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안양 삼성산 염불사 2. 안양 망해암 석조보살입상(석불입상) 3. 염불사에서 바라본 안양 지역 (비봉산, 수리산) 4. 안양예술공원 안양정 5. 삼성산 염불사로 이어지는 숲길(예술공원로245번길) 6. 염불사에서 바라본 삼성산 남쪽 자락, 비봉산, 안양시내, 수리산 7. 염불사 염불전 8. 염불사 범종각 9. 염불사 요사 앞뜨락 10. 염불사 대웅전 11. 염불사 석조관세음보살상 12. 염불사3층석탑 13. 500년 묵은 염불사 보리수 14. 염불사 나한전 15. 염불사 산신각 16. 염불사 산신각에서 바라본 천하 (삼성산 남쪽 산자락과 비봉산, 안양시내, 수리산) 17. 산신각 산신탱 18. 염불사 독성각 19. 독성각 독성탱 20. 염불사 석조미륵불 21. 염불사 칠성각 22. 칠성각 칠성탱 2..
' 한겨울 산사 나들이, 안양 삼성산 삼막사 ' ▲ 삼막사3층석탑 겨울 제국이 늦가을을 몰아내고 천하를 완전히 휘어잡던 12월 한복판에 일행들과 삼성산 삼막사를 찾았다. 삼성산(三聖山, 481m)을 오르면 삼막사는 거의 거쳐가기 마련인데, 햇님이 하늘 높이 걸 려있던 12시에 서울대입구역(2호선)에서 일행들을 만나 서울시내버스 6515번(양천차고지 ↔안양 경인교대)을 타고 관악구청, 서울대를 지나 삼성산성지 정류장에서 두 발을 내렸 다. 바로 여기서 삼막사를 찾기 위한 삼성산 산행을 시작했다. 서울의 대표적인 천주교 성지(聖地)로 꼽히는 삼성산성지(三聖山聖地)를 지나 호암산(虎 巖山, 385m) 정상 부근에서 속세(俗世)에서 가져온 먹거리(김밥, 과일, 과자 등)로 간단 히 점심을 때웠다. 호암산 정상에..
' 묵은 해의 끝에 찾아간 안양예술공원, 안양사터 나들이 ' (김중업건축박물관, 석수동 마애종, 안양사) ▲ 안양사지와 김중업박물관 ▲ 중초사지 당간지주와 3층석탑 ▲ 석수동 마애종 새해가 시작된 지 정말 엊그제 같건만 벌써 연말의 끝에 이르렀다. 이제 며칠이 흐르면 올해는 완전히 끝나고 새해로 포장된 날이 밝아와 연말 우울감에 빠진 인간들에게 새해 의 부질 없는 희망을 안겨줄 것이다. 그렇게 우리네 인생은 챗바퀴처럼 비슷한 데를 돌 고 또 돈다. 하여 연말의 우울감도 잠시 잊을 겸, 올해의 마지막 나들이로 삼성산 남쪽 에 길게 누운 안양예술공원을 찾았다. 안양예술공원은 삼성산(三聖山)과 관악산(冠岳山)으로 오르는 주요 기점으로 경관이 아 름답고 볼거리가 풍부하여 소풍 및 등산/답사/출사/피서 수요가 대..
* 안양 안양사지 (옛 중초사지) 신라 후기에 창건된 중초사가 태조 왕건의 지원으로 증축되어 안양사로 간판을 바꿨다. 이후 고려 조정의 지원에 힘입어 삼성산 제일의 고찰로 성장했고, 우왕 시절에 최영장군이 이곳 전탑을 중수하고 1천여 명의 승려가 불사를 벌였다. 안양사는 중초사지 당간지주와 석탑이 있는 유유산업 자리에 있었는데 조선 중기 이후 절이 파괴되어 터만 남아오던 것을 제약회사인 유유산업이 들어앉으면서 절터는 땅 밑에 묻히고 안양사는 뒷쪽 산자락으로 자리를 옮겨 법등을 다시 잇고 있다. 2007년 안양시에서 유유산업 자리를 매입하면서 발굴조사를 벌였는데 땅속에 가려진 절터가 모습을 드러냈으며,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유산업은 강원도로 공장을 옮겼고, 기존 공장 건물 상당수는 철거되어 일부만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