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둔덕기성 고려시대 건물터 (3-10, 3-11호 건물터)둔덕기성 내부에서는 고려 것으로 여겨지는 건물터 11곳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성 내부 남쪽 평탄지에서 집중적으로 나왔는데, 그중 3-10, 3-11호 건물터가 양호하게 남아있었다. 이들 건물터는 동쪽으로 집수지, 남쪽으로 남문터와 인접한다. 3-10호 건물터는 신라 후기에 지어진 건물터의 석축을 활용해 그 윗도리에 장방형 석축대지를 남~북 방향으로 닦은 다음 북쪽으로 치우친 형태의 상부 기단을 조성했다.3-11호 건물터는 3-10호 건물터 동쪽에 자리해 있어 3-10호 건물터의 부속 건물로 여겨진다. 우리 민족의 특허품인 온돌이 닦여진 곳으로 3열의 줄고개 둑 상부에 두께 20cm 내외의 비교적 두꺼운 구들장을 덮었다.열기가 한곳으로 모이는 개..

1. 거제 둔덕기성 (둔덕기성 남쪽 성곽)별학산(336.2m) 북쪽 자락 300m 고지에 둔덕기성이라 불리는 오래된 산성 유적이 깃들여져 있다. 이곳은 신라 중기인 7~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산성 유적으로 동문터는 이 땅에서 흔치 않게 현문식 구조를 취하고 있다.고려 중기인 12세기에 수축되었으며, 1170년 정중부와 이의방, 이고 등이 일으킨 무신정변에서 폐위된 의종이 여기서 3년 정도 유배살이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로 인해 폐왕성(제왕에서 폐위된 사람이 있던 성)이란 우울한 이름을 지니고 있었다.의종(1127~1173, 재위 1146~1170)은 고려 제18대 제왕으로 인종의 아들이다. 처음에는 국정도 잘 살폈고 무신들도 잘 챙겨주었으나 슬슬 개판으로 변하면서 툭하면 문신, 환관들과 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