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칼바위능선에서 바라본 천하삼성산의 너른 북쪽 자락 너머로 신림동과 봉천동, 난곡동,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 용산구, 마포구, 서울 도심, 남산(목멱산), 그리고 북한산(삼각산)까지 흔쾌히 두 망막에 맺힌다. 2. 칼바위능선 윗부분에서 만난 어느 바위주름선이 그어진 벼랑 위로 2개의 돌이 겹쳐진 큰 바위가 자리해 천하를 굽어본다. 마치 사람이 바라보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하고, 미사일 등의 무기 같은 것이 서울을 향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해 참으로 난해한 모습이다. 그 옆에는 네모난 돌덩어리가 떨어져 있는데, 2개의 돌이 겹쳐진 큰 바위와 피부색과 모양새가 비슷하여 대자연의 조화로 저 바위에서 떨어진 듯 싶다. 3. 바위 능선을 따라 펼쳐진 칼바위능선 4. 푸른 숲을 지나는 칼바위능선 윗쪽 산길..

1. 칼바위능선에서 바라본 천하속세를 향해 넓게 푸른 숲을 늘어뜨린 호암산 북쪽 자락 너머로 금천구와 난곡, 신림동, 영등포구, 구로구, 양천구, 강서구, 광명시, 부천시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2. 칼바위능선에서 만난 기묘한 모습의 바위들2개의 큰 바위 사이로 작은 돌 하나가 마치 돌다리처럼 걸려있다. 우리의 옛 땅인 산동반도(산동성) 태안의 태산에도 저런 비슷한 풍경이 있는데, 대자연의 기묘한 작품에 그저 감탄만 나올 뿐이다. 3. 칼바위 국기봉 (칼바위능선)칼처럼 솟은 주름지고 각박한 바위 위에 천하 제일의 국기인 태극기가 봄바람에 몸을 맡기며 힘차게 펄럭인다. 칼바위 국기봉은 관악산과 삼성산, 호암산에 깃든 13국기봉의 일원이다. 4. 완전하게 모습을 보인 칼바위 국기봉 태극기의 위엄 5. 언..

1. 삼성산 칼바위능선삼성산 북쪽 자락이자 호암산 동쪽 자락에 남북으로 길게 펼쳐진 칼바위능선은 칼바위를 중심으로 한 바위 능선이다. 바위 능선(암릉)이긴 하지만 길이 그리 각박하지 않으며, 각박한 구간에는 나무데크 계단길을 깔아서 각박함의 정도를 다소 줄였다. 이 능선은 북쪽과 서북쪽, 동북쪽이 확 트여있어서 앞서 돌산보다 우수한 조망을 자랑한다. 2. 칼바위능선에서 바라본 천하삼성산과 호암산의 울창한 수해(나무가 바다를 이루다) 밑으로 신림동과 난곡, 봉천동, 동작구, 영등포구, 양천구, 강서구 지역이 흔쾌히 시야에 들어온다. 3. 솔내음과 산내음이 가득 깃든 칼바위능선 4. 각박한 경사에 닦여진 나무데크 계단길 (칼바위능선) 5. 칼바위능선을 오르면서 바라본 천하삼성산 북쪽 자락과 신림동, 청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