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재실 담장 밖에 있는 소나무들나이가 어린(100년 이하) 소나무들이 운치 있게 자라나 칠궁의 풍경을 조금이나마 거들고 있다. 2. 외삼문에서 내삼문으로 인도하는 돌길 (오른쪽 담장 너머 기와집은 재실) 3. 재실로 들어가는 기와문들왼쪽 문은 굳게 닫혀있고, 오른쪽 문은 활짝 열려 있어서 저 문으로 재실(송죽재, 풍월헌, 삼락당)로 들어서면 된다. (왼쪽 문 안쪽 건물은 삼락당, 오른쪽 문 안쪽 건물은 한 지붕 두 가족인 송죽재와 풍월헌) 4. 재실 정문과 외행각칠궁 재실의 공식적인 정문이나 늘 닫힌 모습으로 속세를 대하고 있다. 하여 칠궁과 칠궁 재실은 외삼문을 통해 접근해야 된다. 외행각 너머로 보이는 잘생긴 건물은 청와대에 딸린 영빈관이다. 5. 칠궁 외삼문맞배지붕을 지닌 외삼문은 칠궁의 정..

1. 대빈궁경우궁과 선희궁, 저경궁 사이에 자리한 대빈궁은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인 희빈장씨의 사당이다. 그 유명한 희빈장씨는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와의 권력 싸움에서 최종 패배하여 결국 1701년 쓰디쓴 사약을 1사발 들이키는 신세가 되었는데, 그가 죽자 숙종은 그의 신위를 정동에 봉안했다.1722년 경종은 어미를 옥산부대빈으로 추존하고 경행방 교동에 사당을 세워 대빈묘라 했으며, 1870년 선희궁처럼 육상궁으로 옮겼다가 1887년 원래 자리로 돌아갔다. 그러다가 1908년 다시 육상궁에 통합되었다. 2. 1열로 나란히 자리한 경우궁(선희궁)과 대빈궁, 저경궁 (오른쪽부터)4열로 닦여진 장대석 석축 위에 3열로 된 석축을 쌓고, 그 위에 사당을 얹혔다. 4열로 된 석축 가운데인 대빈궁에 돌계단을..

1. 칠궁 저경궁, 대빈궁, 선희궁, 경우궁, 덕안궁 내부 사진 (감실과 신주)칠궁을 이루고 있는 7개의 사당(궁)과 부속건물들은 모두 내부 공개를 하지 않는다. 하여 굳게 닫힌 모습으로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2. 길쭉한 모습의 수복방내삼문과 자연(연못) 사이에 자리한 수복방은 7칸짜리 맞배지붕 건물이다. 칠궁을 관리하는 사람의 숙소 및 창고로 1753년에 육상묘(숙빈최씨의 사당)가 육상궁으로 격이 높여지면서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3. 수복방 옆 내삼문칠궁 바깥에서 칠궁 사당으로 가려면 3개의 문을 거쳐야 된다. 내삼문은 그 가운데 문으로 삼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굳이 이 문이 아니더라도 재실 동쪽에 있는 중문을 통해 칠궁 중심부로 들어서도 된다. 4. 서쪽에서 바라본 냉천정냉천정은 정면 5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