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동네 1바퀴, 도봉산 방학동 구역 ~~~~~ ▲ 방학동 전형필가옥 ▲ 전명기, 간송 전형필 묘역 ▲ 방학동사지 마애불 ♠ 도봉구의 새로운 꿀명소로 떠오르고 있는 방학동 전형필(全鎣弼) 가옥 - 국가 등록문화유산 521호 ▲ 산뜻하게 정비된 전형필 가옥 서울 북쪽 끝에 자리한 도봉구(道峰區)의 한복판 방학동(放鶴洞) 산골에는 간송 전형필..

1. 방학동 전형필가옥에서 북한산둘레길 방학동길, 방학동사지로 인도하는 숲길방학동 전형필가옥을 간만에 둘러보고 시루봉 북쪽 숲속에 숨겨진 방학동사지를 오래간만에 복습하고자 북쪽 숲길로 들어섰다. 숲길 서쪽에는 방학동계곡(계곡 이름은 따로 없음. 그래서 지역 이름을 따서 편의상 방학동계곡이라 하였음)이 작게 흐르고 있는데, 그곳에는 '와운폭'과 '귀록계산' 바위글씨가 숨겨져 있다. 그들도 간만에 볼까 했으나 마음이 변덕을 부리면서 쿨하게 통과했다. 2. 방학동사지로 인도하는 잘 닦여진 숲길이 숲길을 조금 오르면 북한산둘레길19구간 방학동길(서울둘레길21코스)과 만나며, 그곳을 지나면 장수주말농장과 방학동사지로 이어진다. 3. 방학동사지 (절터의 2단, 3단 석축)장수주말농장에서 산속으로 더 들어가면 숲속에..

1. 방학동 전형필가옥 2. 전명기, 간송 전형필 묘역 3. 방학동사지 마애불 4. 방학동 전형필가옥 (간송 옛집) 5. 전형필가옥 대문 6. 전형필가옥 서쪽 협문과 돌담 7. 가옥 뜨락에 놓인 석물 8. 모든 문이 활짝 열린 전형필 가옥 본채 9. 본채 뒷문 (문 안쪽이 장마루) 10. 전형필가옥 본채 11. 본채 마루 12. 본채 안방 13. 건너방에 걸린 신윤복의 미인도 14. 겸재 정선이 그린 송파진 15. 김홍도의 묘접도 16. 도봉산의 시원한 바람이 머물고 있는 누마루 17. 본채 뒷쪽에 있는 굴뚝 18. 본채 동쪽 협문과 기와 담장 19. 서쪽에서 바라본 전형필 가옥 20. 전명기, 간송 전형필 내외 묘역 21. 전명기와 간송 내외의 무덤 22. 묘역으로 인도하는 언덕길 23..
~~~~~ 도봉산 방학동사지, 북한산둘레길 방학동길, 무수골 나들이 ~~~~~ ▲ 도봉산 방학동사지 ▲ 귀록계산 바위글씨 ▲ 윗무수골 서울의 북쪽 지붕인 도봉산(道峯山, 720m)은 내가 서식하는 도봉구(道峰區)의 듬직한 뒷 동산이다. 그의 그늘에 묻혀 산지가 어언 20년 남짓, 비록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그의 품을 찾곤 한다. 도봉산을 거의 손바닥 보듯 돌아다니는 본인이지만 그것을 깨는 신선한 존재들이 가끔 나타나 나를 놀래키니 그런 것을 보면 도봉산이 내 손바닥이 아니라 오히 려 내가 그의 손바닥 안에서 재롱을 떠는 것 같다. 도봉동 집과 가까운 도봉산 방학동(放鶴洞) 구역에 늙은 바위글씨와 절터 유적이 있음을 근래 알게 되었다. 집 근처에 아직도 그런 미답처(未踏處)들이 숨겨져 있었다니 내심 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