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릉 북쪽 산책로에서 만난 넓적한 바위 2. 정릉 북쪽 산책로 3. 정릉 계곡(금천) 4. 정릉 계곡(금천)과 북쪽 산책로 5. 이제는 과거가 되버린 정릉약수터(정심약수터) 6. 서남쪽으로 꺾이는 정릉 산책로 7. 봄꽃의 마지막 물놀이 현장 (정릉 계곡) 8. 정릉 서쪽 숲길 9. 산길로 변한 정릉 서쪽 숲길 10. 산길로 변한 정릉 서쪽 숲길 11. 동그란 석축에 뿌리를 내린 벚꽃나무 12. 정릉 서남쪽 숲길 13. 북악산길과 맞닿은 정릉 서남쪽 숲길 14. 정릉 남쪽 숲길 15. 정릉 능침 바로 윗쪽 쉼터 16. 정릉 남쪽 숲길에서 서쪽 숲길을 잇는 사잇길

1. 남마루에서 바라본 천하 2. 삼청터널 3. 삼청각 정문 4. 북악산 전면개방 기념조림 표석 5. 북악산(백악산) 등산로 (홍련사와 숙정문안내소 중간) 6. 숙정문안내소 7. 숙정문안내소 주변 북악산(백악산) 산림 8. 삼청각쉼터 9. 삼청각에서 바라본 천하 10. 북악하늘길 제1산책로와 북악산 북쪽 능선 (삼청각쉼터와 성북천발원지 중간) 11. 성북천발원지에 자리한 수고해다리 12. 성북천발원지 13. 성북천발원지에서 바라본 삼청각 편운정과 유하정 14. 서마루 15. 서마루에서 바라본 천하 16. 솔바람교 17. 이름도 없는 솔바람교 밑 약수터 18. 솔바람교 쉼터 19. 솔바람교 쉼터에서 남마루로 올라가는 계단길 20. 남마루 21. 남마루에서 바라본 천하 22. 호경암 방향 산길 23. 김신조..

1. 늦가을에 잠긴 북악산길 탐방로 2. 백사실계곡 상류 외나무다리 3. 능금마을로 이어지는 백사실계곡 상류 계곡길 4. 북악산길에서 능금마을로 내려가는 길(백석동2길) 5. 북악산길 탐방로 (북악산2번출입문 동쪽 구간) 6. 늦가을에 곱게 잠긴 북악산길 탐방로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7. 늦가을의 수채화 속으로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8. 늦가을이 질러놓은 산불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9. 늦가을의 한복판에서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10. 굳게 잠긴 북악산 청운대안내소 (북악산3번출입문) 11. 북악산길에서 바라본 능금마을(뒷골마을) 윗쪽 부분 12. 구불구불 이어진 북악산길 (북악팔각정 서쪽 구간) 13. 북악산길 나무데크 탐방로 (북악산4번출입문 주..
' 성북동 정법사, 북악산길 5월 나들이 '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끝 무렵, 후배 여인네와 내 즐겨찾기 명소의 하나인 성북동(城北洞)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4시에 한성대입구역(4호선)에서 그를 만나 최순우(崔淳雨) 옛집 과 길상사(吉祥寺) 등 성북동의 여러 단골 명소를 둘러보니 어느덧 17시가 넘었다. 저녁 을 먹기에는 시간도 이르고 입과 위가 섭취 준비가 덜 되어있어서 잠깐 눈요깃감을 생각 하니 번쩍 '정법사'가 뇌리 속에 스친다. 그곳은 길상사에서 북쪽으로 500m 떨어진 절로 성북동을 100회 이상 들락거렸음에도 아직까지 내 손과 발이 미치지 못한 미답처였다. 정법사가 미답처(未踏處)로 버젓이 남아있던 것은 나를 흥분시킬 요소가 전혀 없는 현대 사찰로 보았기 때문이다. ..

1. 성북동 정법사 (정법사 입구 표석) 2. 정법사의 법당인 대웅전 3. 옛 복천암 주춧돌 (정법사 경내) 4. 정법사 경내 연못 5. 정법사5층석탑 6. 정법사 대웅전 7. 정법사5층석탑 8. 정법사 강당(선방) 9. 정법사에서 바라본 천하 (성북동, 성북구, 서울 동부 지역) 10. 정법사 대웅전 금동석가3존상 11. 정법사 석조미륵불입상 12. 정법사 산신각 13. 정법사 산신탱 14. 정법사 독성탱 15. 정법사 연꽃석조 16. 정법사 가마솥 부뚜막 17. 뒤쪽에서 바라본 정법사 대웅전 18. 북악산길로 이어지는 정법사 뒷쪽 숲길 (산사길) 19. 정법사 산사길에서 바라본 성북동과 서울 도심 동부, 서울 동부와 동남부 20. 숲속다리 갈림길 (산사길) 21. 북악산길 위에 걸린 숲속다리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