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2.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3. 죽산 조봉암 선생묘 4. 망우저류조공원에서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인도하는 숲길 5. 무덤들로 수북한 망우저류조공원 동쪽 (망우역사문화공원) 6. 망우역사문화공원 인물가벽 직전 (사색의길 북쪽 시작점) 7. 망우역사문화공원을 품고 있는 망우산 8.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9.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10. 정면에서 바라본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11. 망우산 능선길 12. 망우산 역사의 전망대 13. 망우산 역사의 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구리시, 한강, 강동구, 하남시 등) 14. 화가 이인성묘 15. 애국지사 김봉성 묘터 16. 도산 안창호 묘터 17. 태허 유상규묘 18. 망우산3보루터

1. 태허 유상규 묘 유상규(1897~1936)는 평북 강계 출신이다. 경신중학을 거쳐 1916년 경성의전 1기로 입학했으며, 1919년 3.1운동 때 경성의전의 중심 인물로 참가했다. 이후 상해 임시정부로 넘어가 도산 안창호 의 비서관으로 활동했으며, 이때 흥사단에 가입했다. 도산의 권고로 서울로 돌아와 1925년 복학해 1927년 졸업했으며, 경성의전 강사와 부속병원 외과 의사로 근무했다. 그리고 동아일보사 주최 강연회에 연사로 꾸준히 참여하여 잡지와 신문에 많은 글을 실으며 어리석은 조선 민중의 의학적 계몽활동에 나섰다. 1930년 조선의사협회 창설을 주도하기도 했으나 환자를 치료하던 중에 단독에 감염되어 1936년 39세에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만다. 그는 안창호와 거의 부자지간처럼 사이가 각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