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우물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이 고금도에 머물 때 식수로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늙은 우물이다. 1681년 이곳에 고금도진이 설치되면서 고금도진 군사들이 식수로 썼으며, 고금도진이 사라진 이후 에는 마을 사람들이 식수로 사용했다. 현재는 무늬만 남은 죽은 우물로 우물 속살에는 뿌옇게 뜬 액 체만 가득하다. 2. 충무사 주변 숲길 3. 평화로운 모습의 덕동리 충무마을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서쪽) 4. 누렇게 뜬 덕동리 갈대밭 이충무공유적과 충무사를 머금은 묘당도는 고금도의 부속 섬으로 간척으로 인해 고금도의 완전한 일원이 되었다. 바다에서 땅으로 변한 곳은 대부분 경작지가 되었으며, 일부는 이렇게 갈대밭으로 두었는데, 갈대도 예전에는 백성들의 주요 수입원이었다. 5. 덕동리 앞..

1. 충무사 내삼문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태극마크가 그려진 내삼문 안쪽에 충무사의 중심 건물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영정이 봉안된 정전 과 이영남 장군이 봉안된 동무, 서무가 들어있다. 충무사 정전은 예전 관왕묘의 중심 건물 자리이다. 2. 충무사 중삼문 (외삼문과 내삼문 사이에 있는 삼문) 3.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앞바다 (덕동리 앞바다) 푸른 바다 너머로 보이는 곳은 약산면을 이루고 있는 조약도이다. 4.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앞바다 (덕동항 방향) 5. 바다 너머로 보이는 월송대 (소나무가 무성한 언덕) 월송대는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이순신 장군의 시신이 잠시 머물던 곳이다. 그의 시신은 처음에 여수 충민사에 봉안되었다가 이곳 월송대를 거쳐 아산으로 운구되었는데, 그의 관이 머물던 자리에 표시 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