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삼각산) 화계사에서 가까운 삼성암은 19세기에 창건된 사찰이다. 이곳은 독성도량을 내세우고 있는 절로 이번 부처님오신날(석가탄신일, 4월 초파일)에 삼성암은 계획에 없었으나 13시 이후 애석하게도 폭우 예보가 잡혀 있어 원래 가려고 했던 곳을 일단 접어두고 삼성암을 화계사 다음 메뉴로 급히 변경했다. (화계사에서 삼성암까지 도보 20여 분 거리) 삼성암에 이르니 시간은 12시 반, 여기까지 올라오니 다시 허기가 생겨 삼성암의 초파일 절밥 인심 좀 살필 겸 공양밥 1그릇 들려고 했다. 점심 때라 줄이 100m 이상 길게 이어져 있어 10여 분 정도 기다린 끝에 공양밥을 손에 쥐어들 수 있었다. 이곳 공양밥은 절밥에서 아주 흔한 비빔밥으로 콩나물과 미역무침, 무생채, 고추장이 들어있다. 그리고 시원한..

즐거운 부처님오신날(4월 초파일, 석가탄신일)을 맞이하여 도봉동 집에서 가까운 북한산(삼각산) 화계사를 찾았다. 보통 초파일절 나들이는 여유롭게 11시 이후에 벌이지만 그날은 공교롭게도 오후 일찍 폭우 예보가 잡혀 있어서 10시에 집을 나섰다. (작년 4월 초파일에도 하루 종일 비가 왔었음) 화계사는 우이동에 있는 북한산 도선사와 함께 서울 동북권을 대표하는 절이다. 발을 디딜 틈이 거의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무지하게 많았는데, 초파일 절 투어의 백미인 공양밥(절밥) 역시 그 줄이 어마무시했다. 공양밥 행렬만 거의 300m가 넘었으며, 절밥이 내 손에 들리기까지 거의 1시간이 걸렸다. 화계사 공양밥은 절밥에서 아주 흔한 비빔밥으로 무생채, 콩나물 등의 나물과 쌀밥, 고추장이 들어있다. 입가심용으로 미역냉..

작년(2023년)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돈암동 흥천사에서 먹은 공양밥이다. 절 공양밥은 모두 비빔밥 스타일로 제공되는데, 콩나물과 무생채, 호박무침 등 여러 나물과 고추장을 넣어 비벼먹으면 되며, 보통 시원한 미역냉국을 같이 준다. (절밥은 비빔밥과 국수 2가지를 주로 취급하며, 후식은 떡과 과일, 사탕, 과자류,차, 커피를 주로 제공함) 흥천사 공양간은 2020년 이후에 새로 지어진 3층 건물 1층에 있다. (2층에 무량수전, 3층에 약사전이 들어있음) 석가탄신일에는 오후 2~3시 정도까지 공양밥을 제공하는데, 공양간에 들어가서 밥을 받으면 된다. 사람이 몰릴 경우 일찍 마감되는 경우가 있으니 가급적 오후 1시 이전에 가는 것이 좋으며, 예전에는 떡도 주었으나 작년에는 밥과 미역냉국만 주었다. 석가..

1. 흥천사에서 먹은 공양밥 즐거운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4월 초파일)을 맞이하여 올해도 변함없이 서울 장안에 여러 절을 둘러보고 왔다. 이번 초파일은 야속하게도 오전부터 종일 비가 내렸는데, 오후에 아주 잠깐 소강 상 태를 보인 것 외에는 우산이 없으면 돌아다니기가 어려울 정도로 많은 비가 쏟아졌다. 그러다보니 사진 출사도 제대로 하지 못했고 마지막에 들린 화계사에선 빗방울이 꽤 거칠어져 연등 점화, 저녁 예불도 제대로 살피지 못하고 금방 나오고 말았다. 무심한 비로 인해 절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초파일 야외 행사와 볼거리가 크게 축소되었고, 흥천사 외에는 사람도 별로 없어 초파일 분위기도 많이 가라앉았다. 하여 2003년 이후 가장 재미가 없는 초파일로 기억에 남게 되었다. 흥천사는 근래 새로 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