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덕궁 후원 봄나들이 '(부용정 구역, 애련정 구역) ▲ 봄의 서정을 뿌리는 애련정과 애련지 ▲ 관람지와 관람정 ▲ 주합루와 어수문 봄의 따사로운 한복판인 4월의 끝 무렵, 친한 후배와 창덕궁(昌德宮)을 찾았다.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 도심에는 창덕궁, 경복궁(景福宮), 창경궁(昌慶宮),덕수궁(德壽宮, 경운궁), 경희궁(慶熙宮) 등 조선 궁궐 5곳이 전하고 있는데,..

1. 창덕궁 후원 애련지, 애련정 2. 관람지와 관람정 3. 주합루와 어수문 4. 창덕궁 돈화문 5. 창덕궁 후원 입구와 함양문 6. 후원입구에서 후원으로 넘어가는 돌담길 7. 후원입구에서 후원으로 넘어가는 고갯길 8. 숲 사이로 모습을 드러낸 영화당 9. 영화당 10. 영화당 앞에 푸르게 솟은 느티나무 11. 영화당 12. 영화당 내부 13. 부용지와 부용정 14. 부용정 15. 부용지 16. 사정기비각과 물을 쏟아내는 용머리 17. 부용지 우물 18. 주합루와 어수문 19. 주합루 어수문 20. 주합루 동쪽 꽃계단과 담장 21. 부용지 인근에 있는 잘생긴 수석 22. 영화당 옆 춘당대 23. 애련정 불로문 앞 24. 불로문 앞 숲길 25. 불로문 26. 애련정 27. 애련지 28. 금..

1. 창덕궁 후원 부용지창덕궁 중심 구역에서 후원입구를 거쳐 후원 구역으로 들어서면 제일 먼저 부용지를 중심으로 한 부용지 구역이 마중을 한다.부용지 구역은 네모난 연못인 부용지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부용정, 영화당, 주합루, 서향각, 희우정 등이 달달하게 자리하고 있는데, 연못 한복판에는 작고 동그란 섬을 운치있게 띄워놓아 이른바 천원지방(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을 상징하고 있다.부용지 한복판 섬에는 소나무와 여러 수풀이 인간의 손길을 거부하며 그들만의 푸른 세상을 일구고 있으며, 못 서쪽에는 샘터를 두어 연못의 수분을 계속 채워준다. 부용정과 영화당은 접근이 가능하고 영화당 툇마루는 걸터앉을 수 있으나 주합루와 서향각, 희우정, 천석정은 접근이 통제되어 있으며, 부용지 서쪽 부분과 서쪽 숲 또한..

1. 창덕궁 후원으로 들어서다 (후원입구에서 부용정으로 넘어가는 고갯길) 창덕궁은 경복궁, 창경궁, 덕수궁(경운궁), 경희궁과 함께 조선시대 서울 5대 궁궐의 일 원이다. 1405년 태종이 경복궁의 이궁(별궁)으로 세운 것으로 경복궁 다음급의 궁궐이 었으며, 경복궁 부재 시절(1592~1868)에는 조선의 중심 궁궐(법궁)로 바쁘게 살았다. 1405년 인정전과 선정전, 희정당, 대조전, 후원 등이 지어졌고, 1412년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이 세워졌다. 창덕궁 뒷쪽에는 62,000평의 후원을 달달하게 두었는데, 1463년 그 후원을 15만여 평으로 크게 늘려 창덕궁 영역을 상당히 불렸다.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647년에 광해군이 세웠던 인경궁 건물을 가져와 복구했으며, 1917년 큰 화재로 대조전과..
~~~ 봄맞이 광주 대촌동, 칠석동 나들이 ~~~ ▲ 칠석동 은행나무 겨울 제국이 드디어 무너지고 봄이 천하 평정에 열을 올리던 3월의 끝 무렵, 남도의 중심 지 광주(光州)를 찾았다. 광주 지인의 초청으로 간만에 가게 되었는데, 그는 자연과 문화 유산에 두루 정통하고 숲과 자연을 강의하는 교수로 꽤 저명한 분이다. 그런 이의 초청을 받았으니 본인 입장에서는 그저 영광스러울 뿐이다. 아침 일찍 호남선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4시간 여를 총알처럼 달려 광주역에 발을 내린다. 거기서 지인분 부부를 만나 전남대와 중외공원으로 이동하여 남도 매화(梅花)와 산수유를 구경하고 전남대 북쪽에서 남도 정식으로 며칠을 굶어도 끄떡없을 정도로 가득 배를 채웠 다. 그렇게 점심을 먹자 그들은 광주 답사를 시켜주겠다며 내가 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