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둔덕기성 고려시대 건물터 (3-10, 3-11호 건물터)
둔덕기성 내부에서는 고려 것으로 여겨지는 건물터 11곳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성 내부 남쪽 평탄
지에서 집중적으로 나왔는데, 그중 3-10, 3-11호 건물터가 양호하게 남아있었다. 이들 건물터는 동
쪽으로 집수지, 남쪽으로 남문터와 인접한다.
3-10호 건물터는 신라 후기에 지어진 건물터의 석축을 활용해 그 윗도리에 장방형 석축대지를 남~
북 방향으로 닦은 다음 북쪽으로 치우친 형태의 상부 기단을 조성했다.
3-11호 건물터는 3-10호 건물터 동쪽에 자리해 있어 3-10호 건물터의 부속 건물로 여겨진다. 우리
민족의 특허품인 온돌이 닦여진 곳으로 3열의 줄고개 둑 상부에 두께 20cm 내외의 비교적 두꺼운
구들장을 덮었다.
열기가 한곳으로 모이는 개자리와 개자리에서 굴뚝으로 이어지는 연도는 별도로 구분되지 않았으
며, 굴뚝은 깊이 30c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그 위에 다듬은 석재를 두른 형태로 최하단석만 남아
있었는데, 건물 동남쪽에 아궁이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곳 건물터의 북쪽 기단과 축대
사이에는 건물이 무너지면서 일시에 내려앉은 기와들이 있었는데, 이들을 통해 지붕에 씌워진 기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어 좋은 자료가 되어준다.
2. 둔덕기성 집수지
둔덕기성이 신라 중기인 7~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집수지도 그 비슷한 시기에 지
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도 그럴 것이 물 확보가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집수지는 근래 발굴
조사를 토대로 복원, 재현된 것이다.
3. 둔덕기성 건물터 (추정 신라 중기 건물터)
둔덕기성 내부에서는 고려 것으로 여겨지는 건물터 11곳 외에 다수의 건물터가 햇살을 보았다. 신라
중기 것으로 보이는 건물터 2동은 자연경사면을 따라 생토 및 풍화암반층을 계단상으로 굴착하거나
정리하여 대지를 확보한 다음 조성했는데, 신라 후기 것으로 보이는 건물터 10동과 고려 건물터 11
동은 대지와 축대 등을 새로 조성하거나 건물터를 활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건물은 관청과 군사시설, 창고로 여겨지는데, 건물터에서 건진 유물은 기와류와 토기류, 자기류,
석기류, 철기류, 청동기류, 생활도구, 무기류, 건축부재들이다.
4. 고려시대 건물터와 그 옆에 보이는 집수지
5. 신라 중기 건물터에서 바라본 둔덕기성 서쪽 성곽과 운치를 돋구는 소나무들
6. 초원 같은 신라 중기 건물터
건물터 주춧돌은 보존을 위해 땅속에 고이 묻었다. 그리고 그 위에 잔디를 잔잔히 입혀 평화로운 풍경
을 자아낸다.
7. 둔덕기성 서문터
둔덕기성에는 서문과 동문, 남문 등 3개의 성문이 있었다. (북문은 없음) 서문은 신라 중기에 처음 조
성된 시절부터 있었으며, 1170년 전후로 수축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성문터 통로부의 고려시대 계단
시설 밑에선 신라 것으로 보이는 배수로가 발견되었다.
서문터는 붕괴된 신라 때 문터를 수축하여 사용했는데, 출입이 용이한 평문식이다. 문터는 정교함이
떨어지는 허튼층쌓기를 했으며, 통로부 내측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초석이 남아있어 문루가 제법
규모가 있었음을 알려준다.
8. 서문터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견내량과 통영 용남면 지역)
9. 서문터에서 바라본 통영 시내와 망일산(149.3m), 미륵도, 통영 앞바다
10. 서문터에서 바라본 신라 중기 건물터 일대
11. 헝클어진 모습의 서쪽 성곽 (서문터 주변)
12. 우중층한 모습을 보이는 서문터 주변 성곽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 둔덕기성 ④ 둔덕기성 정상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성곽, 동문터, 남쪽 성곽 (0) | 2024.11.05 |
---|---|
거제 둔덕기성 ③ 서문터, 건물터, 석환군, 정상 전망대, 저장고터 (0) | 2024.11.04 |
거제 둔덕기성 ① 남문터, 집수지, 동쪽 성곽 (0) | 2024.11.02 |
거제 남파랑길27코스 오량리 오량교차로~둔덕기성 구간 (0) | 2024.10.29 |
조선 연산군 시절에 조성된 성곽 유적, 거제 오량성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