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시육신묘의 어느 묘표(묘비) 사육신묘의 사당인 의절사 뒷쪽 숲에 사육신의 무덤이 있다. 박팽년과 성삼문, 유응부, 이개의 무덤을 비롯해 1978년 성역화 사업 때 추가로 넣은 하위지, 유성원, 이개의 가묘 등 모두 7기의 무덤이 있는데, 주인을 잃은 묘표 1기가 더 있어서 무덤이 1기 더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허나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비석 피부가 크게 깎이고 글씨도 싹 지워지면서 묘표의 주인을 알 수 없게 되었는데, 박팽년, 성삼문, 이개와 같이 처단된 성승(성삼문의 부친)의 묘로 의심하기도 한다. 허나 비석이 말 을 해주지 않으니 정답은 딱히 없는 실정이다. 2. 솔내음이 그윽한 사육신묘 소나무숲길 3. 사육신묘 문인석 홀을 쥐어든 문인석 2기가 사육신묘 주변에 자리해 있다. 자세한 사..

1. 노량진 사육신묘, 사육신공원(사육신역사공원) 정문 1호선 노량진역 동쪽에 낮게 솟은 언덕이 있는데, 그 언덕 정상부에 사육신묘가 자리하고 있 다. 죽은 6명의 신하를 뜻하는 사육신이란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은 6명의 충신 박팽년, 성 삼문, 하위지, 유응부, 유성원, 이 개 등 6명을 일컫는 것으로 사육신의 존재는 이미 세상에 널리 알려져서 삼척동자도 능히 알 정도이다. (사육 신의 반대 기념으로 생육신이 있음, 세조 를 거부하고 단종에 대한 충심을 지키며 향리에서 조용히 살아간 6명의 신하를 뜻함) 1456년 사육신 멤버와 성승(성삼문의 부친), 김문기, 김질 등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세조 를 처단하고 상왕 으로 밀려난 단종의 복위를 꾀했는데, 마침 적당한 기회가 찾아왔으나 아쉽게도 물 건너 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