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대구 현풍(玄風) 나들이 ~ 도동서원, 이노정 ♠
▲ 도동서원 담장
♠ 우리나라 서원 건축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지는 서원 | |
| |
| |
도동서원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존재가 바로 김굉필나무라 불리는 커다란 은행나무이 | |
| |
아무리 울창하고 거대한 모습을 지녀도 400년의 나이는 속일 수 없는 모양이다. 400년의 노구를 | |
| |
수수한 모습을 지닌 수월루는 서원의 정문이자 외삼문(外三門)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 |
◀ 수월루에서 강당으로 들어서는 환주문(煥主 | |
▲ 도동서원 서재<西齋, 거의재(居義齋)> |
▲ 도동서원 동재<(東齋), 거인재(居仁齋)> |
환주문을 들어서면 강학공간인 강당이 정면에 나타난다. 그 좌우로 서원 유생들의 숙소인 조그 | |
| |
고색의 때가 만연한 서원의 강당(중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반의 맞배지붕 건물로 1.5m의 | |
| |
멀뚱한 표정으로 기단 밖으로 고개를 내민 4마리의 용은 예(禮)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 |
| |
강당 뒤에는 서원의 중심인 사당이 있다. 김굉필이 배향된 사당으로 들어서려면 내삼문을 지나 | |
| |
고색이 가득 깃들여진 담장은 자연석을 정렬시킨 바닥돌 위에 자연막돌을 쌓고 그 위에 암키와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글씨 크기는 까페와 블로그는 10~12pt, 원본은 12pt입니다.(12pt기준으로 작성됨)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12년 12월 13일부터
* 글을 보셨다면 그냥 가지들 마시고 바로 밑에 있는 네모난 박스 안에 View on을 흔쾌히
꾹꾹 눌러주시거나 댓글 하나씩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대구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지장사의 부속 암자인 청련암과 우록리와 남지장사를 이어주던 남지장사 옛길 (목니미 정자나무, 마을 당산목 참나무) (0) | 2020.10.13 |
---|---|
임진왜란 시절 대표 항왜인 김충선(사야가)을 봉안한 서원, 달성 녹동서원 (충절관, 모하당문집, 김충선 유물 등) (0) | 2020.10.09 |
봄맞이 산사 나들이, 대구 도심과 가까운 고색의 절집 ~ 팔공산 파계사 (성전암) (0) | 2016.04.28 |
늦겨울 산사 나들이 ~ 대구 비슬산 용연사 (1) | 2014.03.02 |
팔공산 파계사 (0) | 201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