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남쪽 밑에서 바라본 회인 사직단보은군 회인면의 중심지인 중앙리 서쪽 산자락에 사직단이 깃들여져 있다. 사직단은 '사'와 '직'에게 제를 지내는 제단으로 조선 때 전국 고을에 설치되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에 대부분 파괴되어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충북 같은 경우는 오로지 이곳 회인만 살아남았다. 이곳 사직단이 언제 처음 닦여졌는지는 전하는 것이 없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 회인현조에 '사직단은 고을 서쪽에 있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제단과 그에 딸린 건물들이 여럿 있었으나 이곳 역시 왜정의 고약한 손길로 인해 지금은 제단만 남아있다. 평탄한 대지에 한 변 길이가 5~6m 정도 되는 장방향 제단을 닦았으며, 왜정 시절에는 왜인들이 높이 1m의 방형 ..

1. 보은 오장환 생가보은군 회인면의 중심지인 중앙리 마을 북쪽 부분에 오장환의 생가와 문학관이 둥지를 틀고 있다. 오장환(1918~1951)은 보은 회인 출신의 시인으로 1918년에 아버지 오학근과 어머니 한학수 사이에서 4남4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그는 어린 시절 말이 별로 없는 조용한 성격이었다고 하며, 대신 귀염성과 진실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회인공립보통학교에 들어가 3학년까지 다니다가 경기도 안성에 있는 안성공립보통학교로 전학을 갔으며, 그곳을 졸업하여 1931년 4월 서울 휘문고보에 입학했다. 휘문고보 시절에 옥천 출신인 시인 정지용에게 시를 배웠으며, 문예반 활동을 하면서 학교 교지인 '휘문' 편찬 작업에도 참여했다. 1933년 2월 발간된 '휘문' 임시호에 오장환의 첫 작품인 '아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