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용인 정몽주선생묘 2. 저헌 이석형묘 3. 정몽주 묘역 영모재 4. 충렬서원 5. 정몽주 선생묘를 알리는 표석 6. 정몽주 신도비 (신도비각) 7. 연안이씨 비각공원 8. 저헌 이석형 신도비 (신도비각) 9. 저헌 이석형 신도비 10. 홍살문과 정몽주 묘역 11. 왕릉처럼 드넓은 정몽주 묘역 12. 경모사(왼쪽)와 모현당(오른쪽) 13. 영모재 14. 백로가 시비 15. 단심가 시비 16. 밑에서 바라본 저헌 이석형묘 17. 저헌 이석형묘 18. 저헌 이석형 묘표 19. 저헌 이석형 묘 문인석 20. 뒷쪽에서 바라본 이석형묘와 전방 풍경 21. 정몽주묘에서 바라본 이석형묘 22. 이석형묘에서 바라본 정종성과 죽산박씨 묘 23. 포은 정몽주 묘 24. 이석형묘에서 바라본 정몽주묘 25. 난간석과 호석..
* 충신의 대명사이자 최영과 더불어 고려의 마지막 보루이던 포은 정몽주 선생묘소 포은 정몽주(1337~1392)는 고려 충신의 상징인 3은의 하나로 경북 영천이 고향이다. 그는 성리학을 연구해 그 기초를 닦았고, 1360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다. 이성계 패거리의 힘이 나날이 커져 나라를 뒤엎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하자 이를 반대하며 고려 왕실을 붙들다가 1392년 개경 선죽교에서 태종 이방원의 부하 조영규에게 살해되었다. 그가 피살된 이후, 개경 인근 풍덕군에 임시로 묘를 썼다가 고향으로 이장할 때, 용인 풍덕천에 이르자 갑자기 명정이 바람에 날라갔다. 그를 추적하니 바로 지금 묘소에 떨어져 있어 하늘의 뜻으로 여겨 이곳에 묘를 썼다고 전한다. 이성계패거리에게 협조하지 않은 적이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