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승가사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2.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3. 연등이 허공을 가득 채운 승가사 경내 (대웅전 뜨락) 4. 승가산림초소 숲길 (비봉4길) 5. 승가사 일주문 6. 경내로 인도하는 청운교 계단길 7. 청운교 표석 8. 삼각산 승가사 사적비 9. 청운교 계단에서 바라본 천하 (북악산, 서울 도심, 남산, 관악산까지) 10. 승가사 호국보탑 11. 호국보탑 감실 12. 호국보탑 감실에 들어있는 석가여래 본존불 13. 동정각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북악산과 서울 도심, 강남, 강동, 관악산 등) 14. 승가사 승가굴 (약사전) 15. 파괴된 비석의 아랫도리(비좌) 16. 승가사 대웅전 17. 대웅전 석가여래좌상과 후불탱 18. 승가사 석조 19. 대웅전 뜨락과 그 끝에 자리한 동정각 20. 동정..
' 석가탄신일 맞이 산사 나들이 ~ 북한산 승가사(僧伽寺) ' ▲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 승가사 약사전 ▲ 호국보탑 높은 바위 산길은 험한데, 지팡이 짚고도 등라(藤蘿) 휘어잡네 처마가엔 가던 구름 머물고, 창앞엔 쏟아지는 폭포 많을세라 차를 끓이니 병에서 가는 소리나고, 물을 길으니 우물에 작은 물결지네 두어명 높은 스님 있어 공(空)한 것 보기도 하고 노래도 부르네 * 조선 초기 문신 정인지(鄭麟趾)가 승가사에서 지은 시 5월 공휴일의 하나인 석가탄신일(이하 초파일)이 드디어 코앞에 다가왔다. 이번 초파일은 주말 과 겹쳐서 자연스럽게 여러 날 연휴가 형성되었는데, 초파일이 그 연휴의 끝이었다. 그래서 초 파일 전날에 사전 몸풀기용으로 서울에 있는 적당한 고찰을 물색하다가 가본지 20년이 넘은 북 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