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418)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396)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63)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7)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1)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62)
      • 인천 (17)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72)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18)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3)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2)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6)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1)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55)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49)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52) N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53)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2)
    • 맛집, 별미, 후식 (15)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7)
인왕산 그늘에 깃든 부암동 제일의 경승지이자 흥선대원군의 별서, 석파정 봄나들이 <서울미술관, 석파정 소나무, 삼계동계곡, 너럭바위, 석파정3층석탑>

' 부암동 제일의 경승지, 석파정 ' ▲ 석파정 (흥선대원군 별서) ▲ 석파정 소나무 ▲ 석파정 정자와 돌다리   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이자 자문 밖 경승지인 부암동(付岩洞..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5. 4. 20. 01:48
부암동 석파정 (서울미술관) ②

1. 돌담을 따라 이어진 별채 뒷쪽 구름길 2. 별채 동쪽 부속 건물의 바깥 모습 3. 너럭바위로 이어지는 구름길 4. 삼계동 바위글씨가 깃든 사랑채 서쪽 바위 5. 삼계동 바위글씨 6. 삼계동 바위글씨에서 바라본 소나무와 사랑채, 그리고 북악산(백악산) 7. 물이 바짝 마른 삼계동계곡 (소나무 앞) 8. 삼계동계곡에서 바라본 미술관 옥상정원과 북악산(백악산) 9. 석파정 서쪽 숲속 10. 석파정 11. 석파정 정자로 인도하는 오솔길 12. 너럭바위 방면 구름길 13. 석파정과 속세의 경계를 긋는 경계벽과 구름길 14. 경계벽 벽화들 15. '조용한 증식'이란 이름의 현대작품 (김병호, 2014년) 16. 너럭바위 17. 너럭바위 돌계단 18. 너럭바위 앞 공터(쉼터) 19. '..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5. 4. 19. 21:08
부암동 석파정 (서울미술관) ①

1. 석파정 (흥선대원군 별서) 2. 석파정 소나무 3. 석파정 정자와 돌다리 4. 석파정 정문(삼계동 대문) 5. 3층석탑에서 바라본 서울미술관 옥상과 북악산 6. 서울미술관 옥상정원 7. 옥상정원 입구에 있는 석등 8. 하얀 반석이 일품인 삼계동계곡 9. 소수운렴암(巢水雲簾庵) 바위글씨 10. 삼계동계곡 (소수운렴암 서쪽) 11. 바위에 구멍을 내어 돌을 뗀 흔적들 12. 마치 장갑이나 야구 글로브처럼 생긴 누런 피부의 바위 13. 삼계동계곡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 14. 밑에서 바라본 석파정 사랑채와 안채 15. 석파정 사랑채 16. 사랑채 툇마루 17. 석파정 소나무 18. 소나무 밑에서 그늘 맛을 누리고 있는 맷돌 19. 사랑채 뒤쪽 꽃계단 20. 사랑채 앞 삼계동계곡..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5. 4. 19. 20:51
홍제천에 자리한 탕춘대성의 유일한 성문과 수문, 홍지문과 오간대수문 (탕춘대성 홍지문)

1. 탕춘대성 홍지문종로구 부암동과 서대문구 홍은동 및 홍제동의 경계이자 홍제천에 자리한 홍지문은 한양도성 인왕산 구간과 북한산(삼각산)을 이어주던 탕춘대성의 대표 성문이다. (탕춘대성 성문은 홍지문이 유일하며, 탕춘대능선에 암문 하나가 존재하고 있음)탕춘대성이란 이름은 연산군이 세검정 부근에 지은 탕춘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양(서울) 서쪽(정확히는 북서쪽)에 있다고 해서 서성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겹성이란 별칭도 있었다. 그리고 한북정맥이 지나는 길목에 자리해 있어서 한북문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이 성은 숙종이 만약에 있을 청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해 서울의 방어력을 높이고 비상시에 북한산성 행궁으로 신속히 도망칠 수 있는 시간 확보를 위해 조성되었다. 1702년 신완이 성곽 축조를 제의했는데, 북한..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5. 4. 7. 03:00
인왕산둘레길 마무리 (홍제동 개미마을 남쪽 구간, 홍제역 방향 산길)

