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탕춘대성 홍지문

종로구 부암동과 서대문구 홍은동 및 홍제동의 경계이자 홍제천에 자리한 홍지문은 한양도성 인왕산

구간과 북한산(삼각산)을 이어주던 탕춘대성의 대표 성문이다. (탕춘대성 성문은 홍지문이 유일하며,

탕춘대능선에 암문 하나가 존재하고 있음)

탕춘대성이란 이름은 연산군이 세검정 부근에 지은 탕춘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양(서울) 서쪽(정확

히는 북서쪽)에 있다고 해서 서성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겹성이란 별칭도 있었다. 그리고 한북정맥이

지나는 길목에 자리해 있어서 한북문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이 성은 숙종이 만약에 있을 청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해 서울의 방어력을 높이고 비상시에 북한산성

행궁으로 신속히 도망칠 수 있는 시간 확보를 위해 조성되었다. 1702년 신완이 성곽 축조를 제의했

는데, 북한산성 증축과 북한산성 행궁 조성, 한양도성 보수가 마무리되자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잇

는 탕춘대성을 짓고자 1715년 홍제천에 홍지문을 먼저 닦았다.

그런 다음 1718년 8월 26일 성곽 공사에 들어갔으나 겨울이 다가오면서 10월 6일에 일단 공사를 멈

추었다가 1719년 2월 다시 공사에 들어갔다. 허나 처음보다 사업이 크게 축소되면서 3월에 공사를

종료시켰다.

 

그렇게 태어난 탕춘대성은 인왕산 북쪽 자락에서 시작하여 인왕산 북쪽 능선, 홍지문, 탕춘대능선을

거쳐 비봉능선 서쪽 수리봉(향로봉 부근)까지 이어지는 4km 규모로 원래는 북한산성까지 이으려고

했으나 비봉능선이 무지 험준하여 포기했다. 그리고 북한산성 대남문에서 보현봉, 형제봉능선, 북악

산(백악산) 북쪽 능선을 거쳐 한양도성을 잇는 탕춘대성 동쪽 성곽도 계획했으나 싹 취소되었다.

인왕산과 북한산(삼각산)의 경계인 홍제천에는 홍지문과 오간대수문을 두었으며, 탕춘대능선에는 암

문 1개를 내었다. 그리고 성 안에는 훈련장인 연융대를 비롯해 선혜청, 평창 등의 창고를 설치했으며,

총융청 본부도 이곳에 두었다.

탕춘대성이 들어앉은 위치 대부분은 각박한 경사지로 거의 천험(天險)을 자랑한다. 그래서 홍지문을

제외하고는 성을 높이 구축하지는 않았으며, 현재는 인왕산 북쪽 능선과 홍지문, 탕춘대능선에 성곽

이 그런데로 잘 남아있다.

 

200년 이상 별탈 없이 살아왔으나 1921년 1월 지붕에 쌓인 세월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내려앉고

말았다. 게다가 엎친데 덮친 격으로 그해 8월에는 홍제천의 물을 흘려보내는 오간대수문까지 홍수로

떠내려가면서 터만 겨우 남아오다가 1977년 7월에 복원되었다.

홍지문은 홍예 주변에 고색의 때가 탄 성돌만 옛날 것이며 때깔이 하얀 성돌은 1977년 복원 때 새로

맞춘 것이다.

 

철없던 어린 시절에는 문루까지 올라가 놀았던 기억이 있다. 허나 지금은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문루

와 오간대수문을 금지 구역으로 봉했으며, 오간대수문에서 탕춘대능선 방향 성곽 300m 정도가 통제

되어 탕춘대능선을 가려면 홍지동 주택가나 옥천암 주변으로 돌아가야 된다. 그리고 문 남쪽으로 세

검정로가 지나고 있어성곽이 잠깐 단절되어 있지만 그 길을 넘으면 성곽은 다시 소소하게 율동을 부

리며 인왕산으로 뻗어간다.

성문 앞뒤로 나무가 심어진 짧은 산책로가 닦여져 운치를 더하고 있으며, 오간대수문 바로 밑 홍제천

변에 산책로가 닦여져 있어 오간대수문의 속살을 구경할 수 있다. 또한 문을 경계로 성 안쪽은 종로구

부암동(홍지동), 바깥쪽은 서대문구 홍은동과 홍제동이다.

 

2. 홍지문의 안쪽 모습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부암동 지역과 백석동천(백사실계곡), 인왕산, 북악산(백악산)이 나의 오랜 즐겨찾기 명소라 홍지문

또한 그 혜택을 받아 거의 200번 넘게 그를 복습했다. 그리고 그 옆구리에 닦여진 세감정로도 거의

500번 이상을 오갔다.

 

3. 홍지문 옆 오간대수문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오간대수문 윗도리는 금지된 돌다리라 두 발을 들일 수 없지만 아랫도리는 근래 홍제천 산책로가 닦

이면서 접근이 가능해졌다.

홍예문 위쪽에는 용머리가 새겨져 있다. 아무래도 물이 흐르는 수문이라 물을 관장하는 용을 수호용

으로 넣은 듯싶은데, 5개의 수문 중, 북쪽 기준으로 1,2,5번째 문은 바닥에 돌이 입혀져 있고, 3,4번

째 문은 홍제천이 흐르고 있다. 하늘에서 물폭탄이 내려 홍제천이 잔뜩 흥분하는 경우에는 5개 문 모

두 진정한 수문이 되어버린다.

 

4. 홍지문 옆 오간대수문 (서쪽에서 바라본 모습)

 

5. 홍지문의 바깥 모습 (서쪽에서 바라본 모습)

홍지문은 더 이상 서울 수비의 의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세상이 완전히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문화유산과 관광지의 의무 및 성격만 지니고 있으며, 문은 24시간 열어두고 있다.

 

6. 홍지문 천정에 그려진 와운문(渦雲紋)

신선의 오색구름처럼 영롱하게 그려진 구름의 모습이 마치 물결의 거센 소용돌이를 보는 듯하다.

 

7. 짧게 이어진 홍지문 서쪽 산책로 (홍은동, 옥천암 방향)

 

8. 짧게 이어진 홍지문 서쪽 산책로 (홍지문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