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릉 북쪽 산책로에서 만난 넓적한 바위 2. 정릉 북쪽 산책로 3. 정릉 계곡(금천) 4. 정릉 계곡(금천)과 북쪽 산책로 5. 이제는 과거가 되버린 정릉약수터(정심약수터) 6. 서남쪽으로 꺾이는 정릉 산책로 7. 봄꽃의 마지막 물놀이 현장 (정릉 계곡) 8. 정릉 서쪽 숲길 9. 산길로 변한 정릉 서쪽 숲길 10. 산길로 변한 정릉 서쪽 숲길 11. 동그란 석축에 뿌리를 내린 벚꽃나무 12. 정릉 서남쪽 숲길 13. 북악산길과 맞닿은 정릉 서남쪽 숲길 14. 정릉 남쪽 숲길 15. 정릉 능침 바로 윗쪽 쉼터 16. 정릉 남쪽 숲길에서 서쪽 숲길을 잇는 사잇길

1. 정릉 2. 정릉 금천교 3. 정릉 뒷쪽 숲길 4. 정릉 세계문화유산 표석 앞 갈림길 5. 정릉 재실 앞 느티나무 6. 정릉 재실 7. 재실 대문과 행랑 8. 재실과 제기고로 인도하는 안쪽 기와문 9. 재실 제기고 10. 재실 본채 11. 정릉 관리사무소 앞 느티나무 12. 정릉 금천교 13. 금천교 주변 계곡 14. 정릉 홍살문 15. 정릉 배위 16. 정릉 정자각 주변 (수라간, 수복방 등) 17. 정릉 능침 18. 정릉 능침과 소전대(밑에 보이는 석물) 19. 홍살문에서 정자각으로 이어지는 향로와 어로 20. 정릉 정자각 21. 신좌 22. 관세상 23. 제물을 올려놓는 상 24. 정자각 좌측 계단 25. 수복방 26. 정릉 비각 27. 정릉 비석 28. 정릉 수라간 29. 정릉 능침

1. 서빙고동 부군당 반포대교 북단 서쪽인 서빙고동 주택가 속에 부군당이란 늙은 기와집 사당이 있다. 이곳은 서빙고 사람들이 마을 안녕과 수호를 위해 세운 제당으로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지어졌는데, 처음에는 이곳 서쪽인 용산 미군 부대 자리에 있었다. 1910년대 초에 왜정이 그 자리에 훈련장을 만들면서 지금 자리로 강제로 옮겨졌으며, 1635년에 사당을 고쳐지은 내용을 머금은 기문과 1927년 중수기까지 잘 남아있어 이곳 부군당의 오랜 내력 을 알려준다. 부군당은 서울 지역에 많이 나타나는 마을 제당으로 제사를 지내는 제당과 제사를 준비하는 제물 청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에는 기와담장을 두르고 남쪽애 맞배지붕 대문을 두었는데, 제당은 1 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작은 크기이며, 내부에는 부군당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