1. 인왕산 홍심약수터~개미마을 숲길 (개미마을 방향)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인왕산둘레길은 홍제동 개미마을 윗쪽을 지나간다. 잠시 홍심약수터 때문에 둘레길을 벗어났다가 둘레길로 다시 들어가려던 중, 개미마을로 내려가는 숲길의 풍경이 너무 달달하여 그 숲길에 잠시 퐁당 빠져들었다.  2. 인왕산 홍심약수터~개미마을 숲길 (홍심약수터 방향) 3. 다시 인왕산둘레길로 (홍심약수터 남쪽 구간)  4. 개미마을 남쪽 산자락을 오르는 인왕산둘레길  5. 늦가을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는 인왕산둘레길 (개미마을 남쪽 산자락)  6. 인왕산둘레길 개미마을 남쪽 산자락 구간 7. 인왕산둘레길을 버리고 홍제역으로칼퇴근의 달인 햇님의 퇴근시간이 임박함에 따라 인왕산둘레길을 버리고 서쪽 산길을 통해 홍제역으로 길을 재..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20. 01:00
인왕산둘레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

1. 인왕산둘레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순환형 도보길이다. 부암동주민센터에서 시작된 이번 인왕산둘레길 산책은 인왕산 북쪽 끝을 지나 서대문구 홍제동 구역까지 들어왔는데, 햇님의 퇴근시간까지 최대한 가보기로 했다.인왕산둘레길은 세검정로 구간, 부암동 골목길, 창의문고개 구간, 인왕산길 호랑이상 교차로~한양도성 구간을 제외하고 모두 숲길이다.   2. 통행 편의를 위해 닦여진 나무데크 계단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  3. 가을과 늦가을 사이에 머물고 있는 나무들 (인왕산둘레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 4. 늦가을의 향연이 빵빵 터지고 있는 상큼한 숲길 (인왕산둘레길)  5. 홍심약수터로 이어지는 숲길 (인왕산둘레길) 6. 인왕산 홍심약수터홍심약수..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19. 13:00
인왕산둘레길 세검정로(홍지문 건너편)~용천약수터 구간

1. 인왕산둘레길 세검정로 구간 (옥천암 방향)인왕산 탕춘대성능선을 내려온 인왕산둘레길은 차량의 왕래가 빈번한 세검정로 옆구리로 들어선다. 세검정로 건너로 탕춘대성의 유일한 성문(암문 제외)인 홍지문이 있으나 바로 이어지는 횡단보도는 없다. 하여 그에게 다가서려면 세검정교차로나 홍지문 정류장에서 횡단보도를 이용해야 된다.인왕산둘레길은 세검정로 남쪽 옆구리를 450m 정도 가다가 내부순환로 밑도리를 지나서 남쪽 산길로 빠지며, 길 중간에는 홍지문 정류장(110, 153, 7018, 7730번, 서대문구 08번 마을버스 경유)이 있다.  2. 인왕산둘레길 세검정로 구간 (세검정교차로, 인왕산 탕춘대성능선 입구 방향)  3. 세검정로를 버리고 산속으로 들어가는 인왕산둘레길 4. 고층 계단을 타는 인왕산둘레길산..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19. 01:00
인왕산둘레길 탕춘대성능선 구간 (탕춘대성)

1. 인왕산둘레길 탕춘대성능선에서 바라본 부암동과 평창동, 북악산(백악산), 형제봉능선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인 부암동과 평창동, 홍지동 지역과 백사실계곡(백석동천, 백사골)을 품은 북악산(백악산) 북쪽 자락이 상큼하게 시야에 들어온다. 2. 인왕산둘레길 탕춘대성능선에서 바라본 홍은동과 내부순환로, 홍제동 지역인왕산과 북악산(백악산)의 북쪽 품을 파고드는 내부순환로는 차량들로 늘 버벅거린다. 하여 차량들이 내는 소음이 여기까지 솟구쳐 산을 타는 나그네의 두 귀를 멍멍하게 만든다. 3. 인왕산 탕춘대성능선 바위길 (인왕산둘레길)바위 밑은 그야말로 천길낭떠러지라 조심해야 된다. 탕춘대성이 이곳을 지나가지만 워낙 천험 수준이라 바위 윗도리에는 거의 성벽을 쌓지 않았다. 4. 고된 세월에 완전히 초췌해진 인왕산..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18. 01:00
인왕산둘레길 서울미술관 뒤쪽 구간~탕춘대성능선 (인왕산 탕춘대성)

