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서울 도심의 상큼한 뒷동산이자 조선시대 공동묘지, 초안산 '
|
|
▲ 봄이 무르익은 초안산 숲길 |
|
|
|
▲ 초안산 조선시대 분묘군 |
▲ 비석골근린공원 |
봄이 한참 무르익던 4월 한복판의 어느 화창한 날, 집에서 무척 가까운 초안산(楚安山)을 |
|
♠ 초안산 둘러보기 (녹천역에서 정상 주변까지) |
|
녹천역(1호선) 1번 출구를 나오면 초안산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손짓을 한다. 경사도 느긋하여 |
|
|
|
녹천역에서 초안산 정상으로 오르는 산길에는 오래된 무덤이 없다. 중간에 생태공원으로 거듭 |
|
|
|
녹천역에서 20분 남짓 오르니 드디어 초안산 정상(114.1m)에 이르렀다. 정상에는 삼각점과 태 |
|
|
|
▲ 정상에 자리한 4각형 정자 |
▲ 'H'마크가 박힌 헬기장 |
|
|
헬기장 남쪽 산길 옆에는 무덤 2기가 납작하게 누워 있다. 이들은 원래 저거보다 더 컸지만 |
|
|
|
▲ 무덤 뒷쪽에 누운 비좌 |
▲ 헬기장 부근에 외로이 서 있는 |
|
|
헬기장 남쪽에는 체육시설과 너른 공터가 있다. 이 주변에는 자연의 일부로 동화된 무덤의 흔 |
|
|
♠ 초안산 서남쪽 둘러보기 (창3동 구역) |
|
초안산 창3동 구역에는 늙은 무덤이 많다. 산자락은 물론이고 산길에도 세월의 무게로 납작해 |
|
|
|
|
|
▲ 오랜 세월 표정을 잃지 않으며 주인 |
▲ 비석과 상석, 동자석을 갖춘 무덤 |
|
|
▲ 증통정대부(贈通政大夫)~ 무덤 앞에 |
▲ 산자락에 가득 깔린 옛 무덤의 물결 |
|
|
|
|
▲ 봉분은 사라지고 석물만 남은 무덤 ② |
▲ 봉분은 사라지고 석물만 남은 무덤 ③ |
|
|
▲ 봉분은 사라지고 상석만 덩그러니 |
▲ 고된 세월에 지쳐 쓰러진 망주석 |
|
|
|
|
▲ 피부가 누렇게 뜬 비석(묘표) |
▲ 세월에 지쳐 쓰러진 비석이 상석을 |
♠ 초안산 동남쪽 둘러보기 (월계동 구역) |
|
초안산 정상에서 남쪽 길로 내려가면 월계동 청백1단지와 비석골근린공원으로 이어진다. 이 |
|
|
|
▲ 산길에 널부러진 상석들 |
▲ 수풀에 파묻힌 고적한 상석 |
|
♠ 초안산 비석골근린공원과 궁중문화제 |
초안산 남쪽 끝에는 비석골근린공원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곳은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와 |
|
서울 도심과 한참이나 떨어진 초안산, 1980년대까지만 해도 안골, 녹천(鹿川), 각심절, 벼루 |
|
공원 한쪽에는 문인석 13기가 무리지어 있다. 이들은 염광학원과 옛 경춘선 철로변, 영축산( |
|
축제 막바지라 짐싸기 바쁜 비석골근린공원을 벗어나 초안산 동쪽 자락에 자리한 각심재(恪心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1년 7월
23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1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품 조망에 볼거리도 넉넉한 서울의 숨겨진 명산, 호암산 (호압사, 호암산 정상부, 민주동산 깃대봉) (0) | 2021.09.25 |
---|---|
송파구의 모퉁이를 거닐다 ~~ 방이습지(방이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서울둘레길3코스, 성내천 (방이동 생태학습관) (0) | 2021.09.14 |
김포공항의 상큼한 뒷동산, 개화산~강서둘레길~꿩고개산 (미타사, 개화산자락길) (0) | 2021.07.19 |
국립서울현충원에 깃든 오래된 문화유산, 창빈안씨묘역~서달산 호국지장사 6월 나들이 (창빈안씨신도비, 현충원숲길) (0) | 2021.06.27 |
석가탄신일 기념 산사 나들이, 아차산 영화사 (영화사 미륵석불입상, 영화사에서 먹은 공양밥) (0) | 2021.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