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아차산 정상, 아차산3보루 2. 아차산4보루 3. 소나무숲에 묻힌 아차산2보루 4. 아차산4보루 남쪽 2중치와 동남쪽 성곽 5. 아차산4보루 남쪽 2중치 6. 아차산4보루 북쪽 계단 7. 아차산4보루 남쪽 2중치 8. 아차산4보루 서남쪽 치 9. 아차산4보루 동쪽 치 10. 아차산4보루 1호 건물터 11. 아차산4보루 내부 12. 아차산4보루 저수시설터 13. 아차산4보루 동북쪽 치 14. 아차산4보루 동북쪽 치에서 바라본 한강과 강동구, 하남시 지역 15. 아차산4보루 북쪽 치 15. 아차산4보루 서쪽 성곽 16. 아차산4보루 북쪽 치 17. 아차산 주능선 (서울둘레길2코스, 아차산3보루 방향) 18. 아차산3보루 북쪽 오르막길 19. 아차산 정상 기둥 (아차산3보루) 20. 아차산3보루 21. ..
' 고구려 유적의 성지, 서울 아차산 ' (아차산성, 아차산1보루, 3보루, 5보루) ▲ 아차산 산줄기 ▲ 아차산3보루 ▲ 아차산4보루 아차산은 해발 295.7m의 뫼로 용마산과 망우산을 거느리고 있다. 서울 강북 지역의 동남 쪽 벽으로(동북쪽 벽은 수락산, 불암산 산줄기) 서울 광진구, 중랑구, 경기도 구리시(九 里市)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예전에는 중랑구 봉화산(烽火山)까지 아차산의 영역이었 다. (봉화산에 있는 봉수대를 '아차산 봉수대'라 부름) 아차산은 음은 같지만 한자 표기만 해도 무려 4개(阿嵯, 峨嵯, 阿且. 峩嵯)씩이나 되는데, 삼국시대에는 아차(阿且), 아단(阿旦)이라 불렸으며, 고려 때 지금 널리 쓰이는 '아차(峨 嵯)'란 이름이 나타난다. ('峩嵯'도 이때 나타남) 아단(旦)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