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석모도 보문사 (보문사 극락보전) 서해바다가 잘 바라보이는 낙가산 서쪽 자락에 그 이름도 유명한 보문사가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 다. 보문사의 '보문'은 중생을 구제하려는 관세음보살의 보살행이 크고 변함이 없다는 뜻으로 동해 바다의 양양 낙산사, 남해바다의 남해 보리암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관음성지로 추앙을 받는다. 이 절은 635년에 회정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는 금강산에서 도를 닦고 강화도로 들어와 보문 사와 마니산 정수사를 창건했다고 하는데, 이를 입증할 기록과 유물은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창건 이후 무려 1,100년 이상의 공백기가 있어 창건 시기에 대해 심히 회의감을 품게 한다. 다만 경내에 600~700년 묵은 늙은 향나무가 있어 적어도 고려 중/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

1. 창룡사로 인도하는 고든골길 충주 시내의 동쪽 뫼인 남산(금봉산) 서쪽 자락 280m 고지에 창룡사가 포근히 깃들여져 있다. 이곳 은 석종사 서쪽 산너머로 석종사로 이어지는 직동길에서 남산의 산주름 속으로 인도하는 고든골길을 따라 10여 분 올라가야 된다. 2. 푸른 숲에 감싸인 창룡사 가는 길(고든골길) 3. 석축 위에 높이 자리한 창룡사 경내 남산 서쪽 자락에 깃든 창룡사는 신라 문무왕 시절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원효는 충주 지 역을 지나다가 객주에서 하룻밤 머물렀는데, 꿈에서 푸른 용이 여의주를 물고 희롱하는 것을 보았다. 하여 그를 쫓아가다가 목이 너무 말라서 수분을 찾고자 주위를 두리번 거리다가 아리따운 처자를 만 났는데, 그녀가 표주박에 물을 떠주면서 '이곳이 참 좋지요' 그랬다..
' 늦겨울 산사 나들이, 청계산 청계사(淸溪寺) ' ▲ 청계사 와불상 겨울 제국(帝國)의 차디찬 위엄이 잠시 느슨해진 2월 끝 무렵에 후배들과 의왕시에 자리한 청계사를 찾았다. 그곳은 예전에 2번 발걸음을 한 적이 있는데, 간만에 그를 찾은 이유는 별거 없다. 그곳에 그냥 마음이 갔기 때문이다. 오후 3시, 안양(安養)의 동쪽 요충지인 인덕원역에서 그들을 만나 분식집에서 만두와 여러 과자 등을 사들고 대기하고 있는 청계산행 의왕시 마을버스 10번에 몸을 담는다. 평일이라 등산 수요는 거의 없지만, 대신 청계지구 주민들로 조그만 마을버스는 만석의 기쁨을 누린 다. 우리를 태운 버스는 청계사입구에 조성된 청계지구에서 승객을 모두 쏟아내고 우리만 태운 가뿐한 상태에서 청계산의 품으로 들어갔다. '과천~의왕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