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후암동 전생서터 후암동 영락보린원 정문에는 전생서터를 알리는 표석이 누워있다. 먼 과거 속으로 사라진 전생서는 조선 때 왕실에서 각종 제사나 행사에 사용할 소(황우, 흑우)와 양, 염소, 돼지를 기르던 관아로 태조 때 설치되어 전구서라 했다. 전구서는 고려 때 비슷한 역할을 했던 장생서에서 이름만 바꾼 것으로 1460년에 전생서로 이름을 갈고 둔지방(후암동)으로 옮겼다. 여기서는 황우 3마리, 흑우 28마리, 양 60마리, 염소 14마리, 돼지 330마리를 항상 사육했다. 그리고 매년 왕실에 황우 3마리, 흑우 35마리, 양 57마리, 염소 14마리, 돼지 521마리를 공급했다. 제왕이 친히 참석하는 대제(종묘대제, 사직대제 등)에는 추가로 공급했으며, 별제향 또한 사용하는 양에 제 한을 두지 않았..

1. 후암동 김상옥 의사 항거터 주택들이 빽빽히 들어선 후암동 주택가(후암동 304번지) 한복판에 김상옥 의사의 항거터를 알리는 안내문이 있다. 김상옥(1889~1923)은 고약했던 왜정 시절, 야학을 설립해 청년들을 가르쳤고, 광복단 참여, 백영사 조직, 3.1운동 참여, 혁신단 활동, 암살단 조직 등 다양한 독립운동과 민중계몽운동을 펼친 위인이다. 암살단의 계획이 왜정에게 발각되자 서해바다를 건너 우리의 옛 땅인 상해(백제와 신라의 옛 영역) 로 넘어갔는데, 상해 지역에서 군자금 모집을 하다가 의열단에 가입, 폭탄과 권총을 지니고 1922년 12월 서울로 들어왔다. 1923년 1월 12일 밤, 그 악명 높은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왜경 다수를 부상 입히고 후암동(왜정 때는 '삼판통'이라 불림)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