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울주 간월사지(간월사터)간월산과 신불산 그늘인 등억온천단지(상북면 등억알프스리) 내부에 간월사터라 불리는 늙은 절터 유적이 있다.간월사는 신라 진덕여왕(재위 647~654) 시절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데, 절터에서 수습된 유물은 신라 후기와 고려 것들이라 창건 시기는 조금 맞지 않다. '동국여지승람'의 언양현 불우조, 서석린(1710~1765)이 쓴 '간월사지'에 절의 이름과 내력이 나와있으며,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634년에 중건했으나 19세기에 다시 사라지고 말았다.이후 석조여래좌상과 3층석탑을 속세에 내밀며 조용히 웅크리고 있다가 1984년에 1달 동안 발굴조사를 받았는데, 이때 금당터와 석탑 자리를 발견하였으며, 금당터에서는 금동불 2구와 기와, 토기, 자기류 등을 건졌다. 금당..
' 봄맞이 산사 나들이, 영동 백화산 반야사 ' ▲ 반야사3층석탑과 배롱나무 ▲ 영천과 망경대 ▲ 반야사계곡(석천계곡) ♠ 백화산(白華山)의 첩첩한 산주름 속에 묻힌 고즈넉한 산사, 영동 반야사(般若寺) - 영동군 향토유적 9호 ▲ 반야사 경내 경내 뒷쪽으로 꼬랑지를 든 호랑이를 닮았다는 돌너덜(반야산 호랑이)이 보인다. 영동 고을의 동부를 맡고 있는 황간(黃澗), 그 황간 북쪽 우매리에서 석천계곡(반야사계곡)을 따라 들어가다보면 그 길의 끝에 반야사가 그림 같은 모습으로 반겨준다. 백두대간의 일원이기도 한 백화산이 베푼 석천계곡이 태극문양으로 산허리를 감아 돌면서 연 꽃 모양의 지형을 이루는 그곳 한복판에 둥지를 닦은 반야사는 백화산의 남쪽 끝자락을 잡고 있다. 절을 둘러싼 주변 경관이 매우 곱고 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