에 깃든 우암 송시열 유적 안내도 (화양서원, 만동묘) 4. 읍궁암 비석 읍궁암은 화양9곡의 제3곡으로 계곡에 있는 너른 바위이다. 화양계곡에서 팔자좋게 머물던 송시열이 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매일 새벽마다 이곳 바위에서 서울 쪽을 향해 弓처럼 엎드려 통곡했던 곳이..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0. 00:31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2곡인 운영담

1. 녹음이 짙게 우거진 화양계곡 숲길 (화양계곡 주차장에서 운영담 방향) 2. 유유히 흘러가는 화양계곡(화양동계곡) 3. 화양계곡 옆 숲길 (포장길 탐방로와 화양계곡 사이 숲길) 4. 화양계곡은 이렇게 만들어졌다고?? 5. 운영담 (화양2교에서 바라본 모습) 콸콸 쏟아지는 둑 너머로 물이 많이 모인 곳이 있는데, 저곳이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2곡인 운영담이다. 전날까지 폭우가 내려 운영담과 화양계곡에 물이 한가득 모여있는데, 운영담 서쪽에 둑을 닦아 물을 더 크게 모아두었다. 지나가던 구름이 이곳 풍경에 반해 잠시 머무르니 그 뜬구름의 그림자가 수면에 비치므로 운영담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 다. 즉 구름, 해, 달도 길을 멈추어 거울로 삼을 정도로 아름다운 절경이란 뜻이다. (화양계곡 주차장에서 도보..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9. 02:47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강원도추천명소
  • 추천산사
  • 겨울추천명소
  • 추천사찰
  • 충북추천명소
  • 추천바위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바다
  • 추천공원
  • 봄추천명소
  • 대웅전
  • 여름추천명소
  • 경북추천명소
  • 전남추천명소
  • 추천한옥
  • 수도권추천명소
  • 추천섬
  • 추천산
  • 가을추천명소
  • 추천숲길
  • 충남추천명소
  • 서울추천명소
  • 제주도추천명소
  • 추천조망
  • 추천나무
  • 추천계곡
  • 인왕산
  • 경남추천명소
  • 추천피서지
  • 북악산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