1. 인왕산둘레길 서울미술관 뒷쪽 구간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순환형 둘레길이다. 초기 인왕산둘레길은 윤동주문학관~황학정 구간이었으나 점차 구간을 늘려나가 지금에 이른 것으로 기존 인왕산둘레길과 여러 산길을 잇고, 길이 없는 곳에는 새롭게 길을 닦았다.이번 인왕산둘레길 나들이는 부암동주민센터에서 시작하여 서울미술관 뒤쪽, 인왕산 탕춘대성능선을 거쳐 홍제동까지 이동했다. 2. 늦가을 단풍 속을 거니는 인왕산둘레길 (서울미술관 뒤쪽 구간) 3. 철책 옆을 지나는 인왕산둘레길철책 안쪽은 석파정을 소유하고 있는 서울미술관 땅이다. 그래서 철책을 꽁꽁 둘러 미술관 영역과 자유 공간과의 경계를 긋는다. (석파정을 구경하려면 서울미술관을 꼭 거쳐야 되며, 미술관 입장료를 무조건 치뤄야됨, 입장..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14. 12:30
인왕산둘레길로 들어서다 (부암동 창의문로9길, 반월선원, 부암사 뒷쪽 구간)

1. 인왕산둘레길 부암동 창의문로9길 구간인왕산둘레길은 서울 도심의 오랜 우백호인 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순환형 도보길이다. 순환형이라 시작점과 종점은 따로 없으며, 종로구 부암동과 청운동, 옥인동, 누상동, 사직동, 행촌동, 그리고 서대문구 홍제동 지역을 지나간다.이번 인왕산둘레길 나들이는 부암동주민센터에서 시작했는데, 둘레길을 알리는 이정표가 헤매지 않을 정도로 넉넉히 베풀어져 있어서 길을 찾는데 별로 어려움은 없다. 2. 산골마을 같은 인왕산둘레길 부암동 창의문로9길 구간부암동은 종로구의 일원으로 서울 도심이 바로 지척임에도 산골 전원마을 같은 그윽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이렇게 보니 서울이 아닌 머나먼 산간 마을이나 읍내 변두리에 들어선 기분인데, 둘레길 이정표의 지시에 따라 창의문로..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14. 01:00
옛 오진암 한옥을 가져와서 지은 종로구의 새로운 명소, 부암동 무계원 (무계원 사랑채, 안채, 행랑채)

1. 부암동 무계원 (무계원 사랑채)인왕산 그늘에 깃든 무계원은 한옥으로 이루어진 공간이다. 부암동의 새로운 명소로 나름 바쁘게 사는 이곳은 익선동에 있던 오진암을 옮겨온 것인데, 그 집은 서화가로 유명한 송은 이병직(松隱 李秉直, 1896~1973)이 1910년에 지은 고래등 기와집이다.집의 규모는 무려 700평으로 이병직은 여기서 많은 글씨와 그림을 남겼는데, 특히 사군자 중에서 난과 죽을 잘 그렸으며, 서화 감식에도 매우 밝았다. 1953년 집을 조모씨에게 팔았고, 그는 이곳을 요정으로 손질하여 장사를 했다. 이 집이 바로 이 땅 최초의 요정이자 서울시에 등록된 음식점 1호인 오진암(梧珍庵)이다. 오진암이란 이름은 뜨락에 큰 오동나무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오진암을 시작으로 청운각과 대원각, 삼청..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12. 12. 02:00
북악산 북쪽 자락에 숨겨진 아름다운 별천지, 추사 김정희도 눈독을 들였던 부암동 백석동천, 백사실계곡 (백석동천 별서터, 외나무다리)

' 부암동 백석동천(백사실계곡) 여름 나들이 '   여름의 무더위 갑질이 극성을 보이던 8월의 첫 무렵, 북악산(백악산) 북쪽 자락에 숨겨진부암동 백석동천(백사실계곡, 백사골)을 찾았다.백석동천은 내 즐겨찾기 명소의 일원으로 매년 여러 번씩 꾸준히 발걸음을 하고 있다. 그곳에 가면뭐랄까? 마치 불고기가 불을 만난 것 같은 즐거운 기분으로 최근 며칠 동안 비가 무지하게 내려 무더위가 조금은 가셨는데, 문득 폭우를 먹고 포동포동 살이 올랐을 백석동천 별서 연못이 생각이 났다. 이미 지겹게 본 풍경이나 이상하게 질리지는 않아 폭우가 그친 다음날, 간만에 그곳으로 출동했다.백석동천..

서울 사진 답사기/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2024. 8. 11. 19:00
이전 1 2 3 4 ··· 6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추천한옥
  • 경남추천명소
  • 추천피서지
  • 경북추천명소
  • 추천산사
  • 추천바위
  • 충북추천명소
  • 북악산
  • 대웅전
  • 강원도추천명소
  • 제주도추천명소
  • 추천공원
  • 가을추천명소
  • 추천섬
  • 추천숲길
  • 충남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추천조망
  • 수도권추천명소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계곡
  • 인왕산
  • 추천산
  • 추천사찰
  • 추천나무
  • 추천바다
  • 겨울추천명소
  • 서울추천명소
  • 전남추천명소
  • 봄추천명소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