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운초 김부용묘 광덕사 경내에서 광덕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산길을 10여 분 오르면 운초 김부용묘가 나온다. 김부용 (1820~1869)은 오강루 문집 등 한시 350여 수를 남긴 여인으로 조선시대 3대 여류시인의 하나로 격 하게 추앙을 받고 있는데, 그는 기생 출신으로 평양감사였던 봉조하 김이양의 소실이 되었다. 사람들은 그를 초당마마라 불렀는데, 김이양이 사망하자 정절을 지키며 홀로 살다가 49살에 사망했 다. 그의 유언에 따라 김이양묘 부근인 광덕사 윗쪽에 묻혔는데, 이후 후손들의 관리 소홀로 무덤을 그만 잃어버리고 만다. 그러다가 1974년 광덕산 숲속에서 겨우 찾았으며, 무덤을 손질하면서 봉분 아랫도리에 호석을 두르 고 묘비를 세웠다. 매년 4월말에는 천안문화원 주최로 천안문인협회와 천안향토사..

1. 광덕사 연꽃석조(샘터) 커다란 연꽃석조에는 광덕산(태화산)이 베푼 수분으로 가득해 자연의 넉넉한 마음을 보여준다. (물 섭취 가능) 졸고 있는 바가지를 깨워 돌거북이 뱉은 시원한 물을 한가득 담아 입에 들이키니 갈증이 싹 내려앉는다. 2. 명부전 옆구리에 있는 조그만 석상 동자상으로 보이는 작고 귀여운 석상이 대좌 위에 우두커니 서 있다. 석상과 대좌에는 고색의 때가 가득해 최소 100년 이상 묵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예전(2008년 이전)에는 못봤던 것들이라 2010년 이후에 주변에서 발견된 것을 갖다놓은 모양이다. 3. 뒷전으로 물러난 늙은 맷돌 광덕사 사람들의 음식 제조를 책임졌던 중요한 맷돌이었으나 지금은 현역에서 물러나 아주 한가로 운 신세가 되었다. 맷돌 위에는 작은 용머리상이 붙어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