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백련사 석조관세음보살상 명부전 옆에 자리한 석조관세음보살상은 2017년 5월에 장만한 것으로 늘씬한 자태와 파리도 미끄러 질 정도의 매끄러운 하얀 피부를 지녔다. (백련사는 이곳 외에도 원통전, 관음전 등 관세음보살의 공 간을 많이 지니고 있음) 2. 백련사 명부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지장보살 등 명부(저승) 식구들이 봉안되어 있다. 3. 백련사 약사전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동방정토의 주인인 약사여래의 공간이다. 내부에 백련사에서 가장 늙은 보물인 융경삼년명 동종이 들어있으며, 불단에 있는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약사후불탱은 19 세기에 조성된 것들이다. 4. 명부전 지장보살상과 무독귀왕, 도명존자상 표정이 살아있는 금동 피부의 지장보살상과 무독귀왕, 도명존자는 ..

1. 백련사 일주문 백련사의 정문인 일주문은 2000년 10월에 세워진 것으로 규모가 꽤 크다. 문 현판에는 '삼각산정토백 련사' 8자가 쓰여 있어 이곳의 정체를 알려주고 있는데, 엄연히 백련산 자락에 있지만 조금 거리가 있 는 북한산(삼각산)을 칭하고 있다. 허나 북한산 탕춘대 능선에서 갈라진 서남쪽 산줄기가 바로 백련산 이라 삼각산을 칭해도 이상할 것은 별로 없으며(넓게 따지면 이곳도 북한산의 일원임) 정토는 백련사 의 옛 이름이자 이곳에서 내세우고 있는 정토도량을 뜻한다. 2. 포대화상 똥배 포대화상이 천진난만한 애기들을 가득 품으며 환하게 웃고 있다. 그는 신도의 지원으로 근래 마 련된 것으로 그를 지나면 백련사 경내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3. 백련사 무량수전 백련사의 법당인 무량수전은 서방정토..