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존덕정 은행나무 존덕정 뒷쪽에는 250년 이상 묵은 늙은 은행나무가 높이 솟아 있다. 그는 높이 22.4m, 둘 레 5m 규모로 정조 임금이 존덕정을 정비하면서 기념으로 심은 것인데, 공자가 행단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고사에 따라 학문 장려 차원에서 식재한 것으로 여겨진다. 2. 폄우사 존덕정 서쪽에 자리한 폄우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에 맞배지붕 집이다. 원래는 초익공계 맞배지붕 집으로 부속 건물이 남향으로 붙어있는 'ㄱ' 형태였으나 1908년 동궐도형에는 'ㅡ'자형으로 나와있어 중간에 변형되었음을 알려준다. 온돌방을 지니고 있으며, 건물 이름인 '폄우'는 '어리석은 자에게 돌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제왕이 자신을 되돌아보고 어리석음을 깨우쳐 덕을 높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3. 승재정 관람..

1. 취규정에서 관람정, 존덕정으로 이어지는 숲길 옥류천 구역에서 관람정 구역으로 이어지는 숲길은 2개가 있다. 하나는 동쪽 길로 조금 돌 아가는 길이며, 중간에 창덕궁~창경궁 돌담과 만나 남쪽으로 같이 이어진다. 그리고 서쪽 길은 질러가는 길로 관람정 구역 북쪽 끝에 자리한 존덕정으로 바로 연결된다. 또한 서쪽으로 이어지는 숲길이 있는데, 그 길은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다래나무와 신 선원전으로 이어지는 길로 내가 갔을 때는 금지된 길로 꽁꽁 묶여 있었다. 그 길은 속세에 열리는 경우는 별로 없어 아직까지 미답 공간으로 남아있는데, 신선원전을 넘어 창덕궁 중 심 구역, 돈화문까지 이어지는 긴 길이다. 2. 존덕정 옆 돌다리와 여러 돌기둥들 계곡 위에 작게 걸린 귀여운 돌다리 주변으로 돌기둥 3개가 자..

1. 봄내음이 가득 내린 창덕궁 후원 관람지 애련정 구역에서 북쪽으로 1~2분을 가면 관람지, 관람정을 중심으로 한 관람정 구역이 마 중을 한다. 관람정 구역은 후원에서 가장 늦게 이루어진 곳으로 그림처럼 펼쳐진 관람지를 중심으로 관람정과 승재정, 폄우사, 존덕정 등이 자리하여 이곳의 운치를 돋군다. 관람지는 마치 한반도 비슷한 모습이라 왜정 시절부터 반도지라 불리기도 했는데, 원래는 네모꼴의 두 연못과 둥근 연못 1개로 이루어져 있던 것을 왜정 때 현재 모습으로 성형되었 다. 하여 한반도 비슷한 곡선형 연못과 존덕정 북쪽에 둥근 연못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관람정 구역에서 북쪽(옥류천 구역)으로 이어지는 숲길 (창덕궁, 창경궁 돌담길) 3. 관람정 관람지를 굽어보고 있는 관람정은 부채꼴 모양의 기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