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웅전 맞은 편에 자리한 커다란 돌덩어리들봉화대처럼 높이 닦여진 2기의 돌탑 위에 머리장식을 갖춘 하얀 피부의 3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3층석탑 밑에는 하얀 피부의 아주 조그만 불상과 보살상들이 가득 자리해 있으며, 돌탑 앞에는 마애약사삼존상이 깃든 바위가 있다. 그리고 돌탑 옆에는 일붕 서경보가 세운 대방광불화엄경 평화통일기원대비가 묵직하게 자리해 있다. 2. 백천감로수 석조백천감로수라 불리는 석조에는 와룡산이 베푼 수분이 가득 담겨져 있다. 석조 주변에는 파란 바가지들이 엎어진 상태로 꾸벅꾸벅 졸고들 있다. 3. 용왕각대웅전 앞에 자리한 용왕각은 1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용왕의 공간이다. 용왕은 바다와 강, 약수물 등 천하의 모든 수분을 관장한다. 4. 용왕각 용왕탱차분하게 그려진 탱화 한복판에..

1. 북한산 영취사 (영취사5층석탑)북한산(삼각산) 기점의 일원인 정릉동 정릉탐방지원센터에서 정릉계곡을 따라 30~40분 정도 올라가면 절간답다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로 적막하고 고즈넉한 모습의 영취사가 마중을 나온다. 해발 400m 고지에 둥지를 튼 영취사는 북한산(삼각산) 품에 무수히 깃든 절의 하나로 정릉계곡에서 북한산성 대성문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자리해 있어서 이 구간을 이용할 경우 무조건 거쳐가야 된다. (등산로가 절 경내를 지나감) 영취사는 1962년에 신정옥이 세운 것으로 그렇게 오래된 절은 아니다. 그는 1928년 7월 14일 충남 예산군 신례원에서 독립운동가 신현상의 딸로 태어났는데, 불명(佛名)은 대지행(大智行), 호는 초일(草一)로 백범 김구 선생의 수양녀이기도 했으며, 1947넌 공..

1. 치악산 산주름에 고적하게 깃들여진 보문사 치악산 주능선 중간에 솟은 향로봉(1041m) 서쪽 자락 660m 고지에 보문사가 포근히 깃들여져 있 다. 이곳은 신라 경순왕 시절에 무착이 창건했다고 전하는데, 이를 입증할 기록과 유물은 없는 실정 이며, 창건 이후 조선 중기까지 적당한 사적도 전하지 않는다. 다만 경내에 고려 후기 것으로 보이는 청석탑이 전하고 있어 적어도 고려 중기 이후에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중창했다고 하며, 그때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신행결사도량으로 삼아 절 이름을 보문련사라 했다고 한다. 또한 이곳이 국형사(아랫고문절)의 위쪽이라 ‘웃고문절’이 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1930년에 강상준이 중건하고, 1971년 주지인 이백련화가 중창하여 지..

1. 쌍계사로 인도하는 오르막길 (쌍계사입구) 2. 쌍계사 교육관 3. 쌍계사의 법당인 극락보전 4. 쌍계사 명부전 5. 명부전 금동지장보살상 6. 쌍계사 용왕각 7. 용왕각에 깃든 용바위 (쌍계사 용바위) 8. 용왕각 용왕탱 9. 쌍계사 용바위 (용왕각 내) 10. 쌍계사 명부전 11. 쌍계사 극락보전 아미타불과 아미타회상도 12. 극락보전 신중탱 13. 쌍계사 극락보전 아미타불과 아미타회상도 14. 쌍계사 교육관 15. 쌍계사 삼성각 16. 삼성각 칠성탱 17. 삼성각 산신탱 18. 삼성각 독성탱 19. 쌍계사 석조미륵불입상 20. 조선 후기에 세워진 쌍계사 부도탑(승탑) 21. 쌍계사 수목장 22. 쌍계사 경내 23. 소나무숲에 자리한 쌍계사 수목장 24. 쌍계사 심검당 25. 쌍계사 연화당
' 기장 동해바다 나들이 (죽성리 월전에서 대변을 거쳐 해동용궁사까지) ' ▲ 연화리 앞바다 (멀리 보이는 곳은 대변항) ♠ 월전에서 대변까지 ▲ 남쪽에서 바라본 월전포구 기장읍 동쪽 죽성리(竹城里)에서 시작된 우리의 기장 동해바다 봄나들이는 죽성리 일대의 명소 를 두루 둘러보고 월전을 거 쳐 대변으로 향했다. 월전에서 대변까지는 3km 정도 된다. 이 구간을 운행하는 대중교통은 하나도 없으며, 1.5~2차 선 정도의 길(기장해안로)이 바다와 적당히 거리를 두며 펼쳐진다. 월전 남쪽에는 식당을 비롯 해 분위기를 내세운 카페들이 여럿 뿌리를 내렸고, 그 이후 대변 동쪽까지는 드문드문 별장처 럼 생긴 집들이 보일 뿐이다. 휴일이라 그런지 대변이나 월전으로 외식을 하러 가거나 드라이 브를 나온 차량들이 수시로..
* 영종도의 진산인 백운산 동쪽 자락에 자리한 용궁사는 신라 중기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과연?) 조선 후기에 흥선대원군과 어떻게 인연이 생겨 그의 지원으로 중창을 했으며, 요사에 그가 쓴 용궁사 현판이 걸려있다. 절은 조그만 규모로 경내에는 지방기념물로 지정된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다. * 용궁사 용황각 * 용궁사 요사 - 흥선대원군이 써준 용궁사 현판이 있음 * 용궁사의 자랑인 느티나무 (나이가 무려 1,300년에 이른다고..?) * 기존 건물 보수로 잠시 가건물 신세를 지고 있는 용궁사 대웅보전 * 대웅보전 내부 * 몸단장중인 용궁사 대웅보전 * 용궁사 칠성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