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용담사7층석탑 2.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3. 남원시내로 흘러가는 원천천 4. 용담리를 휘감아 흐르는 원천천 5. 용담사의 외경 6. 용담사 대웅전 7. 용담사 무량수성미전 8. 용담사 석등 9. 용담사7층석탑 10. 용담사 미륵전 11. 용담사 석조여래입상 12. 용담사 석조여래입상의 대좌 13. 용담사 석조 14. 지리산에서 발원하여 남원시내로 흘러가는 원천천(용담천) 15. 선원사 일주문 16. 선원사 범종루 17. 선원사5층석탑 18. 선원사 명부전 19.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상 20. 명부전 무독귀왕과 시왕상, 동자상, 금강역사상 21. 도명존자와 시왕상, 동자상 22. 명부전 동자상과 동녀상 23. 선원사 모과나무 24. 선원사 석조미륵불입상 25. 선원사 약사전 26. 선원사 ..

1. 경복궁 흥복전 (흥복전의 뒷모습)경복궁 한복판이자 아미산 북쪽에 흥복전이 자리잡고 있다. 흥복전은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크게 중건하던 1868년에 장만한 것으로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창의궁의 함일재를 가져와서 지었다고 전한다. 즉 함일재를 분해하여 이곳으로 가져와 흥복전 건립에 쓴 것이다. 그만큼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사업은 어려웠다. 경복궁이 다시 일어선 이후, 교태전과 강녕전 등 내전의 주요 건물들이 2번이나 화재를 만났는데, 그때 고종이 경연과 신하 접견, 외국 공사와 사신들 접견 장소로 잠시 사용했다. 이후 신정황후 조씨가 이곳에 머물다가 1890년에 승하했다. 고종이 덕수궁(경운궁)을 중심 궁궐(법궁)로 삼은 이후, 흥복전 북쪽에 있던 빈궁 생물방과 부속 건물인 다경합을 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