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향림당대용선사(1921~2006)의 부도탑근래 조성된 부도탑으로 파리도 능히 미끄러질 정도로 매끄러운 하얀 피부를 지녔다. 그 뒤쪽으로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시커먼 피부의 부도탑(의각의 부도탑이라 내세우고 있음)과 멸운당대사의 부도탑, 그리고 멸운당대사탑비가 있다. 2. 서래암'ㄱ'모양의 기와집으로 별도의 암자가 아닌 향천사 소속의 건물이다. 3. 청기와를 눌러쓴 향천사 극락전향천사의 법당인 극락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71년에 새로 지었다. 원래는 그 우측 나한전 자리에 있었는데, 1983년 옛 극락전을 철거하면서 지금의 건물이 극락전이 되었다. 불단에는 단향목으로 만든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는 1359년에 조성된 거라고 한다. (또는 조선 초기나 중기에 조..

1. 향천사 천불전 내부천불전에는 건물의 이름 그대로 1,000기의 불상이 있어야 되지만 정확하게는 그보다 1.5배가 많은 1,515기의 불상이 불단을 가득히 메우고 있다. 이는 이 땅에 널린 천불전의 불상 수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로 그 흔한 이름 천불보다는 눈에 좀 띄게 천오백불(1,500불)이라 부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천불과 3천불은 많지만 1,500불은 희귀하기 때문이다.이들 천불은 미혼자의 혼인 대상자를 점쳤다는 전설이 있으며, 우리나라 7천 만 인구 마냥 가지각색의 모습과 표정으로 개성들이 넘친다. 모두 하얀 불상으로 작은 불상은 대부분 석고상이고, 큰 불상은 돌로 만들어졌다. 2. 천불전 천불의 위엄문을 열고 적막이 깃든 천불전으로 들어서니 가운데 큰 불상을 비롯해 1,500의 불상..
' 한겨울 산사 나들이 ~ 예산 금오산 향천사(香泉寺) ' ▲ 제각각의 모습을 지닌 천불전의 천불(千佛) 묵은 해가 저물고 새해가 밝으면 온갖 기대감이 나를 설레게 한다. '올해는 잘될거야','돈 많이 벌겠지~!' 등의 바램 말이다. 그런 희망을 품으며, 새해 첫 답사지로 어디를 갈까 궁 리하다가 문득 충남 예산에 시선이 멈추어 그곳에 있는 향천사를 찾았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섰으나 급하게 갈 이유가 전혀 없어 느림의 미학(美學)이나 누릴 겸, 굼 벵이 1호선 전철을 타고 방학역에서 아산시 신창역까지 내려갔다. 거리는 자그마치 130km, 소요시간은 3시간이다. 그것도 서울역에서 천안으로 가는 급행 전철(1일 3회, 평일만 운행) 의 노력 덕분이다. 그렇게 나의 근성을 오랜만에 테스트하며 수도권 전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