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재실 담장 밖에 있는 소나무들나이가 어린(100년 이하) 소나무들이 운치 있게 자라나 칠궁의 풍경을 조금이나마 거들고 있다. 2. 외삼문에서 내삼문으로 인도하는 돌길 (오른쪽 담장 너머 기와집은 재실) 3. 재실로 들어가는 기와문들왼쪽 문은 굳게 닫혀있고, 오른쪽 문은 활짝 열려 있어서 저 문으로 재실(송죽재, 풍월헌, 삼락당)로 들어서면 된다. (왼쪽 문 안쪽 건물은 삼락당, 오른쪽 문 안쪽 건물은 한 지붕 두 가족인 송죽재와 풍월헌) 4. 재실 정문과 외행각칠궁 재실의 공식적인 정문이나 늘 닫힌 모습으로 속세를 대하고 있다. 하여 칠궁과 칠궁 재실은 외삼문을 통해 접근해야 된다. 외행각 너머로 보이는 잘생긴 건물은 청와대에 딸린 영빈관이다. 5. 칠궁 외삼문맞배지붕을 지닌 외삼문은 칠궁의 정..

1. 칠궁 재실(송죽재, 풍월헌)청와대와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둔 칠궁은 조선 왕실의 사당이다. 북악산(백악산) 그늘이자 청와대 바로 서쪽인 이곳은 제왕이나 친왕(황제의 아들)의 모친이지만 왕후(황후) 반열에 들지 못한 후궁들의 사당으로 이런 사당을 사친묘라고 한다.이곳에는 저경궁(선조의 후궁이자 추존 원종의 생모인 인빈김씨)과 대빈궁(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인 희빈장씨), 선희궁(영조의 후궁이자 추존 장조의 생모인 영빈이씨), 경우궁(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박씨), 덕안궁(고종의 후궁이자 영친왕의 생모인 순헌 귀비 엄씨), 육상궁(숙종의 후궁이자 영조의 생모인 숙빈최씨), 연호궁(영조의 후궁이자 추존 진종의 생모인 정빈이씨) 등 궁을 칭하는 사당 7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곳에는 원래 육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