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숭례사 내삼문숭례사는 돈암서원 존재의 가장 큰 이유를 주는 곳으로 이곳의 사당이다. 서원이나 향교의 중심 건물 앞에는 내삼문을 두기 마련인데, 보통 내삼문은 가운데 문은 높게, 좌우 문은 키를 낮게 한다. 그리고 이들 문은 기둥 하나를 두고 붙어있다. 그런데 이곳은 문 사이에 벽을 둬서 완전 남남 같은 특이함을 주었다. 돈암서원이 아무리 속세에 열린 공간이라고 해도 숭례사는 제향일 등 극히 일부날에만 문이 열린다. 하여 그 외에는 이렇게 굳게 닫힌 문 앞에서 발길을 돌려야 된다. 2. 꽃담장 밖에서 까치발로 바라본 숭례사(유경사)숭례사는 돈암서원의 중심 건물이자 사당으로 사계 김장생과 김집, 송시열, 송준길이 봉안되어 있다. 숭례사란 이름은 예를 숭상한다는 의미로 군자가 열심히 덕을 닦고 학문을 이..
' 우리나라 서원의 영원한 성지, 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 ' ▲ 전교당에 걸린 도산서원 현액 - 한호(韓濩, 한석봉)의 글씨이다. 여름 제국(帝國)이 봄을 몰아내고 한참 성하(盛夏)의 기반을 닦던 6월 한복판에 우리나라 서원의 성지로 격하게 추앙받는 안동 도산서원을 찾았다. 아침 일찍 부산에서 동대구행 고속버스를 타고 대구에서 팔공산 은해사(銀海寺)로 넘어갈 요량이었으나 변덕이 발동하면서 안동(安東)으로 가는 고속버스를 타고 경북 한복판에 자 리한 안동으로 올라갔다. 처음에는 안동 제일의 고찰, 봉정사(鳳停寺)를 염두에 두고 있었으나 도산서원 가는 67번 시내버스가 막 기지개를 켜고 있길래 다시 변덕을 발휘하여 그곳으로 행선지를 바꿨다. 안동 외곽으로 가는 안동시내버스 대부분은 안동역(교보생명)에서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