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봉은사 영산전, 북극보전 숲길 2. 봉은사 선불당 3. 판전 현판 4. 봉은사3층석탑 5. 봉은사 영산전 6. 영산전 목삼존불상과 영산회상도 7. 영산전 신중도 8. 영산전 사자도 9. 영산전 목16나한상과 16나한도 10. 봉은사 북극보전 11. 알록달록 소원주머니와 봄꽃으로 가득한 북극보전의 뒷쪽 12. 북극보전 칠성도 13. 북극보전 주변 숲길 14. 미륵대불에서 북극보전, 영산전으로 인도하는 숲길 15. 봉은사 판전 16. 판전 현판 17. 판전 비로자나불도 18. 판전 옆에 있는 1칸짜리 비각 19. 연지 관세음보살상
1. 정릉 서쪽 숲길 숲길 옆에는 얕게 닦인 도랑이 흐르는데 그 도랑은 정릉의 금천 역할을 했다. 조선 왕릉은 능역 앞에 금천 역할을 하는 계곡 을 두고 금천교를 닦았는데, 선릉과 정릉은 금천이 거의 도랑 수준으로 작다. 2. 정릉(중종의 능) 정자각 앞 3. 정릉 서쪽 숲길과 도랑(금천) 4. 선정릉 숲길 (중간 숲길) 선릉, 정릉은 숲이 매우 짙어 숲길이 아주 일품이다. 선릉과 정릉 사이에는 낮은 산이 있고, 두 능을 잇는 숲길이 여럿 닦여 져 있는데, 선정릉 정문에서 남쪽 길을 거쳐 재실, 선릉으로 가는 남쪽길은 평지 길이며, 정릉에서 정현왕후 윤씨 능을 잇는 북쪽 길은 정현왕후 윤씨능 동쪽 고갯길을 빼면 거의 평지이다. 반면 중간 길은 북쪽 길과 남쪽 길에 비해 완전히 산을 넘는 고갯길로 주변이 ..
1. 중종의 능인 정릉 선릉 동쪽이자 선정릉 정문 동쪽에 조선 11대 군주인 중종의 능 정릉이 있다. 중종 능은 중종의 2번째 왕후인 장경왕후 능( 희릉) 서쪽 언덕에 닦여졌으나 1562년 중종의 3번째 왕후인 문정왕후가 이곳으로 옮겼다. 기존 자리가 풍수상 영 좋지 못하 여 옮겼다고 하나 실상은 중종과 같이 묻히고 싶은 욕심으로 그리 한 것으로 문정왕후가 사망하고 이곳에 묻히려고 했으나 정릉 자리가 홍수 피해가 잦아 부득이 불암산 남쪽 자락에 따로 묻히니 그곳이 태릉이다. 하여 정릉은 중종 혼자 묻혀있다. (왕후가 홀로 묻힌 능은 많으나 제왕이 혼자 묻힌 능은 거의 없음) 2. 솔내음이 진한 정릉 서쪽 숲길과 얕게 파인 도랑(금천) 3. 정릉 예감 제향에 사용된 축문을 태워 묻는 곳으로 그 모습이 네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