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늦겨울 산사 나들이 ~ 대구 비슬산 용연사(龍淵寺) '
▲ 용연사 석조계단
겨울 제국(帝國)의 기세가 슬슬 꺾이던 3월 첫무렵에 대구 지역의 오랜 고찰, 용연사를 찾 |
♠ 용연사 입문 (일주문, 천왕문) | |
용연지를 지나면 수레들의 쉼터인 주차장이 나온다. 주차장 중간에는 고색이 깃든 일주문(一柱 | |
▲ 적멸보궁, 석조계단 입구 |
▲ 경내로 인도하는 극락교. 다리를 건너면 |
일주문을 들어서면 용연사 문화유산 해설사가 머무는 관광안내소가 있다. 내가 나타나니 해설사 | |
| |
천왕문 밑에는 둥그런 석조(石槽)가 있는데 샘물 대신 먼지만 가득한 거의 죽은 샘터이다. 그런 | |
| |
※ 비슬산 북쪽에 포근히 안긴 고찰, 비슬산 용연사(琵瑟山 龍淵寺) |
♠ 용연사 극락전 주변 둘러보기 |
경내 중앙에는 법당(法堂)인 극락전이 뜨락을 굽어보며 좌우로 삼성각과 영산전을 거느리고 있 |
|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653년에 지어졌다. 1726년 화재로 무너진 것 |
|
극락전 불단에는 서방정토(西方淨土)의 주인인 아미타불(阿彌陀佛)이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 |
|
극락전 뜨락에 서 있는 3층석탑은 2중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얹힌 고려시대 탑 |
|
극락전 곁에는 나무로 만든 길쭉한 목조 구시가 누워있다. 이 구시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나무 |
|
♠ 용연사 명부전 주변, 그리고 점심공양 |
용연사는 중심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명부전과 석조계단 등 3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구역 |
|
명부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과 시왕(十王), 판관 등 명부(冥府, 저승)의 주요 식구들이 봉안되 |
|
명부전 곁에 높이 축대를 쌓고 황토색 담장을 걸치며 들어앉은 사명당은 절의 가장 어른인 주지 |
|
명부전 주변을 둘러보고 다시 극락전으로 나왔다. 시간은 어언 13시, 1시간 가까이 경내를 방황 |
|
공양밥은 다양한 나물이 버무려진 비빔밥이다. 붉은 양파와 콩나물, 시금치, 고사리 등의 나물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4년 2월 26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의 손가락 View on을
흔쾌히 눌러주세요. 댓글도 환영합니다.
Copyright (C) 2014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대구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지장사의 부속 암자인 청련암과 우록리와 남지장사를 이어주던 남지장사 옛길 (목니미 정자나무, 마을 당산목 참나무) (0) | 2020.10.13 |
---|---|
임진왜란 시절 대표 항왜인 김충선(사야가)을 봉안한 서원, 달성 녹동서원 (충절관, 모하당문집, 김충선 유물 등) (0) | 2020.10.09 |
봄맞이 산사 나들이, 대구 도심과 가까운 고색의 절집 ~ 팔공산 파계사 (성전암) (0) | 2016.04.28 |
우리나라 서원의 떠오르는 성지 ~ 달성 도동서원 (다람재고개, 이노정) (0) | 2012.12.18 |
팔공산 파계사 (0) | 201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