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성북동 선잠단 (선잠단터 표석)성북동 성북초교 동쪽에는 조선시대 국가 제단 유적인 선잠단이 있다. 선잠단은 누에를 처음 쳤다는 서릉씨를 양잠의 신으로 삼아 제(선잠제)를 지내던 곳으로 여기서 누에는 의식주의 '의'를 해결해주던 소중한 존재들이다. 하여 나라에서 누에의 풍년 및 양잠 장려를 기원하는 제단을 만들어 선잠제를 지냈으며, 사직단과 선농단, 영성단 만큼이나 크게 애지중지되었다. 선잠단은 고려 때 시작되었는데, 조선으로 천하가 변경된 이후, 1414년~1430년 사이에 이곳으로 이전 조성되었다. 1475년 국조오례의에 따르면 선잠단의 크기는 사방 2장 3척, 높이 2척 7촌이며, 사방으로 나가는 계단을 내었다. 그리고 제단을 둘러싼 상단과 하단의 담장 둘레는 각각 25보였..
' 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 ~ 성북동(城北洞) 산책 ' ▲ 삼청각 편운정 서울 도심의 갑옷인 한양도성, 그 도성의 북문인 숙정문(肅靖門)과 동북문에 해당되는 혜화문 (惠化門, 동소문)을 나서면 바로 성북동이 도심과 다른 모습으로 고개를 내민다. 서울의 주산 (主山)이자 영원한 북현무(北玄武)인 북악산(北岳山, 백악산)과 서울의 늠름한 진산(鎭山) 북 한산(삼각산) 사이에 포근히 감싸인 성북동은 천하 최대의 대도시로 콧대가 드쎈 서울 도심의 한복판이란 것이 무색할 정도로 아름다운 자연과 전원 분위기를 자랑하며 다소 예민한 지정학 적 위치상 개발의 물결도 잠잠하다. 하여 성북동에 오면 서울특별시 성북구가 아닌 교외(郊外 )로 나온 듯한 기분이 물씬 든다. 나의 즐겨찾기의 하나인 성북동은 조선 초부터 나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