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사천 덕곡리 지석묘군 (11호 지석묘)백천사입구인 덕곡리 마을과 논두렁에 늙은 지석묘(고인돌) 15기가 전하고 있다. 이들은 한곳에 뭉쳐있지 않고 마을과 논두렁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데, 고인돌은 단군이 건국한 옛조선이 천하에 크게 웅거하던 청동기시대 유물로 특히 옛조선의 영역인 우리나라와 만주, 하북, 중원대륙에 크게 몰려있어 옛조선과 동이족의 세력 범위를 가늠하게 해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고인돌은 지역 세력가의 무덤으로 보고 있는데, 덕곡리에 있는 것들은 형태상 바둑판식으로 덮개돌의 크기는 보통 2.2m, 너비 1.4m이며, 받침돌의 크기는 너비 40cm, 높이 20cm 정도이다. 땅속에 있는 하부구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석관일 것으로 여겨진다. 덕곡리 고인돌 식구 중에서 우연히 눈에 띈 11..

1. 연천 차탄리 고인돌연천역(1호선) 4번 출구를 나와서 10분 남짓 직진하면 차탄리 고인돌을 지닌 공원이 나온다. 이곳은 연천읍내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연천로(옛 3번 국도) 서쪽 도로변으로 공원 한복판에 큰 고인돌이 한쪽으로 넘어진 모습으로 자리해 있으며, 그 주변에 고인돌 1기가 땅바닥에 바짝 엎어져 있다. 고인돌(지석묘)은 우리 배달민족(동이족)의 특허품이나 다름 없는 존재로 옛 조선이 천하에 크게 위엄을 떨치던 청동기시대 유적이다. 보통 세력의 군주나 우두머리의 무덤으로 크게 보고 있는데, 이곳 고인돌은 차탄천 옆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가져왔다. 고인돌의 덮개석은 응회암으로 평면은 긴네모꼴에 가까우며, 길이는 3.8m이다. 지역에서는 오랫동안 '괸돌'이라 불렀는데, 마을 사람들이 크게 애지중지..

1. 양평 양수리 고인돌(지석묘)북한강과 남한강이 하나의 한강으로 합쳐지는 두물머리(양수리) 마을 중심부에 늙은 고인돌이 누워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흔적들로 우리나라와 북한, 만주, 하북성, 산동반도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와 북한, 만주에 크게 몰려있으며, 큼직한 고인돌의 대부분은 이 땅에 깃들여져 있어 우리네 배달민족(동이족)의 특허 유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럽에서도 조금씩 발견되고 있음) 이곳 양수리 고인돌은 난쟁이 반바지 접은 정도의 아주 작은 덩치로 덮개돌 길이가 2.7m, 너비 1.1m, 두께 0.9m이다. 덮개돌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 1개의 크기는 길이 1.5m, 너비 0.9m, 두께 0.45m이며, 나머지 받침돌은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졌다. 양수리 지역은 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