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무학봉 무학대사상 중구의 동쪽 끝을 잡고 있는 무학봉(90.1m)은 신당동과 왕십리 사이에 솟은 작은 뫼이다. 태조 이 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이곳에 올라 주변을 살폈다고 해서 무학봉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 데, 내 어릴 적에는 무슨 영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무학봉보다 대머리산이라 크게 불렸다. (1980~ 1990년대에 그랬음) 산 밑도리에는 주택과 아파트들이 가득 들어차 도시에 포위된 외로운 뫼가 되었으며 숲이 무성한 정상부와 중턱은 무학봉근린공원으로 지정되어 도시의 담백한 뒷동산 역할을 담당한다. 산 남쪽 자락에 무학대사가 중건하여 머물렀던 안정사(청련사)가 자리하고 있었으나 2008년 양주 시로 이사갔다. 안정사는 건물과 문화유산을 모두 새 둥지로 옮겼는데, 다만 대웅전 뒷쪽 벼랑에 60년..

1. 왕십리 무학봉 (무학봉체육관 옆 접근로) 중구 신당동과 성동구 왕십리동 경계에는 무학봉이란 작은 봉우리가 솟아 있다. 그는 해발 90.1m의 낮은 뫼로 중구의 동쪽 끝을 잡고 있는데, 조선 태조 때 무학대사가 서울 도읍 자리를 살피고자 이곳 에 올라 주변 지형을 살폈다고 해서 무학봉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무학봉은 북쪽으로 청계천까지 산주름을 늘어뜨리고 있고, 남쪽은 매봉산, 응봉산과 이어지는데, 개 발의 칼질로 회색빛 아파트와 주거지가 산 주변에 가득 들어차 도시에 갇힌 외로운 뒷동산이 되었다. 다행히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어 산 전체가 개발로 날라가는 꼴은 면했으며, 예전부터 작게나마 숲을 지닌 신당동과 왕십리의 소중한 뒷동산으로 1980~1990년대 시절 동네 아이들은 이곳을 대머리산이 라 불..

1. 왕십리 안정사(청련사)터와 무학봉 남쪽 벼랑 서울 도심에서 가까운 성동구 하왕십리동 998번지 일대에는 안정사란 오래된 절이 있었다. 안정사(安 靜寺 또는 安定寺)는 신라 후기인 827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는데, 절 이름인 '안정'은 백성을 편안히 하여 나라를 굳건히 한다는 의미이다. 1395년 무학대사가 절을 중창하여 머물렀는데, 중창을 위한 기도 회향 때 법당 앞 연못에서 푸른 연꽃 이 홀연히 피어나 절 이름을 청련사로 갈았다고 전한다. 허나 안정사란 이름도 계속 사용했으며, 서울 지역의 주요 고찰로 명성을 쭉 이어갔다. 왜정 때는 김상옥 의사가 잠시 숨어있기도 했으며, 6.25 시절 에 절이 파괴된 것을 덕봉화상이 중수했다. 안정사는 무학봉 남쪽 자락에 자리하고 있었는데, 절에서는 무학봉을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