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대웅전 맞은 편에 자리한 커다란 돌덩어리들
봉화대처럼 높이 닦여진 2기의 돌탑 위에 머리장식을 갖춘 하얀 피부의 3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3층
석탑 밑에는 하얀 피부의 아주 조그만 불상과 보살상들이 가득 자리해 있으며, 돌탑 앞에는 마애약사
삼존상이 깃든 바위가 있다. 그리고 돌탑 옆에는 일붕 서경보가 세운 대방광불화엄경 평화통일기원
대비가 묵직하게 자리해 있다.
2. 백천감로수 석조
백천감로수라 불리는 석조에는 와룡산이 베푼 수분이 가득 담겨져 있다. 석조 주변에는 파란 바가지
들이 엎어진 상태로 꾸벅꾸벅 졸고들 있다.
3. 용왕각
대웅전 앞에 자리한 용왕각은 1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용왕의 공간이다. 용왕은 바다와 강, 약수물
등 천하의 모든 수분을 관장한다.
4. 용왕각 용왕탱
차분하게 그려진 탱화 한복판에 용왕이 앉아있고, 그 좌우로 용과 동녀, 동자승이 자리해 그를 보좌한
다.
5. 대웅전 금동석가여래삼존상
대웅전 불단에는 금동 피부를 지닌 장대한 모습의 석가여래상이 좌우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대동
하며 앉아있다. 그 앞과 좌우로는 중생들의 돈을 받아 달아놓은 조그만 금동원불이 가득해 그야말로
눈을 부시게 하는데, 석가삼존상 옆에는 그들보다는 작지만 의연한 모습의 석불이 하나 있으니 그가
밀양 천황사에서 건너온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다.
6. 금빛찬란한 대웅전 내부
가운데에 석가여래삼존상이 있고, 그 좌우로 승려 머리의 지장보살과 천황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나란히 자리한다.
7. 밀양 천황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금동불과 금동보살상으로 가득한 대웅전 불단에 홀로 돌 피부를 드러낸 존재가 있다. 바로 밀양 천황
사에서 넘어온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다.
이 석불은 원래 밀양 얼음골에 깃든 천황사에 있던 것이다. 예전 얼음골 나들이 때 천황사에서 그를 본
기억이 또렷히 나는데, 천황사의 사정으로 백천사로 넘어와 대웅전 식구의 일원이 되었다. 석불 관리
를 위해 잠시 이곳에 온 것인지 아니면 아예 이곳으로 이사를 온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덕에 백천사
는 현대사찰임에도 소장문화유산을 넉넉히 지니게 되었다.
그는 신라 후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광배만 없을 뿐이지, 불상과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다. 결가부좌
자세로 앉아 있으며, 오른쪽 다리를 뒤로 올린 향마좌도 겸하고 있다. 두 손을 오른쪽 엄지로 위 아래
로 이은 지권인을 하고 있는데, 대좌와 몸통은 고색의 때가 가득해 다소 검해 보이나 얼굴은 대비를
이룰 정도로 하얗다. 얼굴은 파손되어 새로 만들어 붙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위 아래가 조금은 어색해
보인다.
불상의 체구는 인체 비례와 비슷한데,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는 옷으로 가린 우견견판을
하고 있으며, 조금은 날씬한 허리에 걸쳐진 얇은 옷의 표현으로 사실성을 높여준다. 이처럼 우아하고
사실적인 형태는 신라 후기 불상에서 많이 보이며, 얇은 층단신 주름의 세련된 표현은 8세기 후반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한다.
특히 이 불상의 백미는 이 땅에서 단 하나 밖에 없는 사자좌(獅子座)이다. 사자좌는 상대와 중대, 하
대로 구성되었으며, 상대는 둥근 원판형 위부분에 약간 높여 정교한 연주문을 새기고, 그 아래에 활
짝 핀 연꽃무늬를 2겹으로 새겼다. 중대는 7cm 높이의 얇은 것으로 둥근 원형받침형태인데 2줄의
띠를 새기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예이다. 하대는 아랫 부분에 복판연화문을 두고 그 위로
11마리의 사자를 환조(丸彫)로 새겨 대좌의 호화로움을 끌어 올린다. 정면에는 향로 같은 것을 끼우
던 받침으로 보이는 구멍 받침이 있다.
얼굴을 제외하고 대체로 건강 상태가 양호하며, 8세기 후반의 가장 우수한 석불로 꼽힌다. 또한 유일
하게 사자좌를 갖춘 불상으로 그 가치는 얼음골 만큼이나 상당하다. 원래부터 천황사에 있던 것은 아
닌 듯 하며, 이리저리 떠돌다가 이 골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천황사는 역사가 매우 짧은 현대
사찰로 바로 이 불상 때문에 지어진 것이라 봐도 과언은 아니다.
7. 금동색 일색에서 유일하게 천연의 돌색을 보이고 있는 천황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불 머리는 새로 만들어 붙였고, 석불 몸통도 상처 부분을 손질하면서 다소 젊어졌다. 그래도 몸통과
옷주름, 수인, 그리고 그가 앉아있는 사자좌와 11마리의 사자상은 잘 남아있다.
백천사에서 아미타입불과 산신할머니돌, 약사와불 등의 명물이 있지만 이 석불도 그에 못지 않은 중
요한 존재이다. 게다가 국가 보물로 지정된 아주 늙은 신라 후기 석불이다. 그러니 대웅전 내부에 있
는 이 석불도 꼭 챙겨보자. 그래야 나중에 명부(저승)에 가서도 꾸중을 듣지 않는다.
8. 백천사 대웅전과 그 뒤쪽에 높이 솟은 오방불전
9. 북쪽에서 바라본 백천사 오방불전
오방불전 밑에 있는 돌탑 무리들은 납골탑이다. 백천사는 경내 밑부분에 납골탑의 공간을 넓게 만들
어 절의 곳간을 배려했다.
10. 잠시 정들었던 백천사를 뒤로 하며 (북쪽에서 바라본 백천사)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천 와룡산 백천사 ④ 오방불전과 오방불, 백천용정수, 대웅전 (0) | 2025.01.01 |
---|---|
사천 와룡산 백천사 ③ 백천사의 대표 명물, 약사와불전에 봉안된 약사와불 (0) | 2024.12.31 |
사천 와룡산 백천사 ① 덕곡저수지, 백천저수지, 산령각, 산신할머니 복돌, 만덕전(아미타입불) (0) | 2024.12.27 |
사천 와룡산 백천사 ② 만덕전 아미타입불, 산령각, 산신할머니복돌, 약사좌불, 약사와불전, 소원고리 돌거북 (0) | 2024.12.26 |
사천 덕곡리지석묘군 (덕곡리 11호 고인돌, 덕곡리 12호 고인돌, 덕곡마을 당산나무)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