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삼각산) 화계사에서 가까운 삼성암은 19세기에 창건된 사찰이다. 이곳은 독성도량을 내세우고 있는 절로 이번 부처님오신날(석가탄신일, 4월 초파일)에 삼성암은 계획에 없었으나 13시 이후 애석하게도 폭우 예보가 잡혀 있어 원래 가려고 했던 곳을 일단 접어두고 삼성암을 화계사 다음 메뉴로 급히 변경했다. (화계사에서 삼성암까지 도보 20여 분 거리) 삼성암에 이르니 시간은 12시 반, 여기까지 올라오니 다시 허기가 생겨 삼성암의 초파일 절밥 인심 좀 살필 겸 공양밥 1그릇 들려고 했다. 점심 때라 줄이 100m 이상 길게 이어져 있어 10여 분 정도 기다린 끝에 공양밥을 손에 쥐어들 수 있었다. 이곳 공양밥은 절밥에서 아주 흔한 비빔밥으로 콩나물과 미역무침, 무생채, 고추장이 들어있다. 그리고 시원한..

즐거운 부처님오신날(4월 초파일, 석가탄신일)을 맞이하여 도봉동 집에서 가까운 북한산(삼각산) 화계사를 찾았다. 보통 초파일절 나들이는 여유롭게 11시 이후에 벌이지만 그날은 공교롭게도 오후 일찍 폭우 예보가 잡혀 있어서 10시에 집을 나섰다. (작년 4월 초파일에도 하루 종일 비가 왔었음) 화계사는 우이동에 있는 북한산 도선사와 함께 서울 동북권을 대표하는 절이다. 발을 디딜 틈이 거의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무지하게 많았는데, 초파일 절 투어의 백미인 공양밥(절밥) 역시 그 줄이 어마무시했다. 공양밥 행렬만 거의 300m가 넘었으며, 절밥이 내 손에 들리기까지 거의 1시간이 걸렸다. 화계사 공양밥은 절밥에서 아주 흔한 비빔밥으로 무생채, 콩나물 등의 나물과 쌀밥, 고추장이 들어있다. 입가심용으로 미역냉..
' 석가탄신일 절 나들이, 정릉 북한산 봉국사(奉國寺) ' ▲ 조선 후기에 조성된 봉국사 석조여래좌상 봄과 여름의 팽팽한 경계선인 5월이 되면 3가지의 볼거리가 나를 바쁘게 만든다, 서울연등축 제(연등회)와 석가탄신일, 그리고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특별전이 그것인데, 이중 가장 흥 겨운 것이 석가탄신일(이하 초파일)과 그 1주 전에 열리는 서울연등회이다. (간송미술관 특 별전 2014년부터 미술관 대신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리고 있음, 특별전 기간도 연장됨) 간송미술관 특별전은 별 인연이 없으면 거르는 경우도 가끔 있지만 초파일은 비가 와도 절대 거르지 않는다. 그렇다고 내가 불교 신도도 아니고 평소에도 많은 절을 다녀 지금까지 300곳 에 이르는 사찰을 들락거렸지만 초파일에 굳이 순례를 가장한 절 ..
' 늦겨울 산사 나들이 ~ 대구 비슬산 용연사(龍淵寺) ' ▲ 용연사 석조계단 겨울 제국(帝國)의 기세가 슬슬 꺾이던 3월 첫무렵에 대구 지역의 오랜 고찰, 용연사를 찾 았다. 서울에서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4시간 가까이 달려 대구역에 도착, 대구지하철 1호선을 타 고 서쪽 종점인 대곡역에서 내렸다. 여기서 용연사로 가는 시내버스를 타야 되는데 배차간 격이 참 아름다운 수준이라 조금 걱정은 되었으나 다행히 대기 10분 만에 그곳으로 들어가 는 달성5번 시내버스(대곡역↔용연사↔현풍,유가사)가 모습을 드러냈다. 마치 옛 지기를 만난 듯, 반가운 표정을 지우며 그 버스를 타고 화원읍, 반송리를 지나 비 슬산 북쪽 골짜리에 자리한 용연사 주차장에 두 발을 내리니 곧바로 용연사 매표소가 흐뭇 한 표정으로 나를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