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망우산3보루 2. 망우산2보루 3. 망우산 정상, 망우전망대 4. 망우산 정상에서 바라본 천하 중랑구와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지역과 도봉산, 북한산(삼각산), 불암산, 봉화산 등 5. 망우산 정상에서 바라본 천하 ② 한강과 아차산 산줄기를 비롯해 강동구, 하남시, 남한산성, 검단산 등 6. 망우산 정상에 박힌 국가기준점(삼각점) 7.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8. 왜인 사이토 오토사쿠묘 9. 죽산 조봉암 선생묘 10. 죽산 조봉암의 어록을 머금은 견고한 돌덩어리 '우리가 독립운동을 할 때 돈이 준비되어서 한 것도 아니고 가능성이 있어서 한 것도 아니다. 옳은일이기에 또 아니하고서는 안될 일이기에 목숨을 걸고 싸웠지 아니허냐' 11. 만해 한용운 선생묘 (구리 한용운묘소) 12..

1.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2.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3. 죽산 조봉암 선생묘 4. 망우저류조공원에서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인도하는 숲길 5. 무덤들로 수북한 망우저류조공원 동쪽 (망우역사문화공원) 6. 망우역사문화공원 인물가벽 직전 (사색의길 북쪽 시작점) 7. 망우역사문화공원을 품고 있는 망우산 8.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9.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10. 정면에서 바라본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11. 망우산 능선길 12. 망우산 역사의 전망대 13. 망우산 역사의 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구리시, 한강, 강동구, 하남시 등) 14. 화가 이인성묘 15. 애국지사 김봉성 묘터 16. 도산 안창호 묘터 17. 태허 유상규묘 18. 망우산3보루터

1. 망우산2보루 망우산 정상부(282m)에 망우산2보루가 폐허의 상태로 깃들여져 있다. 정상(망우전망대)과 정상부 북쪽 부분에 걸쳐있는 그는 망우리묘지가 한참 닦이는 과정에서 크게 망가져 안타깝게도 원래 모습 과 규모를 파악하기가 힘든데, 다만 고구려식 토기 조각들이 여럿 나와 고구려가 닦은 보루로 여겨 진다. 2. 망우산2보루 안내문 주변 (망우산 능선길) 망우산에는 3개의 보루터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망우산 남쪽 능선에 있는 망우산1보루만 국가 사적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지위를 누리고 있고, 북쪽 능선(망우산 정상 북쪽)에 있는 망우산2보루와 3 보루는 비지정에 머물러 있다. 그만큼 2보루와 3보루의 상태가 영 좋지가 못하다. 3. 망우산3보루 남쪽 부분 4. 망우산3보루 망우산2보루에서 북쪽으..
1. 망우산3보루터 망우산 북쪽 능선에 망우산3보루터가 있다. 망우리공원으로 들어서 사색의길 동쪽 구간을 가다보면 망우산3보루를 알리 는 이정표가 나오는데, 그 이정표를 따라 산길을 좀 들어서면 3보루 안내문이 나온다. 망우산에는 3개의 보루가 발견되었는데, 1보루만 국가 사적의 지위('아차산일대 보루군'이란 이름으로 사적으로 지정됨) 를 누리고 있고, 2보루와 3보루는 상태가 매우 안좋아 비지정에 머물러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망우리묘지를 닦는 과정에서 완전히 파괴되어 원래의 형태와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보루터 남쪽 비탈면에 무너진 석축 일부가 있고, 돌을 다듬은 기법으로 보아 고구려가 닦은 것으로 보인다. 주변에서 고구려 토기 조각과 민무늬토기 조각이 나왔으며, 보루터 주변 무덤들이 모두..
1. 망우리공원 (망우저류조공원에서 접근하는 길) 망우리공원은 아차산의 북쪽 식구인 망우산(282m)에서 망우리고개까지 펼쳐진 공원으로 그 유명한 망우리묘지 일대를 일컫는다. 중랑구 망우동과 구리시 교문동 사이에 넓게 자리한 망우리공원은 면적 832,800㎡ 규모로 서울 관내의 유일한 공동묘지 인데, 왜정 시절(1930년대) 서울에는 이태원와 미아리에 공동묘지가 있었다. 왜정은 미아리공동묘지의 과포화에 대비하 고 이태원공동묘지 일대에 주택을 조성하고자 경기도 양주군 땅이던 망우산 일대 임야 70여 만 평을 확보해 경성부(서울 )의 공동묘지로 정하고 1933년 5월 27일 개원했다. 37,000여 기를 지닌 이태원공동묘지는 1935년부터 미아리와 망우리로 이장되었는데, 연고자가 있는 묘는 망우리로, 무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